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부모의 양육태도와 또래관계 속성이 아동의 휴대전화 의존도 및 활용유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s and peer relationships on children's mobile phone dependency and use type 원문보기

한국생활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23 no.2, 2014년, pp.163 - 174  

임양미 (전주대학교 가정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discriminate the groups clustered by mobile phone dependency and use type and to explore the quality of parent child-rearing attitudes and peer relationships predicting the types of groups. The subjects were the 688 fourth-grad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Korea Child Youth Pan...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휴대전화 의존도와 활용유형 간에 상관관계가 존재함에 따라 두 요인을 결합하여 휴대전화 이용 형태를 집단으로 구분하고 이러한 집단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을 탐색한 연구(Kim & Seo, 2012)가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아동 및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도와 활용유형을 토대로 도출된 집단의 특성을 통해 휴대전화 이용형태를 한 번에 파악가능하고, 집단을 구분 짓는데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변인을 탐색함으로써 각 집단에 적합한 맞춤형 중재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아동의 심리적·행동적 속성은 청소년 및 성인에 비해 환경으로부터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아동의 휴대전화 이용형태를 파악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주변 환경의 영향력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 이상에서 언급한 필요성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휴대전화 의존도와 휴대전화 활용유형을 결합하여 아동의 휴대전화 이용형태를 한 번에 파악하고, 휴대전화 이용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양육태도와 또래관계의 질적인 속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시도는 궁극적으로 아동의 휴대전화 이용형태 특성에 맞는 효과적인 지도방안을 계획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본 연구는 한국 아동·청소년패널조사 자료 중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휴대전화 의존도 및 활용유형을 파악하고 휴대전화 이용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양육 태도와 또래관계 속성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본 연구는 아동을 대상으로 휴대전화 의존도와 활용형태를 동시에 고려하여 집단을 구분하고 이러한 집단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양육태도 및 또래관계의 구체적 속성을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추후연구에서는 아동기에 국한되어 자료를 수집한 본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아동기부터 청소년기까지 휴대전화 의존도 및 활용유형을 종단적으로 추적함으로써 휴대전화 이용형태와 관련된 가족 및 학교·지역사회 변인을 통합적으로 탐색할 필요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휴대전화 활용유형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휴대전화 활용유형은 사용자가 휴대전화를 어떠한 목적으로 이용하는 것과 관련된 개념으로 휴대전화 의존도와 휴대전화 활용유형은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휴대전화 활용유형은 친구관계형, 가족관계형, 오락 및 정보추구형 등으로 분류된다(Lee et al., 2012).
아동의 휴대전화 보유율이 증가한 이유는 무엇인가? 아동의 휴대전화 보유율이 증가한 이유는 휴대전화 기능의 다양화, 아동기의 발달적 특성, 아동대상 강력범죄의 증가 등을 통해 설명된다. 우선 최근 스마트폰이 등장한 이후, 휴대전화가 문자메시지의 교환, 인터넷 사용, 게임 등의 기능을 제공함에 따라 주도성이 높아지는 아동기부터 이러한 미디어를 통해 사회·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Alexander, 2000; Katz, 1999). 둘째, 아동기에는 또래동조 성향이 증가함에 따라 주변 또래들의 휴대전화 사용은 아동의 휴대전화 이용욕구를 높일 수 있다(Cho & Chung, 2012). 셋째, 최근 몇 년간 아동대상의 강력범죄 발생률이 높아지면서 휴대전화를 통해 자녀의 안전 상태를 파악하고자 하는 부모가 늘어남에 따라 아동의 휴대전화 가입자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휴대전화 의존도에 따른 사용자의 특징은 무엇인가? 몇몇 선행연구들(Kim, 2011; Kim & Seo, 2012; Lee et al., 2012)에 의하면 휴대전화 의존도가 높은 사용자는 휴대전화를 주로 친구와 연락을 하고 게임 및 오락을 위해 많이 사용하는 반면 휴대전화 의존도가 낮은 사용자는 가족과 의사소통 및 정보검색 등에 주로 활용하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이 휴대전화 의존도와 활용유형 간에 상관관계가 존재함에 따라 두 요인을 결합하여 휴대전화 이용 형태를 집단으로 구분하고 이러한 집단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을 탐색한 연구(Kim & Seo, 2012)가 시도 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lexander, P. (2000). Teens and mobile phones growing up together: Understanding the reciprocal influences on the development of identity. Submitted for the Wireless Word Workshop. 

  2. Bianchi, A., & Phillips, J. G. (2005). Psychological predictors of problems mobile phone use. Cyber Psychology & Behavior, 8(1), 39-51. 

  3. Chang, S. J., Song, S. W., & Cho, M. A. (2012). The effects of perceived positive parenting attitude on mobile phone dependency: The mediating roles of self-esteem and attachment to peer.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9(5), 161-187. 

  4. Cho, Y. J. (2013). Moderating effects of parental monitor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dependency on mobile phones and control of learning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51(2), 253-261. 

  5. Cho, Y. L., & Chung, O. B. (2012). A mediated moderation models of conformative peer bullying.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1(3), 520-529. 

  6. Crouter, A. C., MacDermid, S. M., & Perry-Jenkins, M. (1990). Parental monitoring and perceptions of children's school performance and conduct in dual and single-career families. Developmental Psychology, 26, 649-657. 

  7. Griffiths, M. D. (1999). Internet addiction: Fact or fiction. The Psychologist, 12(5), 246-250. 

  8. Gwag, M. J. (2004). The Characteristics of Trend and Addictive Inclination in Mobile Phone Use among Adolesc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Korea. 

  9. Hong, S. H. (2005). The dichotomous and polytomous logistic regression. Seoul: Kyoyookbook publishing Co. 

  10. Huh, M. Y. (1999). The study for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Parenting Behavior Inventory' perceived by adolesc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hw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1. Hwang, M. K.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peer attachment of multi-culture children and social anxie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12. Jang, H. J., & Chae, K. M.(2006).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with technological addiction: Cellular phone additio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1(4), 839-852. 

  13. Jang, S. H. (2011). The explanatory of personal, family, school variables on cellular phone addiction by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1(1), 291-310. 

  14. Jo, H. I. (2011). The effec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and Internet use motives on Internet addiction: Self-control as a mediator.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13(4), 269-287. 

  15. Kamibeppu, K., & Sugiura, H. (2005). Impact of the mobile phone on junior high-school students' friendships in the Tokyo metropolitan area. Cyberpsychology E-Behavior, 8, 121-130. 

  16. Katz, J. (1999). Connections : Social and cultural studies of the telephone in American life. New Brunswick: Transaction Publishers. 

  17. Kim, D. I., Chung, Y. J., Lee, J. Y., Kim, M. C., Lee, Y. H., Kang, E. B., Keum, C. M., & Nam, J. E.(2012). Development of smart 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adults: Self-report.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3(2), 629-644. 

  18. Kim, H. S. (2011).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cell phone dependency and use purpose in cell phone users among children. The 2nd Korea Child.Youth Panel Survey Conference, 837-850. 

  19. Kim, H. S., & Seo, M. J. (2012). The difference of ecological factors according to cell phone dependency and use purpose in cell phone users among children.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20(2), 271-293. 

  20. Kim, J. H. (2012). The effects of parental factors, friend's factors and personal factors on the mobile phone dependency of youth mediated by mobile phone use.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14(3), 97-120. 

  21. Kim, S. N., & Kim, H. W. (2004). A study on teenagers' mobile phone addict.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18(4), 88-116. 

  22.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2012). The survey of Internet use in 2012. : The summary Report. 

  23. Lee, E. J., Lee, J. A., Lee, H. J., & Chung, I. J. (2012). The effect of mobile phone usage type on school maladjustment: A mediating effect of mobile phone dependency.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14(4), 189-214. 

  24. Lee, H. G. (2008). Exploration the predicting variables affecting the addictive mobile phone use.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2(1), 133-157. 

  25. Lee, H. G. (2009). Exploration the predicting variables of the addictive mobile phone use of teenage: Comparison 20 and 30 age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6(1), 117-153. 

  26. Lee, S. H., Kim, H. S., Na, E. Y., Lee, S, Y., Kim, S. N., Bae, J. H., Choi, M. M., & Yang, J. Y. (2002). A study on mobile phone use and its effects of adolescents(2002-1). Seoul: Samsung Social Mental Health Institute. 

  27. Lee, Y. M., Lee, S. J., & Shin, H. S. (2009). The effects of personal, familial, school environmental variables on mobile phone addiction by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3), 29-43. 

  28. Ling, R.(2002). We will be reached: The use of mobile telephony among Norsegian youth. Telenor T & D Report, 16-98. 

  29. Maisch, D. (2003). Children and mobile phone..is there a health risk? the case for extra precautions. Journal of Environmental Medicine, 22(2), 3-8. 

  30.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1). The survey of Adolescent media use. in 2011. 

  31.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2013). The survey of Internet addiction in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