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들의 과학적 논증활동에서 증거의 유형 및 수준 분석
Analysis of the Types and Levels of Evidence in Elementary Students' Scientific Argumentation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33 no.1, 2014년, pp.162 - 171  

유혜경 (연서초등학교) ,  임희준 (경인교육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use of evidence is very important in scientific argument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ypes and levels of evidence in scientific argumentation in an elementary science class. 34 fourth graders in a class were selected as subjects, and argumentation was performed in seven lessons on 'Heat t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과학적 문제를 논의하는 과정에서 활발한 의견교환이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서 논증활동을 초등학교 4학년 과학 수업에 적용하고, 논증활동에서 나타나는 증거의 유형과 수준을 분석하였다. 논증과제에는 대안가설을 제시하여 학생들의 활발한 논의를 도모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학수업에서 초등학생들이 논증활동에서 사용하는 증거의 유형 및 출처에 대하여 고찰하고 증거의 수준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과학적 논증활동을 학교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사점을 얻고, 논증활동 프로그램 개발에도 도움이 되고자 한다.
  • 이처럼 과학수업에서의 논증활동에서 학생들이 사용하는 증거의 유형 및 수준에 대한 연구가 일부 이루어졌으나, 중등 대상이거나 초등 영재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경우가 많으며, 일반 초등과학 수업에서의 연구는 많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학수업에서 초등학생들이 논증활동에서 사용하는 증거의 유형 및 출처에 대하여 고찰하고 증거의 수준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과학적 논증활동을 학교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사점을 얻고, 논증활동 프로그램 개발에도 도움이 되고자 한다.
  • 학생들은 과학실에서 모둠별로 수업을 진행했으며, 각 모둠은 4~5인으로 총 8모둠으로 구성되었다. 학생들은 활동지에 제시된 논증과제와 대 안가설을 보고, 실험 전 자신의 입장을 선택하고 그 이유를 기술하고 논의하였다. 그 후 해당 차시의 실험활동을 모둠별로 수행하고, 실험 후 생각이 바뀌었는지 그대로인지를 기록하고, 실험 후의 입장과 생각이 바뀌거나 그대로인 이유, 자신의 입장을 주장하기 위한 여러 가지 증거를 적어보도록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증거 수준이란 무엇인가? 증거 수준은 주장을 하는 데 사용된 증거의 가치나 질을 의미한다. Perella(1987)는 증거의 수준을 증거없는 주장, 일반상식, 비전문가의 의견, 전문가의 의견 또는 비전문가들의 합의, 실험 연구와 전문가들의 이론적 합의, 경험적 실험 연구 결과에 의한 합의 등의 6단계로 구분하였다.
논증활동이란 무엇인가? 논증활동은 증거에 기반한 토의로 집단이나 개인 사이에 존재하는 차이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일련의 명제들을 제시함으로써 자신의 입장을 정당화하는 과정으로, 언어적이고 사회적인 추론 활동으로 볼 수 있다(Krummheuer, 1995; NRC, 1996; Walton, 1990). 이러한 논증활동은 과학지식을 기계적으로 습득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 스스로 과학 현상을 설명하고 이를 증명하는 과정에서 적절한 과학적 증거를 마련하고 제시하며 이를 평가하는 과학 탐구 활동이다(Duschl & Osborne, 2002; Lemke, 1990; NRC, 1996).
과학자들이 다른 사람을 설득할 때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무엇인가? 과학자들은 자신의 주장이 타당하다는 것을 인정받기 위해 다른 이들을 설득하고자 많은 노력을 한다(Latour & Woolgar, 1986). 이러한 과정에서 의사소통은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과학 지식과 탐구 방법을 활용한 합리적 의사 결정 능력 신장과 토론을 통한 문제해결능력의 함양을 강조하고 있다(Ministry of Education,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ho, H. J., Yang, I. H., Lee, H. N. & Song, Y. M. (2008). An analysis on the level of evidence used in gifted elementary students' debat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8(5), 495-505. 

  2. Driver, R., Newton, P. & Osborn, J. (2000). Establishing the norms of scientific argumentation in classrooms. Science Education, 84(3), 287-312. 

  3. Duschl, R. A. & Osborne, J. (2002). Supporting and promoting argumentation discourse in science education.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38, 39-72. 

  4. Jang, S. H. & Jeong, S. J. (2010). Analysis of elementary students' scientific justification activities based on evidence.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9(4), 414-426. 

  5. Kim, H. K. (2003). Middle school students' open physics inquiry emphasizing peer argumentation: Its conditions, features, and roles.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6. Kim, H. K. & Song, J. W. (2004). The exploration of open scientific inquiry model emphasizing students' argument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4(6), 1216-1234. 

  7. Krummheuer, G. (1995). The ethnography of argumentation. In P. Cobb & H. Bauersfeld (Eds.), Emergence of mathematical meaning. NJ: Sawrence Erlbaum. 

  8. Kuhn, D. (1992). Thinking as argument. Havard Educational Review, 62(2), 155-178. 

  9. Latour, B. & Woolgar, S. (1986). Laboratory life: The construction of scientific facts. (2nd ed.). Princeton University Press. 

  10. Lemke, J. L. (1990). Talking science: Language, learning, and values. New Jersey: Ablex. 

  11. Lim, J. K., Song, Y. M., Song, M. S. & Yang, I. H. (2010). An analysis on the level of elementary gifted students' argumentation in scientific inquiry.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9(4), 441-450. 

  12. Ministry of Education (2009). 2009 Revised Korean national science curriculum. (2009-41). 

  13. National Rese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14. Newton, P., Driver, P. & Osborne, J. (1999). The place of argumentation in the pedagogy of school science. International Jounal of Science Education, 21(5), 553-576. 

  15. Park, Y. S. (2006). Theoretical study on the opportunity of scientific argumentation for implementing authentic scientific inquiry.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7(4), 401-415. 

  16. Perella, J. (1987). The debate method of critical thinking: An introduction to argumentation. Dubuque, IA: Kendall/Hunt. 

  17. Siegel, M. A. (2006). High school students' decision making about substantiality.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12(2), 201-215. 

  18. Simon, S. & Maloney, J. (2006). Mapping children's discussions of evidence in science to assess collaboration and argument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8(15), 1817-1841. 

  19. Walton, D. N. (1990). What is reasoning? What is an argument? Journal of Philosophy, 87, 399-419. 

  20. Wee, S. M., Cho, H. J., Kim, S. H. & Lee, H. N. (2009). The analysis of the level of the argumentation of small group according to the students' characteristic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3(1), 1-11. 

  21. Yang, I. H., Lee, H. J., Lee, H. N. & Cho, H. J. (2009). The development of rubrics to assess scientific argument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9(2), 203-22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