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경계선 지적기능 아동을 양육하는 어머니들의 체험을 통한 본질의 의미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면접은 2011년 10월부터 2012년 7월까지 약 10개월 동안 8명의 경계선 지적기능 아동을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2~3회에 걸쳐 면접한 뒤 Van Manen(밴 매넌)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경험의 본질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경계선 지적기능을 가진 아동을 둔 어머니들의 양육경험의 현상은 '못하는 아이에서 느리게 가는 아이로의 이해' 과정이었다. 양육경험의 본질은 '소유가 아닌 바라보기'인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 의미는 Tennyson(테니슨)이 주장한 소유의 개념이 아닌 송미파초(松尾芭蕉)(바쇼)의 '바라보기'이다. 하지만 궁극적인 개념은 Goethe(괴테)의 존재의 개념에서의 '바라보기'이다. 경계선 지적기능 아동을 둔 어머니들은 아동을 키우면서 자신의 틀 안에서 키우고 싶었지만 많은 갈등과 마음 속 전쟁을 치르면서 내 아이가 아닌 아동 그 자체를 바라보아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못하는 아이가 아니라 느리게 가는 아이라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엄마의 욕심을 내려놓고, 아이를 이해하며, 아이와 보폭을 맞추어 가면서 스스로의 존재에 대해서도 인식해야 함을 경험한 것이다.
본 연구는 경계선 지적기능 아동을 양육하는 어머니들의 체험을 통한 본질의 의미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면접은 2011년 10월부터 2012년 7월까지 약 10개월 동안 8명의 경계선 지적기능 아동을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2~3회에 걸쳐 면접한 뒤 Van Manen(밴 매넌)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경험의 본질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경계선 지적기능을 가진 아동을 둔 어머니들의 양육경험의 현상은 '못하는 아이에서 느리게 가는 아이로의 이해' 과정이었다. 양육경험의 본질은 '소유가 아닌 바라보기'인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 의미는 Tennyson(테니슨)이 주장한 소유의 개념이 아닌 송미파초(松尾芭蕉)(바쇼)의 '바라보기'이다. 하지만 궁극적인 개념은 Goethe(괴테)의 존재의 개념에서의 '바라보기'이다. 경계선 지적기능 아동을 둔 어머니들은 아동을 키우면서 자신의 틀 안에서 키우고 싶었지만 많은 갈등과 마음 속 전쟁을 치르면서 내 아이가 아닌 아동 그 자체를 바라보아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못하는 아이가 아니라 느리게 가는 아이라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엄마의 욕심을 내려놓고, 아이를 이해하며, 아이와 보폭을 맞추어 가면서 스스로의 존재에 대해서도 인식해야 함을 경험한 것이다.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are giving experiences of mothers, who have their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disorder. The core analytical strategy was to find out the essential meaning of caring their children. For this purpose, eight mothers were participated...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are giving experiences of mothers, who have their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disorder. The core analytical strategy was to find out the essential meaning of caring their children. For this purpose, eight mothers were participated in depth interview, which conducted during October, 2011 through July 2012. The face-to-face interview repeated two or three times based on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The interview suggested two major findings: changing mother's view from raising retarded children to caregiving a child with growing-up substantially slow speed; the essence of nurturing experiences for mothers, whose children have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was to watching with attention rather than advocating ownership. This result can be also found in Barshow's concept of 'watching' rather than 'possession', which is suggested by Tennyson. However, the essential meaning of this concept was associated with 'watching with care', which was originated form Goethe's notion of 'existence'. Mother's of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have reached a point of view: when creating a parent-child relationship, it was essential that the child was not 'my child', but was 'a child' per se. This type of parent-child relationship was a result of giving up a desire that the child raised within mother's boundary. It was also a result of psychological warfare and conflict in mother's mind. To internalized this view, it is recommended that the mothers implement the following three perspectives: first, the mothers put down overly-pushed motive toward their children; second, they enhance their level of understanding toward their child; third, it is necessary that the mothers build a new sense of existence through matching their level of concern with their children.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are giving experiences of mothers, who have their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disorder. The core analytical strategy was to find out the essential meaning of caring their children. For this purpose, eight mothers were participated in depth interview, which conducted during October, 2011 through July 2012. The face-to-face interview repeated two or three times based on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The interview suggested two major findings: changing mother's view from raising retarded children to caregiving a child with growing-up substantially slow speed; the essence of nurturing experiences for mothers, whose children have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was to watching with attention rather than advocating ownership. This result can be also found in Barshow's concept of 'watching' rather than 'possession', which is suggested by Tennyson. However, the essential meaning of this concept was associated with 'watching with care', which was originated form Goethe's notion of 'existence'. Mother's of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have reached a point of view: when creating a parent-child relationship, it was essential that the child was not 'my child', but was 'a child' per se. This type of parent-child relationship was a result of giving up a desire that the child raised within mother's boundary. It was also a result of psychological warfare and conflict in mother's mind. To internalized this view, it is recommended that the mothers implement the following three perspectives: first, the mothers put down overly-pushed motive toward their children; second, they enhance their level of understanding toward their child; third, it is necessary that the mothers build a new sense of existence through matching their level of concern with their children.
경계선 지적기능 아동(Boderilne Intellectual Functioning Children)1)은 지능검사 결과 평균을 중심으로 표준편차 -1과 -2사이인 IQ 70과 85사이에 속하는 범주로 분류되는 아동들이다. 이 아동들은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사이의 틈 사이에 있으면서(Shaw, 2008: 291), 일반학교의 일반학급에 다니고 있다.
아동이 특별한 문제를 나타내지 않을 경우 늦된다고 생각하거나 아동의 태도를 비난함으로써 초래되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그러므로 아동이 특별한 문제를 나타내지 않을 경우 늦된다고 생각하거나 아동의 태도를 비난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한 이유로 아동 대부분의 부모들도 특수교육을 주저하고 있었으며 (Karande, 2008: 795), 장애범주에도 포함되지 않으므로 정신과적 문제를 이중적으로 가지지 않는 한, 말이나 언어로써 자신의 상황을 이해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전문가들에 의한 서비스도 받지 못하고(Paniagua and De Fagio, 1983: 250) 있는 현실이다. 하지만 경계선 지적기능 아동들은 조기개입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학습에 대한 어려움과 친구들과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지니고 있는 상황이 지속됨으로 인하여 좌절감과 부정적인 자아상으로 인하여 자아존중감이 낮아져 있거나 학습된 무기력이 심화되어가고 있다(박주연․이희광, 2011; 박호주, 2012; 부경희, 2012; Cantwell et al.
경계선 지적기능 아동은 지능의 정상분포를 고려할 때 인구에서 어느 정도의 비율을 가지고 있는가?
경계선 지적기능 아동은 지능의 정상분포를 고려할 때 인구의 12% 정도를 차지할 정도로 높은 인구 비율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에 대한 국내의 선행연구는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의 특성을 연구(정희정, 2006; 정희정․이재연, 2008)한 것과 놀이와 치료를 통한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김양오, 2001; 정문순, 2004; 김남희, 2010; 박호주, 2012)한 소수의 연구 외에는 직접적인 연구들이 없는 현실이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연구과제 타임라인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