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다학제간 캡스톤디자인에 마이크로콘트롤러 보드의 적용
The Application of Micro Controller Board to Engineering Education for Multidisciplinary Capstone Desig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2 no.2, 2014년, pp.531 - 537  

윤석범 (공주대학교 공과대학 광공학과) ,  장은영 (공주대학교 공과대학 전기전자제어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공주대학교 공과대학 학생들에게 다학제간 캡스톤 디자인을 운영하기 위한 모델을 제시한다. 여름방학 계절학기 기간 중에 공주대학교 공과대학에서 다학제간 캡스톤 디자인을 운영하였다. 다학제간 캡스톤 디자인에 참여한 학생들은 이전에 캡스톤 디자인 교과목을 수강하지 않은 서로 연관이 없는 5개 전공 학생들이다.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에게 캡스톤 디자인작품을 완성하기 위해 센서 및 액츄에이터 등을 이용하는 아두이노 우노 마이크로 컨트롤러 제어보드를 사용하는 캡스톤 디자인 모델을 도입하였다. 만족도 평가를 통해 더 창의적이면서 현장감 있는 의미 있는 교육이 진행되었음을 알게 되었다. 이를 통해 다학제간 캡스톤 디자인 부분에서 앞으로의 가능성 있는 방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model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multidisciplinary convergence capstone design at Kongju National University's Engineering Department. At Kongju national University, various capstone design works are designed and proceeded by multidisciplinary students at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공주대학교 공과대학 학생들에게 계절학기로 다학제간 캡스톤 디자인 교과목을 개설하여 운영하면서, 여러 전공 학생들에게 쉽게 적용 가능한 마이크로 컨트롤러 보드에 기반을 둔 작품제작에 기초한 융합형 캡스톤디자인 디자인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통하여 공주대학교 공과대학 학생들에게 확산 가능한 모델의 효과성을 보여준다.
  • 아두이노 제어 보드의 장점은 다른 마이크로 컨트롤러 플랫폼에 비해 저렴하고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실행이 가능하다. 무엇보다도 프로그래밍하기 쉽도록 오픈소스(open source)를 웹상에서 무상으로 공개하여 누구나가 자유롭게 기술을 공유하고 익힘으로서 새로운 창작 개념의 개발과 개선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공주대학교 공과대학 학생들에게 계절학기로 다학제간 캡스톤 디자인 교과목을 개설하여 운영하면서, 여러 전공 학생들에게 쉽게 적용 가능한 마이크로 컨트롤러 보드에 기반을 둔 작품제작에 기초한 융합형 캡스톤디자인 디자인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통하여 공주대학교 공과대학 학생들에게 확산 가능한 모델의 효과성을 보여준다.
  • 본 연구는 공과대학의 서로 다른 전공 학생들로 팀을 구성하여 캡스톤 디자인을 진행할 경우에 다양한 아이디어 제안과 작품제작시 전공 불일치에 따르는 교과목 운영상의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누구나가 쉽게 접근 가능한 마이크로 컨트롤러 제어보드를 이용도구로 하는 다학제간 캡스톤 디자인 모델을 제안하였다. 캡스톤 디자인을 시작하는 처음 2~3일 동안은 이용도구를 기반으로 각자의 전공과 관련된 하나의 주제를 갖는 작품 도출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두이노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학생들이 창작 제품을 개발하는데 어려움이 없는 이유는? 아두이노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연결되는 입력 장치로는 스팀센서, 비접촉수위 감지센서, 디지털 적외선 거리 측정센서, 압력센서, 기압센서, 피에조 진동센서, 휨센서, 지자기센서, 온습도 센서 및 디지털 조도센서 등이 있고 출력 장치에는 릴레이 모듈, 각종 LED, 스피커 및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에 직접 연결하여 동작이 가능하다. 이러한 입출력의 다양성과 범용성으로 인해 학생들이 창작 제품을 개발하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하였다. 참가 전공 학생들은 기계설계공학, 자동차공학, 기계공학, 공업화학 전공 및 나노재료전공 소속으로서 팀 구성은 서로 다른 전공 학생으로 구성하였다.
아두이노 제어 보드는 무엇인가? 아두이노 제어 보드는 자신이 직접 프로그래밍 할 수있는 내장된 마이크로콘트롤러, 센서 및 액추에이터등을 결합하여 이용할 수 있는 범용 마이크로프로세서이다. 의상 분야에서는 이미 직물에 착용 가능한 아두이노 제어 보드를 활용한 테크놀러지 기술을 도입하는 등 그 응용 분야를 넓혀나가고 있다.
기존의 종합설계 교육은 어떤 과정으로 진행되는가? 기존의 종합설계 교육에서 진행되는 교육 과정은 문제의 이해 및 해결방안 모색을 통한 설계과정과 첨단 도구를 사용하여 문제를 직접 해결하고 진행과정, 경험 및 지식을 통해 보고서가 작성되며 최종 단계에서 결과를 발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일반적인 진행과 정은 단일 전공 학생들로 이루어진 팀에서는 그 진행이 무리가 없으나 다학제 캡스톤 디자인의 경우에는 팀을 구성하는 학생 상호간의 전공 이해 부족 및 공동의 아이디어 도출이 쉽지 않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K. Gruenther, J. Wilson, C. Plucker, H. Hashmi, and R. Bailey, The Influence of Prior Industrial Experience and Multidisciplinary Teamwork on Student Design Learning in a Capstone Design Course, 37th ASEE/IEEE Frontiers in education Conference, S1D-1-6, October, 2007 

  2. L.Thigpen, E. Glakpe, G. Gomes and T.McCloud, A Model for teaching multidisciplinary capstone Design In Mechanical Engineering, 34th SEEE / IEEE Frontiers in Education Conference, 2G-1-6, October, 2004 

  3. M. Kevin Parfitt, Robert J. Holland and Ryan L. Solnosky, Results of a Pilot Multidisciplinary BIMEnhanced integrated Project Delivery Capstone Engineering Design Course in Architectural Engineering, AEI 2013 pp. 44-53 2013 

  4. Changbeom Shin, The teaching method for design curriculums using capstone-design, HCI 2013 conference, pp.565-568, 2013. 

  5. Su Ryeon Kang, Ah Young Han, Yi Kyung Kim, A study on the design of dance costumes using lilypad arduino, J.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Vol. 11, No.3, pp.15-28, 2011 

  6. L. Buechley, M. Eisenberg, J. catchen, and A. crockett, The Lilypad Arduino : Using computational textiles to investigate engagement, aesthetics, and diversity in computer science education, CHI 2008 proceedings, pp. 423-432, 2008 

  7. Eun-Young Chang, A study on the operating management methode of creative engineering design and project based capstone design for the purpose of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engineering education, J.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Vol. 2, No. 2, pp.266,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