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가수분해한 유채대로부터 유리당의 분리 및 이의 잔사로부터 펠릿의 제조
Separation of Reducing Sugars from Rape Stalk by Acid Hydrolysis and Fabrication of Fuel Pellets from its Residues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7 no.1, 2014년, pp.60 - 71  

양인 (충북대학교 목재종이과학과) ,  안병준 (국립산림과학원) ,  김명용 (충북대학교 목재종이과학과) ,  오세창 (대구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안세희 (대구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최인규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환경재료과학전공) ,  김용현 ((주)신흥기업사) ,  한규성 (충북대학교 목재종이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유채의 바이오리파이너리 원료화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유채대를 DW, AA, OA, SA 및 SH 용액에 침지하였다. 먼저 침지 유채대의 원소를 분석한 결과, 침지를 통하여 질소, 황, 염소의 함량이 효과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외에 침지액의 농도와 침지시간을 실험인자로 침지액 내에 존재하는 glucose, xylose, arabinose와 같은 유리당의 양을 조사하였는데, DW- 및 SH-침지액에서는 각각 xylose와 sucrose만 그리고 SA- 및 OA-침지액에서는 소량의 glucose만 검출되었다. 그러나 AA-침지액에서는 많은 양의 glucose와 소량의 arabinose까지 분석되었다. 한편, 유채대 침지에 사용된 산용액의 종류와 농도(1%, 2%)에 따른 glucose 양을 분석한 결과, AA를 침지액의 조제를 위한 산으로 사용하고 AA의 농도를 1%로 조절하는 것이 유채대로부터 효과적으로 glucose를 가수분해할 수 있는 조건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침지시간의 영향을 보면, 72 hr-침지에서 가장 많은 양의 glucose가 검출되었으며, 120 hr까지의 침지시간 연장은 유리되는 glucose 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음으로, DW, AA, OA 용액에 침지시킨 유채대를 이용하여 펠릿을 제조하였는데, 이 때 산의 농도 그리고 침지시간(24, 72, 120 hr)을 실험 인자로 사용하였으며, 이렇게 제조된 펠릿의 함수율, 겉보기밀도, 회분량, 발열량, 내구성을 측정하였다. 침지 유채대 펠릿의 겉보기 밀도와 발열량은 무침지 유채대 펠릿과 비교하여 크게 높았으며, 실험 인자와 상관없이 EN 규격의 A등급 기준($${\leq_-}600kg/m^3$$, $${\qeq_-}14.1MJ/kg$$)을 각각 상회하였다. 유채대의 침지는 무침지 유채대의 회분량(8.9%)과 비교하여 회분량을 크게 감소시켰으며, 특히 AA-와 DW-침지가 유채대의 회분량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침지 유채대의 회분량은 EN 규격의 A등급 기준($${\leq_-}5.0%$$)을 만족하였다. 침지 유채대로 제조한 펠릿의 내구성은 전반적으로 무침지 유채대 펠릿(97.40%)보다 낮았으며, 특히 OA-2%에 120 hr 침지시킨 유채대 펠릿을 제외하고 나머지 조건은 EN 규격의 B등급($${\qeq_-}96.00%$$) 기준에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침지 유채대의 원소 및 유리당 분석 그리고 펠릿의 품질 시험 결과를 종합하면, 1% 농도의 AA 용액에 유채대를 72 hr동안 침지시키는 것이 유채대의 바이오에탄올 및 펠릿 원료화를 위한 최적조건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따라서 이 조건에서 1 kg의 유채대를 침지시켰을 경우, 산술적으로 바이오에탄올 생산용 원료인 50 g의 glucose를 얻을 수 있으며, 나머지 950 g의 잔사는 아그로펠릿의 원료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AA-침지 유채대로 제조한 펠릿의 낮은 내구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세분화된 범위의 침지 조건 탐색, 목분과의 혼합 펠릿 제조, 바인더의 첨가 등과 같은 추가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otential of rape stalk as a raw material for biorefinery process of rape flower. At first, rape stalk (RS) was immersed in distilled water (DW), acetic acid (AA), oxalic acid (OA), sulfuric acid (SA) and sodium hydroxide (SH) solutions, and the content of 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예를 들면 목재펠릿 시장이 안정적으로 발전한 유럽에서 농업부산물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아그로펠릿(agropellet)에 대한 관심이 최근 커져가고 있으며, 덴마크, 프랑스, 독일 등 13개국에서 총 183,700 톤의 아그로펠릿을 생산하고 있다(Wach and Bastian, 2009). 국내에서 이러한 목적에 부합되는 여러 작물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바이오디젤 생산용 원료로 적합한 것으로 밝혀지며 재배면적이 크게 늘어난 유채를 사용하는 방안을 조사하였다.
  • 그러므로 본 연구는 Fig.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채의 효율적 이용이라는 측면에서 바이오에탄올 등의 원료인 당을 회수하기 위하여 묽은 산 용액에 의한 유채대의 가수분해를 실시하였고, 산의 종류 및 농도 그리고 침지시간이 유리당의 종류 및 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유채대의 가수분해 잔사를 이용하여 펠릿을 제조하였으며, 이렇게 제조된 펠릿의 품질에 산의 종류 및 농도, 침지시간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 그러나 유채에서 현재까지 이용 및 연구 되고 있는 부분은 주로 유채 종실에 국한되어 있으며, 부산물인 줄기와 잎은 토양 개량, 사료 및 열원용으로 일부 사용되고 있는 상황이며, 대부분은 미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채로부터 유채유 및 바이오디젤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농업부산물인 유채대를 아그로펠릿의 원료로 사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유채의 바이오리파이너리 원료화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유채대를 DW, AA, OA, SA 및 SH 용액에 침지하였다. 먼저 침지 유채대의 원소를 분석한 결과, 침지를 통하여 질소, 황, 염소의 함량이 효과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체 바이오연료는 무엇인가? 따라서 여러 선진국에서 많은 초기 투자비용에도 불구하고 태양열, 풍력, 조력, 바이오매스 등과 같은 신재생에너지 개발에 여러 연구 및 과감한 투자를 추진하고 있다. 이 가운데 바이오매스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제조한 펠릿, 브리켓과 같은 고체 바이오연료를 이용하여 열 또는 전기를 공급하는 시장이 유럽을 중심으로 1990년대 후반부터 성장하기 시작하였으며, 향후 그 시장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Yang et al., 2011a).
유채대를 회분 함량이 낮은 원료와 혼합하여 펠릿을 제조하여야 하는 이유? 또한 유채대는 대부분의 농업부산물과 마찬가지로 낮은 밀도로 단위부피당 순에너지량이 낮은데, 이러한 문제점은 압밀화를 통하여 어느 정도 해결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많은 농업부산물을 펠릿의 원료로 사용할 경우 발생하게 되는 가장 큰 문제점으로 유채대는 목분에 비하여 많은 질소, 황, 염소 그리고 회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 회분의 용해온도가 낮아 연소 시에 보일러 내에 클링커 (clinker) 현상 및 부식을 초래하고, 아울러 연소 후에 많은 양의 대기오염 물질이 발생되어 가정용 보일러 원료로 사용이 불가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Boman et al., 2006).
유채대의 운송, 취급 및 보관에 어려움을 해결하는 방법은? 유채대는 유채씨를 수확한 후 부산물로 발생하는 줄기와 잎으로 확보 가능한 양은 유채씨의 수확량과 거의 동일하며, 따라서 상당한 양의 유채대 확보가 산술적으로 가능하다. 그러나 유채대와 같은 짚은 목재나 석탄과 같이 열원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원료와 비교하여 낮은 밀도로 인하여 운송, 취급 및 보관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은 유채 재배지 근처에서 펠릿을 생산하거나, 이동식 펠릿 성형기를 이용함으로써 해결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유채대는 대부분의 농업부산물과 마찬가지로 낮은 밀도로 단위부피당 순에너지량이 낮은데, 이러한 문제점은 압밀화를 통하여 어느 정도 해결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erot, S., J.P. Compoint, C. Larre, C. Malabat and J. Gueguen. 2005. Large scale purification of rapeseed proteins (Brassica napus L.). J. Chromatogr. B. 818:35-42. 

  2. Boman, C., M. Ohman and A. Nordin. 2006. Trace element enrichment and behavior in wood pellet production and combustion processes. Energ. Fuel 20:993-1000. 

  3. Codero, T., F. Marquez, J. Rodriguez-Mirasol and J. Rodriguez. 2001. Predicting heating values of lignocellulosics and carbonaceous materials from proximate analysis. Fuel 80: 1567-1571. 

  4. Danielsen, V., B.O. Eggum, J.S. Krogh and H. Sorensen. 1994. Dehulled protein-rich rapeseed meal as a protein source for early weaned piglets. Anim. Feed Sci. Tech. 46:239-250. 

  5. European Nation Committee for Standardization. 2012. Solid biofuels - Fuel specification and classes, Part 6: Non-woody Pellets for Non-industrial Use, 14961-6. Brussels, Belgium. 

  6. Fengel, D. and G. Wegener. 1984. Polyoses (Hemicellulose) In Wood - Chemistry, Ultrastructure, Reaction, Walter de Gruyter, New York, NY (USA). pp. 106-131. 

  7. Food Agriculture Organization. 2012. Food and Agricultural Commodities Production, http://faostat.fao.org/site/339/default. aspx (Access date: February 11, 2013). 

  8. Han, G.S., S.M. Lee and S.J. Shin. 2009. Densified pellet fuel using woody core of industrial hemp (Cannabis sativa L.) as an agricultural waste. J. Korean Plant Res. 22(4):293-298 (in Korean). 

  9. Han, G.S., I. Yang and M. Sagong. 2012. Investigation of the basic properties of agricultural residues as a raw material for the production of agropellets and the evaluation of their fuel characteristics. J. Korean Soc. Waste Manage. 29(2):169-179 (in Korean). 

  10. Jeong, H.S., H.Y. Kim, S.H. Ahn, S.C. Oh, I. Yang and I.G. Choi. 2011. Extraction of liberated reducing sugars from rapeseed cake via acid and alkali treatm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11):1575-1581 (in Korean). 

  11. Lee, S.M., B.J. Ahn, D.H. Choi, G.S. Han, H.S. Jeong, S.H. Ahn and I. Yang. 2013. Effects of densification variables on the durability of wood pellets fabricated with Larix kaempferi C. and Liriodendron tulipifera L. sawdust. Biomass Bioenergy 48:1-9. 

  12. Lim, W.S. and J.W. Lee. 2012. Enzymatic hydrolysis condition of pretreated corncob by oxalic acid to improve ethanol production. J. Korean Wood Sci. Tech. 40(4):294-301 (in Korean). 

  13. McLaughlin, S.B. and M.E. Walsh. 1998. Evaluating environmental consequences of producing herbaceous crops for Bioenergy. Biomass Bioenergy 14(4):317-324. 

  14. Obernberger, I. and G. Thek., 2004. Physical characterization and chemical composition of densified biomass fuels with regard to their combustion behaviour. Biomass Bioenergy 27:653-669. 

  15. Roger, F.G. and C.R. Frank. 1980. Rapeseed meal and its use in poultry diets. A review. Anim. Feed Sci. Tech. 5:255-298. 

  16. Telmo, C., J. Lousada and N. Moreira. 2010. Proximate analysis, backwards stepwise regression between gross calorific value, ultimate and chemical analysis of wood. Bioresource Technol. 101:3808-3815. 

  17. Wach, E. and M. Bastian. 2009. Development and promotion of a transparent European Pellets Market Creation - of a European real-time Pellets Atlas, Pellet market country report POLAND. Baltic Energy Conservation Agency. Intelligent Energy. 

  18. Yang, I., S.C. Oh, S.H. Ahn, I.G. Choi, Y.H. Kim, S.M. Lee and G.S. Han. 2011a. Pellets made with rapeseed and rape stalk flour obtained from the production of bio-diesel and the evaluation of its characteristics. J. Korean Soc. Waste Manage. 28(1):89-96 (in Korean). 

  19. Yang, I., G.S. Han, I.G. Choi, Y.H. Kim, S.H. Ahn and S.C. Oh. 2011b. Development of adhesive resins formulated rapeseed flour hydrolyzates for laminated veneer lumber and its performances evaluation. J. Korean Wood Sci. Tech. 39(3):221-229 (in Korean). 

  20. Yang, I.. H.S. Chang, S.C. Oh, S.H. Ahn, I.G. Choi, Y.H. Kim and G.S. Han. 2013. Effects of binder addition and immersion treatment on the qualities of rape stalk-based agropellts. J. Korean Soc. Waste Manage. 30(4): 357-367 (in Korean). 

  21. Yoshie-Stark, Y., Y. Wada and A. Wasche. 2008. Chemical composition, functional properties, and bioactivities of rapeseed protein isolates. Food Chem. 107:32-39. 

  22. 국립산림과학원. 2013. 목재펠릿 품질 규격. 국립산림과학원 고시 제 2013-5호. 

  23. 김광수. 2009. 생산량 증대를 위한 유채의 적기 파종법. 농업기술회보 46(6):20-21. 

  24. 이수민, 이오규, 안병준, 최석환, 조성택, 김외정. 2009. 저탄소녹색성장시대 청정에너지 목재펠릿. 산림과학속보. 국립산림과학원. 서울, 대한민국. pp. 109-20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