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건진료 전담공무원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태도, 자신감과 수행경험
Knowledge, attitude, confidence, and experiences of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 regard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원문보기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v.18 no.1, 2014년, pp.55 - 66  

황성호 (백석대학교 응급구조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attitude, confidence, and experiences of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CHP) regard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CPR). Methods : The subjects were 333 CHP in G Province, C Province, and I Metropolitan City. A structured self-rep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보건진료 전담공무원의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에 대한 중요성을 감안하면 효과적인 심폐소생술 교육프로그램 제공이 반드시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심폐소생술의 수행능력과 관련된 요인 파악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보건진료 전담공무원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태도, 자신감 그리고 수행경험에 관련된 요인들을 파악하였다.
  • 본 연구는 보건진료 전담공무원을 대상으로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태도, 자신감과 수행경험 실태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심폐소생 교육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한 조사연구이다. 연구결과 대상자들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자신감은 중간 정도의 수준이나 지식과 태도는 낮은 수준으로 나타나 근무지역 안에서 심정지 환자가 발생했을 경우 현장 응급처치를 책임져야 하는 일차응급의료 인력임을 감안할 때 시급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보건진료 전담공무원을 대상으로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태도, 자신감과 활용경험 등을 구체적으로 조사하여 효과적인 심폐소생술 수행과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보건진료 전담공무원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태도, 자신감 및 활용경험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진료 전담공무원을 대상으로 심폐소생술의 지식, 태도, 자신감을 파악하여 보건진료 전담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심폐소생술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건진료 전담공무원이란 무엇인가? 보건진료 전담공무원은 1980년부터 “농어촌 등 보건의료를 위한 특별조치법”에 근거해서 농어촌 등의 의료취약지역에 설치된 보건진료소에서 근무하는 1차 보건의료 인력으로 관할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미한 의료행위와 질병예방, 건강증진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공무원이다. 자격은 간호사·조산사 면허를 가진 자로서 보건복지부장관이 실시하는 24주 이상의 직무교육을 받은 사람이며[6], 현재 전국 1,908개소 보건진료소에 1,895명의 보건진료 전담공무원이 배치되어 근무하고 있다[7].
‘기본소생술 태도의 감정적 요소’ 측정도구의 내용은 무엇인가? 이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Cho[15]가 개발한 ‘기본소생술 태도의 감정적 요소’ 측정도구를 이용하였다. 도구의 내용은 ‘내가 심정지 환자에게 기본소생술을 시행하는 것은?’에 대한 응답으로 ① 좋다-나쁘다 ② 이롭다-해롭다③ 불필요하다-필요하다 ④ 유용하지 않다-유용하다 ⑤ 중요하다-중요하지 않다 ⑥ 두렵지 않다-두렵다 ⑦ 긴장된다-긴장되지 않는다 ⑧ 불안하다-불안하지 않다 ⑨ 좌절감을 느끼지 않는다-좌절감을 느낀다 ⑩ 스트레스를 받는다-스트레스를 받지 않는다로 이루어진 의미척도법 10문항이며, 각 문항의 배열은 고정선택을 줄이기 위해서 다섯개의 문항을 역순으로 배열하였다.
심정지 환자의 생존 퇴원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심폐소생술 관련요인들은 무엇이 있는가? 4%(2012년)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3]. 심정지 환자의 생존 퇴원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심폐소생술 관련요인들은 심정지 목격 후 구조요청까지의 소요시간, 목격자 심폐소생술 시행여부, 심정지 후 심폐소생술 실시까지의 소요시간, 제세동(Defibrillation)까지의 소요시간이다[4]. 기본소생술은(Basic life support)은 심폐소생술과 제세동을 포함하며 전문소생술(Advanced cardiac life support)의 치료효과는 기본소생술이 적절하게 시행되었을 때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Statistics Korea. Cause of death on the statistical result. Available at: http://www.kostat.go.kr/, 2013. 

  2. Pasternak RC, Grundy SM, Levy D, Thompson PD. 27th Bethesda Conference: matching the intensity of risk factor management with the hazard for coronary disease events. Task Force 3. Spectrum of risk factors for coronary heart disease. J Am Coll Cardiol 1996;27(5):978-90. 

  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Status of caused of cardiac arrest and treatment in Korea. Available at: https://ccvd.cdc.go.kr/ccvd/index.do, 2013. 

  4. Song KJ, Oh DJ. Current status of CPR in Korea. Korean J Med 2007;73(1):4-10. 

  5. Kim JY, Jun SS, Kim DH, Choi SS.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BLS and provided CPR education among nurses at general wards in Pusan. J Korean Acad Fundam Nurs 2008; 15(2):143-52. 

  6.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Special measures act for rural health care. Avilable at: http://www.moleg.go.kr, 2013. 

  7. Statistics Korea. 2011 Health center and health care post operating conditions. Available at: http://www.kostat.go.kr, 2013. 

  8. Son HY. Developing the strategies to prevent diabetes and hypertension with health care providers in the rural-type public health care centers. Ministry of Health & Welfare. Seoul. 2004. 

  9. Lee JS. The research for the application status of basic CPR and AED by the hospital n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2006, Seoul, Korea. 

  10. Park JM. The effectiveness of competency and retention i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06, Daegu, Korea. 

  11. Campbell NR, Ayala GX, Litrownik AJ, Slymen DJ, Zavala F, Elder JP. Evaluation of a first aid and home safety program for Hispanic migrant adolescents. Am J Prev Med 2001;20(4):258-65. 

  12. Kang KH, Yim J. A population health characteristic analysis of willingness to perform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Korean J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08;25(4):43-54. 

  13. Uray T, Lunzer A, Ochsenhofer A, Thanikkel L, Zingerle R, Lillie P, et al. Feasibility of life-supporting first-aid (LSFA) training as a mandatory subject in primary schools. Resuscitation 2003;59(2):211-20. 

  14. Kim HS, Kim MS, Park MH. Analysis of nursing students' knowledge, attitude and ability to perform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J Korean Acad Fundam Nurs 2009;16(4):430-7. 

  15. Cho HY. Analysis of nurses' attitude toward basic life support and influencing fact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Nursing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08, Seoul, Korea. 

  16. Cho HS. Relationship betwee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CPR) knowledge, professional attitude, and job performance: a descriptive analysis of medium to smallsized hospit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2013. Suwon, Korea. 

  17. Schlessel JS, Rappa HA, Lesser M, Pogge D, Ennis R, Mandel L. CPR knowledge, selfefficiency, and anticipated anxiety as functions of infant/child CPR training. Ann Emerg Med 1995;25(5):618-23. 

  18. Chun SH, Oh YH, Kim SS.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learning experience, knowledge, and performance in newly graduated nurses. J Korean Acad Fundam Nurs 2011;18(2):201-9. 

  19. Park YR, Kwon SB, Song MS. The relationship of knowledge, attitude, and competence about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on student nurses. The Chung-Ang Journal of Nursing 2008;12:77-83. 

  20. Jung GS, Oh HMi, Choi GY. The implication and persistence effect of CPR education on female nursing students' knowledge, attitude, confidence and skills in performing CPR.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3;14(8):3941-9. 

  21. Park JM, Suh SR. Retention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skills in nursing students. Korean J Emerg Med Ser 2005;9(2):169-81. 

  22. Baek ML, Lee IS. Retention of CPR knowledge in the police. Korean J Emerg Med Ser 2001;5(5):63-71. 

  23. Kim SM, Lee EJ. The effects of CPR clinical training on CPR performance and self efficienc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1;12(12):5759-65. 

  24. Park JM. The effects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education for school teachers. Korean J Emerg Med Ser 2013;17(2):29-41. 

  25. Ahn EK, Cho MK.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for nursing students. Korean J Emerg Med Ser 2009;13(3):5-17. 

  26. Kim HS, Kim MS, Park MH. Analysis of nursing students' knowledge, attitude and ability to perform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J Korean Acad Fundam Nurs 2009;16(4):430-7. 

  27. Hwang SO, Lim KS.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 4th ed. Seoul: Koonja, 2012. 4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