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선충 억제 활성 식물 추출물의 선발
Screening of Plant Extracts for Nemastatic Activity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20 no.1, 2014년, pp.37 - 49  

김동근 (유기농업연구소) ,  류영현 (유기농업연구소) ,  허창석 (유기농업연구소) ,  류정아 (유기농업연구소) ,  연일권 (유기농업연구소) ,  이윤수 (강원대학교 식물자원응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식물 기원의 살선충 물질 탐색 연구의 일환으로, 178과, 1,677종 식물의 부위별 조추출물 2,714종을 이용하여 이들이 선충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선충억제 활성 검정은 96-well microplate를 이용하였으며 부식성선충 20마리를 조추출물 $5,000{\mu}g/ml$에 침지하고 7일간 매일 관찰하였다. 시험결과 2,362종(87.0%)의 조추출물은 부식성선충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187종(6.9%)의 조추출물은 부식성선충의 활성을 50% 정도 억제하였고, 95종(3.5%)의 조추출물은 90% 이상 억제를 보였으며, 70종(2.6%)의 조추출물에서는 오히려 부식성선충이 번식되었다. 1차 검정에서 50% 이상 선충억제 활성을 보인 추출물중에서, 25개의 추출물을 임의로 선택하여 2, 3차(부식성선충), 4차(고구마뿌리혹선충 유충) 반복 시험을 수행한 결과, 약 44%의 시료는 지속적인 선충억제 활성을 보였다. 이번 시험에서 선충억제 활성을 나타낸 282개의 식물 조추출물은 앞으로 식물 기원의 살선충 물질 연구시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total of 2,714 methanol extracts of 1,677 plant species in 178 families were screened for nemastatic activity against Rhabditis sp. by 96-well microplate bioassay. The plant extracts with a concentration of $5,000{\mu}g/ml$ were mixed with aqueous nematode solution containing about 20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경북농업기술원 유기농업연구소와 한국식물추출물은행에서 분리한 식물의 methanol 조추출물 2,714종을 수집하고 이들 조추출물이 선충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물기생성 선충의 살선충제 시험을 할때의 어려운 점은? 살선충제 시험을 하기 위해서는 시험 기간 중 실험에 필요한 선충이 항상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어야 한다. 식물기생성선충은 순활물기생균으로 식물체에 직접 접종하여 배양해야함으로 배양기간이 40-60일로 오래 걸리고 발육생태가 다양하여 안정적인 선충 공급이 어렵다. 또한 식물기생성선충은 움직임이 느리기 때문에 현미경으로는 살선충제의 영향을 받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기가 어려운 점이 있다. 염색을 통하여 선충의 생사를 판별하는 방법이 있지만(Moriarty, 1964) 이 방법은 신속하게 다량의 시료를 검토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살선충 활성을 가진 식물의 예는? 그동안 친환경적인 선충방제 연구의 일환으로 식물로부터 살선충 물질을 탐색하고자 하는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졌다(Grewal, 1989; Siddiqui와 Alam, 1990; Verma 등, 1989; Whapham 등, 1994). 살선충 활성을 가진 식물의 예로 인도의 Couroupita quianensis(포탄나무)와 Pentanema indicum(Pavaraj 등, 2012), Piper betle(후추류, Wiratno 등, 2009), 남아프리카의 Hippobromus pauciflorus와 Berchemia zeyheri(McGaw 등, 2007), Ocimum sanctum와 O. basilicum(바질류, Chatterjee 등, 1982), 일본 오키나와의 Bidens pilosa var. radiata(흰도깨비바늘, Satoshi 등, 2008), 수단의 Cucumis melo var. agrestis와 Acacia nilotica(가시아카시아, Elbadri 등, 2008), 이스라엘의 Myrtus communis(은매화, Oka 등, 2012) 등이 있다.
살선충제 시험을 위한 전제조건은? 살선충제 시험을 하기 위해서는 시험 기간 중 실험에 필요한 선충이 항상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어야 한다. 식물기생성선충은 순활물기생균으로 식물체에 직접 접종하여 배양해야함으로 배양기간이 40-60일로 오래 걸리고 발육생태가 다양하여 안정적인 선충 공급이 어렵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Chatterjee, A., Sukul, N. C., Laskar, S. and Ghoshmajumdar, S. 1982. Nematicidal principles from two species of Lamiaceae. J. Nematol. 14: 118-120. 

  2. Choi, I. H., Park, J. Y., Shin, S. C. and Park, I. K. 2006. Nematicidal activity of medicinal plant extracts and two cinnamates isolated from Kaempferia galanga L. (Proh Hom) against the pine 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Nematol. 8: 359-365. 

  3. Elbadri, G. A., Lee, D. W., Park, J. C., Yu, H. B. and Choo, H. Y. 2008. Evaluation of various plant extracts for their nematicidal efficacies against juveniles of Meloidogyne incognita. J. Asia-Pacific Entomol. 11: 99-102. 

  4. Ferris, H. and Zheng, L. 1999. Plant sources of Chinese herbal remedies. J. Nematol. 31: 241-263. 

  5. Germani, G., Reversat, G. and Luc, M. 1983. Effect of Sesbania rostrata on Hirschmanniella oryzae in flooded rice. J. Nematol. 15: 269-271. 

  6. Grewal, P. S. 1989. Nematicidal effects of some plant extracts to Aphelenchoides composticola (Nematoda) infesting mushroom, Agaricus bisporus. Revue de Nematol. 12: 317-322. 

  7. Heo, J. 1610. Dongeuibogam. CD-ROM. Yeogang Press, 1994. Seoul, Korea. 

  8. Huang, K. C. 1993. The Pharmacology of Chinese Herbs. CRC Press, Ann Arbor, USA. 388 p. 

  9. Johnson, A. W., Golden, A. M., Auld, D. L. and Sumner, D. R. 1992. Effects of rapeseed and vetch as green manure crops and fallow on nematodes and soil-borne pathogens. J. Nematol. 24: 117-126. 

  10. Kim, D. G., Lee, Y. K., Lee, J. K. and Choi, Y. C. 1997. Simple cultivation of a Rhabditis sp. in nutrient broth. RDA. J. Crop Protec. 39: 42-46. 

  11. Kim, H. J., Choo, H. Y., Park, C. G., Lee, S. M. and Kim, J. B. 1998. Biological control of northern root-knot nematodes, Meloidogyne hapla with plant extract. Korean J. Appl. Entomol. 37: 199-206. 

  12. Kuhajek, J. M., Jeffers, S. N., Slattery, M. and Wedge, D. E. 2003. A rapid microbioassay for discovery of novel fungicides for Phytophthora spp. Phytopathology 93: 46-53. 

  13. Lim, S. H., Zhu, Y. Z. Kim, M. S., Lee, Y. S., Son, J. S., Park, D. S., Hur, J. H., Kim, H. Y. and Choi, H, J. 2004. Nematicidal activity of Korean native plants against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Korean J. Pesticide Sci. 8: 353-357. 

  14. MacGuidwin, A. E. and Layne, T. L. 1995. Response of nematode communities to sudangrass and sorghum-sudangrass hybrids grown as green manure crops. J. Nematol. 27: 609-616. 

  15. McGaw, L. J., Van der Merwe, D. and Eloff, J. N. 2007. In vitro anthelmintic, antibacterial and cytotoxic effects of extracts from plants used in South African ethnoveterinary medicine. The Veterinary J. 173 : 366?372. 

  16. Miao, S. D. 1993. Zhon ghua yao hai. (The expanse of Chinese herbal medicines). Haerbin Publisher, Haerbin, China. 

  17. McGaw, L. J., Van der Merwe, D. and Eloff, J. N. 2007. In vitro anthelmintic, antibacterial and cytotoxic effects of extracts from plants used in South African ethnoveterinary medicine. The Veterinary J. 173: 366?372. 

  18. Mojtahedi, H., Santo, G. S. and Ingham, R. E. 1993. Suppression of Meloidogyne chitwoodi with sudangrass cultivars as greenmanure. J. Nematol. 25: 303-311. 

  19. Moriarty, Y. 1964. The efficacy of chrysoidin, new blue R and phloxine B for determining the viability of beet eelwonn, Heterodera schachtii Schm. Nematologica 10: 644-646. 

  20. Oka, Y., Ben-Daniel, B. and Cohen, Y. 2012. Nematicidal activity of the leaf powder and extracts of Myrtus communis against the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javanica. Plant Pathol. 61: 1012?1020. 

  21. Oostenbrink, M. 1960. Population dynamics in relation to croppings, manuring and soil disinfection. In: Nematology, ed. by J. N. Sasser and W. R. Jenkins, Univ. of North Carolina, USA. 

  22. Pavaraj, M., Bakavathiappan, G. and Baskaran, S. 2012. Evaluation of some plant extracts for their nematicidal properties against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J. Biopest. 5: 106-110. 

  23. Perry, L. M. 1980. Medicinal Plants of East and Southeast Asia.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Cambridge, USA. 632 pp. 

  24. Preiser, F. A. 1962. Study and development of comparative laboratory testing of nematicides. PhD. thesis. McGill University, Montreal, Canada. 

  25. Prot., J. C., Soriano, I. R. S., Mantias, D. M. and Savary, S. 1992. Use of green manure crops in control of Hirschmanniella mucronata and H. oryzae in irrigated rice. J. Nematol. 24: 127-132. 

  26. Satoshi T., Sawada, J. and Moromizato, Z. 2008. Nematicidal activity of Okinawa Island plants on the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Kofoid and White) Chitwood. Plant Soil 303: 207-216. 

  27. Siddiqui, M. A. and Alam, M. M. 1990. Toxicity of different plant parts of Tagetes lucida to plant-parasitic nematodes. Indian J. Nematol. 18: 181-185. 

  28. Southey, J. F. 1986. Laboratory Methods for Work with Plant and Soil Nematodes. Her Majesty's Stationery Office, London, UK. 202 pp. 

  29. Tarjan, A. C. 1955. Evaluation of various nematodes for use in contact nematicide tests. Proc. Helm. Soc. Wash. 22: 33-37. 

  30. Taylor A. L. and Sasser, J. N. 1978. Biology, Identification and Control of Root-knot Nematodes (Meloidogyne Species). North Carolina State Univ., Graphics, USA. 111 pp. 

  31. Verma, B. S., Verma, K. K., Sangwan, N. K. and Dhindsa, K. S. 1989. Toxicity of some indigenous plant extracts to root-knot, seedgall, and citrus nematodes. Pesticides(Bombay) 23: 25-57. 

  32. Whapham, C. A., Jenkins, T., Blunden, G. and Hankins, S. D. 1994. The role of seaweed extracts, Acophyllum nodosum, in the reduction in fecundity of Meloidogyne javanica. Fund. Appl. Nematol. 17: 181-183. 

  33. Wiratno D. T., Van den Bergb, H., Riksend, J. A. G., Rietjensb, I. M. C. M., Djiwantia, S. R., Kammengad, J. E. and Murkb, A. J. 2009. Nematicidal activity of plant extracts against the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The Open Nat. Prod. J. 2: 77-85. 

  34. Zhang, G. and Xia, G. 1996. Color Pictorial Handbook of Toxic Chinese Herbs. Xinhao Bookstore, Tiangzing, Chin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