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방관서 내에서 여성구급대원의 스트레스 해소방안: 경상북도를 중심으로
Resolution Method of Women's EMT Stresses at the Fire Station: Focused on the Gyungbuk Province 원문보기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v.16 no.1, 2014년, pp.45 - 52  

이성철 (포항북부소방서) ,  이란희 (한양대 행정학과) ,  공하성 (경일대 소방방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sure what the stress causes of women's EMTs within the firehouse are, and is to suggest ideas (plans) that are possible to resolve this problem. The reasons are because of difficulties such as not only the overwork at one's tasks, the uncomfortable working envi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으로 조사되었다. 구급출동현장이 아닌 소방관서 내에서도 여성구급대원이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스트레스를 발생시키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조사해 보았다.
  • 문헌조사와 설문을 통해 도출된 자료를 통해 앞으로 전문성이 무엇보다도 중요시되는 구급 업무의 특성상 경상북도 여성구급대원에 대한 소방관서 내에서의 근무여건을 개선하여 스트레스를 경감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그러나 기존 연구는 구급대원 전반에 관심을 두고, 현장에서의 스트레스에 주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는 구급대원 중 여성구급대원과 현장 전반에 걸친 스트레스 전반에 관심을 가지고 있기 보다는 소방관서 내에서 다양한 업무를 하면서 느끼는 스트레스에 집중하여 요인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 연구를 통해 여성구급대원에 대한 적절한 인력충원과 근무환경 개선, 임신 및 출산 등 복지정책에 관심을 두게 된다면 직무에 대한 만족도 향상 및 스트레스는 자연적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고, 궁극적으로 구급의 질적 서비스가 향상될 것이라 기대된다.
  • 이에 따라 여성구급대원의 효율적 관리가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 연구는 이에 주목하여 소방관서 내에서 근무하고 있는 여성구급대원의 스트레스에 주목하고, 이를 해소하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소방관서 내에서의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방안으로 첫째, 과중한 업무를 탈피하기 위해 구급대의 분리운영을 통한 타 업무의 감소방안이 필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금의 소방공무원은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가? 불확실한 경제상황에서 해마다 실시되는 공무원시험은 새로운 경쟁률을 매년 갱신할 정도로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이렇게 높은 경쟁률을 뚫고 공무원이 된 지금의 소방공무원은 예전의 수동적이고 소극적인 공무원이 아닌 뚜렷한 목적의식과 사명감이 있어야 하는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공무원으로 변화해야 한다. 특히, 이러한 인식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책임지는 119 구급대원(Emergency Medical Technician)의 경우 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책임지는 119 구급대원은 뚜렷한 목적의식과 사명감을 가져야 하는데 이러한 인식이 중요한 이유는? 특히, 이러한 인식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책임지는 119 구급대원(Emergency Medical Technician)의 경우 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소방분야에서 구급의 역할 및 비중은 지금보다 훨씬 커질 것이고, 이에 따라 국민이 요구하는 서비스 수준도 높아질 것이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 여성의 구급대원의 채용의 증가와 함께, 여성구급대원을 필요로 하는 업무의 증가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여성구급대원을 필요로 하는 여성의 전문성이 있어야 하는 업무는? 특히, 최근 여성의 구급대원의 채용의 증가와 함께, 여성구급대원을 필요로 하는 업무의 증가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가령, 다양한 질병의 출현 및 발병, 예측할 수 없는 각종 사건과 사고, 여성과 아동 성폭력 사건, 출산장려정책에 맞춘 임산부를 위한 구급 정책, 다문화가정지원, 가정폭력 등 여성의 전문성이 있어야 하는 업무가 그것이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효율적 관리, 효과적 목표달성 등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기라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Hyun-A Bae, Soon-Young Yun, Koo-Young Jung, Kyung-Whan Lee, Chan-Woong Kim(2005), "A Study on Civil and Criminal Liabilities of 119 Rescue and Its Legal Protection." T.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 & Eng., Vol. 19, No. 2, 45 

  2. Sang-Min Yoon(2006), "A Criminal Responsibility of Aid by 119 Rescuer." T.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 & Eng., Vol. 20, No. 4, 77 

  3. Ha-Sung Kong(2007), "Job Satisfaction Improvements Ways of Fire Official: With a Focus on First-Aid Staff." T.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 & Eng., Vol. 21, No. 1, 19 

  4. Jae-Hee, Kim(2009), "The Influence of Stress Response and Scene Stress on Physical Symptoms in Paramedic." T.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 & Eng. Spring of Academic Conference, 534 

  5. Kyung-Youl Lee, Seong-Woo, Yun(2011), "Prehospital Care of 119 for Non-traumatic Cardiac Arrest and Improvement to Increase Advanced Care Rate." J.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 & Eng., Vol. 25, No. 5, 21 

  6. Ji-Yeon Jung, Young Chung(2010), "Development of a Prehospital Protocol o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J.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 & Eng., Vol. 24, No. 2, 185 

  7. Jae-Man Lim, Eun-Sook Choi(2010), "Legal Reviews and Countermeasures against Violence to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EMT)." J.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 & Eng., Vol. 24, No. 2, 154 

  8. Gyeungbuk Fire Service Headquarters.(2012). "Fire Service data & Statisctics." Dongyang Publishers. 

  9. Ha-Sung Kong, Ranny Lee, Seong-Chul Lee(2013), "A Study on Searching for Reduction of Women EMTs's Stress" J. Korea Saf. Manag. Sci., Vol. 15, No. 4, 1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