$\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시간관과 자기통제력이 학업적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 휴대폰 중독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Adolescents' Time Perspective and Self-Control on Academic Procrastination : The Mediating Effect of Cellular Phone Addiction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5 no.1, 2014년, pp.119 - 133  

정은지 (명지대학교 아동학과) ,  한유진 (명지대학교 아동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ime perspective, self-control and cellular phone addiction on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to cellular phone addiction has any mediating effects in relation to the effects of adolescents' time perspective and self-control on academic procras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중 시간관은 행동 예측의 유용한 구성개념으로, 지연행동의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변인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Ferrari & Diaz-Morales,2007). 그러나 지연행동가들의 시간관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고(Specter & Ferrari, 2000), 연구마다 각 시간관의 하위영역이 지연행동에 끼치는 영향이 일치하지 않아(Ferrari & Diaz-Morales, 2007; Lee, 2010), 본 연구에서는 이를 확인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시간관, 자기통제력 및 휴대폰 중독이 학업적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주요 결과들을 토대로 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 한편, 최근 현대인의 생활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사회적인 관심을 받고 있는 휴대폰 중독을 생활변수로 선정하여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2011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초·중·고교생 6,500명을 대상으로 ‘청소년디지털 이용문화 실태조사’에서 전체 학생 10명 가운데 9명이 휴대폰을 소유하고 있었고 중·고등학생의 경우 약 95%가 가지고 있었다.

가설 설정

  • 앞서 본 선행연구결과는 휴대폰 중독이 시간관, 자기통제력과 학업적 지연행동 사이에서 매개할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즉, 시간관, 자기통제력이 학업적 지연행동 사이를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휴대폰 중독이라는 매개변인을 통해서 학업적 지연행동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하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현대인의 생활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휴대폰 중독을 생활변수로 선정하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 한편, 최근 현대인의 생활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사회적인 관심을 받고 있는 휴대폰 중독을 생활변수로 선정하여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2011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초․중․고교생 6,500명을 대상으로 ‘청소년디지털 이용문화 실태조사’에서 전체 학생 10명 가운데 9명이 휴대폰을 소유하고 있었고 중․고등학생의 경우 약 95%가 가지고 있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이 대중화 되면서 2012년 8월 이동통신 3사에 따르면, 스마트폰 가입자수가 총 3003만 명이 넘어섰다(Lee, Lee, Joe, & Kim, 2012). 청소년의 경우에는, 2012년 9월 경기도 교육청이 초․중․고교생 145만 1334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이용 습관 전수조사'에서, 중학생의 75.9%(35만 3554명), 고교생의 77.2%(34만 7053명)이 스마트폰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Kyeong, 2012), 대다수의 청소년들 사이에서 휴대폰은 이미 필수품이 되었고 학생들의 일상생활에 영향을 끼치리라 짐작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본 조사에서 각 학생들의 하루 평균 휴대폰 사용 시간은 1~3시간이 45%로 가장 많고, 3~5시간 18%, 5시간 이상이 10%에 달했으며, 2.2%가 중독 고위험군(위험 사용자군), 7%가 잠재적 위험군(주의사용자군)으로 나타났다. 컴퓨터는 한정된 장소에서만 사용할 수 있으나 스마트폰은 가지고 다니며 시․ 공간을 초월하며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음에 따라 중독성이 더 높을 수 있다. 더구나 청소년기는 중독발달에 취약한 시기임을(Shaffer & Bethune, 2000) 감안할 때, 청소년기 휴대폰 중독의 영향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 필요가 있다.
자기통제력이 부족한 사람은 어떠한 경향을 나타내는가? 이 중 자기통제력은 학업적 지연행동을 유발하는 변인으로 초기에 주로 연구되어 왔다. 자기통제력이 부족할 경우, 즐거움을 가져다주는 대상의 유혹을 통제하지 못해 지연행동이 일어나기 쉽다. 자기통제력은 외적인 훈련을 통해 점차 발달하다가 청소년기에는 사회에서 요구되는 수준으로 완성됨으로, 이 시기 자기통제력과 지연행동의 관계를 자세히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학업적 지연행동과 관련된 변인들로 무엇이 있는가? 학업적 지연행동과 관련 변인들에는 시간관, 자기통제력, 불안, 실패공포, 과제에 대한 혐오, 완벽주의, 비합리적 신념, 우울, 불안, 충동성, 주의산만, 자존감, 자기효능감, 성취동기 등이 있다(Aitken, 1982; Beswick, Rothblum, & Mann, 1988; Ferrari & Diaz-Morales, 2007; Han & Kim, 2012; Kang, 2011; Kim, 1999; Lay & Silverman, 1996; McCown, Carise, & Johnson, 1991; Park & Gwon, 1998; Schouwenburg, 1992; Seo, 2006; Shin, Park, & Seo, 2005; Solomon & Rothblum, 1984; Washingron,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Aitken, M. E. (1982). A Personality profile of the college student procrastinato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Pittsburgh, Pittsburgh, USA. 

  2.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3. Beswick, G., Rothblum, E. D., & Mann, L. (1988). Psychological antecedents of student procrastination. Australian Psychologist, 23, 207-217. 

  4. Ellis, A., & Knaus, W. J. (1977). Overcoming procrastination. NY: Institute for Rational Living. 

  5. Ferrari, J. R., & Emmons. R. A. (1994). Procrastination as revenge: Do people report using delays as a strategy for vengeanc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7, 539-544. 

  6. Ferrari, J. R., & Emmons, R. A. (1995). Methods of procrastination and their relation to selfcontrol and self-reinforcement: an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Social Behaviour and Personality, 10(1), 135-142. 

  7. Ferrari, J. R., Johnson, J. L., & McCown, W. G. (1995). Procrastination and task avoidance: Theory, research, and treatment. New York: Plenum. 

  8. Ferrari, J. R., & Diaz-Morales. (2007). Procrastination: Different time orientations reflect different motives.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41(3), 707-714. 

  9. Goldberg, I. (1996). Internet addiction disorder. http://www.rider.edu/user/suler/psycyber/supporgp.html 

  10. Gye, S. Y. (2009). The effect of perfectionism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 academic procrastin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Buchoen, Korea. 

  11. Han, Y. S., & Kim, S. W. (2012). The effects of perfectionism, self control and fear of failure on procrastination.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9(4), 203-224. 

  12. Hammer, C. A., & Ferrari. J. R. (2002). Differential incidence of procrastination between blue-and white-collar workers. Current Psychology: Developmental, Learning, Personality, Social, 21, 333-338. 

  13. Henson, J. M., Carey, M. P., Carey, K. B., & Maisto, S. A. (2006). Associations among health behaviors and time perspective in young adults: Model testing with boot-strapping replication.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29(2), 127-137. 

  14. Hewitt, P. L., & Flett, G. L. (1991). Dimensional of perfectionism in unipolar depression.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0(1), 98-101. 

  15. Howell, A. J., Watson, D. C., Powell, R. A., & Buro, K. (2006). Academic procrastination: The pattern and correlates of behavioral postponement.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0, 1519-1530. 

  16. McCown, W., Johnson, J., & Rupert, P. (1987). An experimental study of some hypothesize behaviors and personality variables of college student procrastination.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8, 781-786. 

  17. Jackson, T., Weiss, K. E., Lundquist, J. J., & Hooper, D. (2003). The impact of hope, procrastination, and social activity on academic performance on midwestern college students. Education, 124, 310-320. 

  18. Jackson, T., Fritch, A., Nagasaka, T., & Pope, L. (2003). Procrastination and perceptions of past, present, and future. Individual Differences Research, 1, 17-28. 

  19. Jang, H. J. (2002).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addictive using cellular phon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0. Kang, H. J. (2011). The relationships among procrastination, self-efficacy, self-control, and perceived stress. Social Science Research Institute, 53(2), 233-251. 

  21. Kim, H. (1999). The effect of fear of failure on task return delay in academic procrastin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2. Kim, M. J. (2009).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rnet addiction and its relation to procrastination, volitional control, academic achievement, and intellig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Korea. 

  23. Krawchuk, L. L. (2008). Procrastination, self-efficacy calibration, anxiety, and achievement in undergraduate students. Canada: University of Alberta. 

  24. Kyeong, T. Y. (2012, October, 24). Smart phone addiction, the number of students doubled of internet addiction. The Kyunghyang Daily, Retrieved October, 26, 2012, from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 artid201210242155275&code940401 

  25. Lay, C. H., & Schouwenburg, H. C. (1993). Trait procrastination, time management, and academic behavior. Journal of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8(4), 647-662. 

  26. Lay, C., Edwards, J. M., Parker, J. D. A., & Endler, N. S. (1989). An assessment of appraisal, anxiety, coping, and procrastination during an examination period. European Journal of Personality, 3, 195-208. 

  27. Lay, C. H., & Silverman, S. (1996). Trait procrastination, anxiety, and dilatory behavior.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1(1), 61-67. 

  28. Lee, G. W. (2001). The study on internet addiction of adolesc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9. Lee, J. A. (2010). An adjustment model of optimistic procrastin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30. Lee, Y. S., Lee, H. S., Joe, E. H., & Kim, R. S. (2012). Smart phone use youth focus group interview. Korea Youth Counselling Welfare Institute Youth Counselling Problem Report, 56, 17-39. 

  31. Logue, A. W. (1995). Self-control. New York; Prentice Hall. 

  32. Mandel, H. P. (1997). Conduct disorder and underachievement: Risk factors, assesment, treatment, and prevention. New York: Wiely. 

  33. McCown, W., & Johnson, J. (1991). Personality and chronic procrastination by students during an academic examination period.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2, 662-667. 

  34. McCown, W., Carise, D., & Johnson, J. (1991). Trait procrastination in adult children of alcohol abuse. Journal of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5, 121-134. 

  35. Mischel, W., & Gilligan, C. (1974). Processes in delay of gratification. In W. Mischel & L. Berkowitz (Eds.),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New York: Academic Press. 

  36. Owens, A. M. (1997). Procrastination in high school achievement. Journal of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12, 869-887. 

  37. Park, J. W., & Gwon, J. H. (1998). The effect of ego-threat and perfectionism on task delay in academic procrastination. Th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05-119. 

  38. Pychyl, T. A., Lee, J. M., Thibodeau, R., & Blunt, A. (2000). Five days of emotion: An experience sampling study of undergraduate student procrastination. Journal of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15, 239-254. 

  39. Rothblum, E. D., Solomon, L. J., & Murakami, J. (1986). Affective, cognitive, and behavioral differences between high and low procrastinator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3(4), 389-394. 

  40. Schouwenburg, H. C. (1992). Procrastinators and fear of failure: An exploration of reasons for procrastination. European Journal of Personality, 6(3), 225-236. 

  41. Seo, E. H. (2006). A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a treatment program for overcoming academic procrastination of college stud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42. Shaffer, H. J., & Bethune, W. (2000). Introduction: Youth gambling. Journal of Gambling Studies, 16(2-3), 113-114. 

  43. Shin, M. H., Park, S. H., & Seo, E. H. (2005). Women college students' time management and procrastination on college grade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3(3), 211-230. 

  44. Solomon, L. J., & Rothblum, E. D. (1984). Academic procrastination: Frequency and cognitive-behavioral correlat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1(4), 503-509. 

  45. Specter, M. H., & Ferrari, J. R. (2000). Time orientations of procrastinators: Focusing on the past, present, or future? Journal of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15, 197-202. 

  46. Steel, P. (2003). The measurement and nature of procrastin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nnesota, Minnesota, USA. 

  47. Steel, P. (2007). The nature of procrastination: A meta-analytic and theoretical review of quint essential self-regulatory failure. Psychological Bulletin, 133(1), 65-94. 

  48. Tangney, J. P., Baumeister, R. F., & Boone, A. L. (2004). High self-control predicts good adjustment, less pathology, better grades, and interpersonal success. Journal of Personality, 72(2), 271-324. 

  49. Tice, D. M., & Baumeister, R. F. (1997). Longitudinal study of procrastination, performance, stress, and health: The costs and benefits of dawdling. Psychological Science, 8, 454-458. 

  50. Young, K. S. (1996). Internet addiction: The emergence of a new clinical disorder. Cyber Psychology and Behavior, 1, 237-244. 

  51. Wesley, L. C. (1994). Effects of ability, high school achievement, and procrastinatory behavior on college performance. Educational & Psychological Measurement, 54, 404-408. 

  52. Zimbardo, P. G., & Boyd, J. N. (1999). Putting time in perspective: A valid, reliable individualdifferences metric.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7(6), 1271-1288. 

  53. Zimbardo, P. G., & Boyd, J. N. (2008). The time paradox: The new psychology of time that will change your life. New York: Free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