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오류 상황을 포함하는 논증 과제 제시를 통한 초등 과학수업의 효과 및 특징
Effects of Scientific Argumentation on Argument Tasks with Incorrect Alternative Ideas in Elementary Science Classes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33 no.1, 2014년, pp.195 - 205  

임희준 (경인교육대학교) ,  정인순 (내유초등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cientific argumentation on argument tasks with incorrect alternative ideas in elementary science classes. The subjects were 41 fourth graders of 2 classes in an elementary school. In the experimental group, argument tasks with pictures inc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실험 후 다시 논증 과제에 제시된 오류에 대한 판단(주장)을 증거를 토대로 제시하면서 자신의 주장을 정당화하는 방식으로 논증 활동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교사와 함께 본 차시 실험결과와 논증 과제에 대해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논증 과제 및 수업 주제와 관련된 적용 문제를 제시하여 학습한 내용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한 번 더 논증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 예를 들어, 1차시의 학습 주제는 ‘고체에서 열은 어떻게 전달될까요?’이며, 이에 대한 논증과제로 따뜻한 밥과 차가운 밥을 각각 손으로 감싸고 있을 때 열의 이동 방향을 둘다 같은 방향으로 나타낸 그림을 오류 상황으로 제시하였다. 둘째, 오류 상황은 열 전달에 관한 학생들의 선개념을 고려하여 개발함으로써 선개념 활성화와 동기 유발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예로, 6차시의 학습 주제는 ‘단열’인데, 많은 학생들이 솜으로 물체를 감싸면 언제나 따뜻해진다는 오개념을 가지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문제 상황의 중요성과 인지적 갈등 유발의 효과를 고려하여 학생들에게 오류나 불충분한 정보가 포함된 자료를 제시하고, 그 오류를 파악하고 설명하는 것을 논증 과제로 하는 논증 수업의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오류 상황이 포함된 논증 과제는 오류 파악과 해결이라는 목표를 가지고, 학생들의 흥미와 참여를 높이며, 서로간의 의사소통을 유발함으로써 의미있고, 활발한 논증 활동을 촉발시키는 시발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Chin & Osborne, 2010).
  •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논증 활동을 촉진하기 위해서 오류 상황을 포함한 논증 과제를 제시하고, 이에 기반한 논증 활동을 수행하게 하는 수업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인지적․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 이러한 논증 활동의 장점과 한계를 분석하였다. 수업은 4학년의 ‘열 전달과 우리 생활’ 단원에서 총 6차시의 수업에 대하여 4~5인으로 구성된 모둠 활동으로 진행되었고, 비교반은 교과서와 실험관찰을 활용한 일반적인 수업을 진행하였다.
  • 본 연구의 논증 활동 수업은 과학적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다른 사람과의 의사소통을 기반으로 자신의 주장과 근거를 명료화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것에 기초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McNeil and Krajcik(2012)이 제안한 CER(Claim-Evidence-Reasoning: 주장-증거-추론)의 요소를 적용하여 논증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 오류 상황을 포함하는 논증 과제를 활용한 논증 활동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요약글쓰기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실험반과 비교반의 평균과 표준 편차 및 U-검증 결과를 Table 2에 제시하였다.
  • (2008)의 연구를 토대로 일반적인 단원 요약과는 다르게 단순히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는 데 그치지 않고, 상대방을 이해시키기 위한 글쓰기로 구성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고체에서의 열전달, 액체에서의 열전달에 대해 동생에게 설명하는 글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논증 활동을 촉진하기 위해서 오류 상황을 포함한 논증 과제를 제시하고, 이에 기반한 논증 활동을 수행하게 하는 수업을 적용하여 인지적․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 학생들의 모둠별 논증 활동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살펴보았다.
  • 학생들은 오류 상황을 파악하고 해결하기 위하여 증거를 수집하고, 이를 토대로 주장을 하는 타당한 방식의 논증을 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관찰 결과에 대한 잘못된 추론, 부정확한 선지식이나 이론의 적용 등은 오류에 대한 활발한 논의에도 불구하고, 잘못된 결론으로 이끌게 되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교육의 목표는 무엇인가? 과학교육의 목표는 탐구를 통한 과학 지식 습득과 과학적 사고력 신장에 있다. 과학 지식은 과학자 공동체의 사회적 산물이기 때문에, 과학자들은 서로 다른 의견과 해석에 대하여 많은 논쟁과 설득의 과정을 거치면서 과학 지식을 생성해 나간다.
학생들에게 과학적 논증 활동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 이를 위해서는 과학수업 시간에 실질적인 의사소통이 일어나게 하는 구체적인 수업 방안이 필요하며, 학생들이 쉽게 접근하여 활발하게 논증 활동을 수행하게 하는 논증 과제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교사에 의해 제시되는 문제 상황인 논증 과제는 학생들의 다양한 인지 활동을 지원하고 촉진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Kuhn, 2009).
과학자들의 탐구 과정은 어떤 과정으로 진행되는가? 과학 지식은 과학자 공동체의 사회적 산물이기 때문에, 과학자들은 서로 다른 의견과 해석에 대하여 많은 논쟁과 설득의 과정을 거치면서 과학 지식을 생성해 나간다. 과학자들의 탐구 과정도 불확실성 속에서 최선의 의사 결정을 위한 치열한 사고와 논의의 과정으로 진행된다(Maloney & Simon, 2006). 그러나 지금까지 학교 과학교육은 실패와 문제가 없는 활동 중심으로 불변의 과학 법칙을 가르치는 것으로 이루어져 왔다(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arrows, H. S. (1996). Problem-based learning in medicine and beyond: A brief overview. New Direction for Teaching and Learning, 68, 3-12. 

  2. Chin, C. & Osborne, J. (2010). Supporting argumentation through students' questions: Case studies in science classrooms.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19, 230-284. 

  3. Cho, H. J., Yang, I. H., Lee, H. N. & Song, Y. M. (2008). An analysis on the level of evidence used in gifted elementary students' debat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8(5), 495-505. 

  4. Choi, S. Y., Kang, S. J. & Noh, T. H. (2008). The influences of cognitive conflict and situational interest by a discrepant event on the conceptual change process in learning the concept of combus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8(8), 779-785. 

  5. Jeong, H. S. & Oh, E. A. (2003). Sixth graders' inquiry understanding for scientific evidence and explan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3(6), 634-649. 

  6. Jung, J. H. & Kim, H. B. (2010). Influence of ACESE on high school students' argumentative structure and evolutionary concep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iology Education, 38(1), 168-183. 

  7. Kang, H. S., Choi, S. Y. & Noh, T. H. (2007). The influences of cognitive conflict, situational interest, and learning process variables on conceptual change in cognitive conflict strategy with an alternative hypothesis.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51(3), 279-286. 

  8. Kang, H. S., Kim, M. K. & Noh, T. H. (2007). The influences of cognitive conflict and non-cognitive variables on conceptual change and the sources of situational interest induced by a discrepant ev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7(1), 18-27. 

  9. Kim, H. K. & Song, J. W. (2004). The exploration of open scientific inquiry model emphasizing students' argument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4(6), 1216-1234. 

  10. Kim, H. N., Chung, W. H. & Jeong, J. W. (1998). National assessment system development of science-related affective domai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18(3), 357-369. 

  11. Kuhn, D. (1992). Thinking as argument. Harvard Educational Review, 62(2), 155-178. 

  12. Kuhn, D. (2009). Do students need to be taught how to reason? Educational Research Review, 4(1), 1-6. 

  13. Kwon, B. J. (2008). Elementary students's scientific argumentation type and argumentation level analysis by subject variable. Master's thesis,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4. Lee, H. N. & Cho, H. J. (2012). An exploration of teaching method for scientific inquiry including scientific argumentation in school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5(2), 175-188. 

  15. Lee, H. N., Cho, H. J. & Sohn, J. J. (2009). The teachers' view on using argumentation in school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9(6), 667-679. 

  16. Lim, H. J. & Yeo, S. I. (2012). Characteristics on elementary students' argumentation in science problem solving process.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1(1), 13-24. 

  17. Lim, J. K., Song, Y. M., Song, M. S. & Yang, I. H. (2010). An analysis on the level of elementary gifted students' argumentation in scientific inquiry.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9(4), 441-450. 

  18. Maloney, J. & Simon, S. (2006). Mapping children's discussions of evidence in science to assess collaboration and argument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8(15), 1817-1841. 

  19. McNeill, K. L. & Krajcik, J. (2012). Supporting grade 5-8 students in constructing explanations in science: The claim, evidence and reasoning framework for talk and writing. New York, NY: Pearson Allyn & Bacon. 

  20. Nam, J. H., Kwak, K. H., Jang, K. H. & Hand, B. (2008). The implementation of argumentation using science writing heuristic (SWH) in middle school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8(8), 922-936. 

  21. Park, Y. S. (2006). Theoretical study on the opportunity of scientific argumentation for implementing authentic scientific inquiry.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7(4), 401-415. 

  22. Seo, E. J. (2002). Study on conceptual change of heat transfer i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3. Song, M. S. (2009). Analysis on the level of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gument. Master's thesis,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4. Walton, D. N. (1990). What is reasoning? What is an argument? Journal of Philosophy, 87, 399-41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