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 구내식당 식품위생환경의 세균오염도 조사연구
A Study on Bacterial Contamination of Cooking Environments of Food Service Operations at University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40 no.2, 2014년, pp.88 - 97  

박성준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  윤현선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  이수진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  양민지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  권보미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  이정훈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  고광표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occurrence of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of kitchen utensils and environments of food service operations at university located in Seoul, Korea. Methods: We collected swab samples from the surfaces of knives, chopping boards, floors, and drain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모 대학 내에 위치한 식당 20개소를 대상으로, 조리 시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는 도구들인 칼 및 도마와 식당 내의 전반적인 위생상태를 보여주는 조리 구역 내 바닥 및 배 수구, 음용수, 공기 등의 조리 환경 등 총 6종의 항목에 대한 세균의 오염양상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학교 식당들에서의 식중독 예방을 위한 지침 개선 및 일선관리자와 조리종사자들에 제공할 주의사항 마련에 있어서의 적절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대학 내 식당들의 조리 도구 및 전반적인 조리 환경의 세균 오염도를 파악, 평가하고자 수행되었다. 서울시 Z대학 내에 위치한 식당 20개소를 선정하여 주요 조리 도구인 칼 및 도마와 조리 구역 내 바닥과 배수구, 음용수 및 공기 등의 조리 환경 등 총 6종의 항목에 대한 세균 오염도를 분석및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정수기 물을 채취한 과정은 어떻게 되는가? 2013년 7월 중 서울시 모 대학 내에 위치한 식당들 중 20개소를 선정하여, 조리 과정 중 가장 빈번 하게 사용하는 도구인 칼과 도마 및 조리 환경 상의 전반적인 위생상태를 보여주는 조리 구역 내 바닥과 배수구, 음용수(정수기 물) 및 공기 등 총 6종의 항목에 대한 시료채취를 실시하였다. 시료채취선정은 simple random sampling법을 적용하였으며,10)시료채취자는 위생장갑, 위생모, 마스크 및 가운 등의 위생장구를 상시 착용하고 시료채취 전 각 장비 들을 70% 에탄올로 살균하며, 시료채취 종료 후 사용한 위생장갑 및 위생모, 마스크 등을 교체하여 교차오염을 방지하였다.8) 칼, 도마, 조리 구역 내 바닥및 배수구 등 4개 항목에 대한 시료채취는 swab sampling법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이에 swab kit (3M™ Pipette Swab, 3M Korea Ltd.)를 이용하여 10 cm × 10 cm의 면적을 채취하였다.8) 또한 음용수는 1리터 멸균채수병을 이용하여 채취하였으며, 모든 시료들은 채취 즉시 아이스박스에 담아 실험실까지 운반한 다음 미생물 분석 시까지 4oC에 보관하였다. 아울러 조리 구역 내 공기 중 부유세균 오염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28.3 L/min의 유량으로 보정된 펌프 (Quick Take TM 30, SKC Inc, USA) 및 Andersen one-stage sampler(SKC Inc., USA)를 이용하였으며, 멸균된 Tryptic Soy Agar 배지(TSA, BD Difco™, USA)상에 5분간 시료를 채취하였다.11) 공기시료채취 전후에는 시료채취기 내부를 70% 에탄올로 살균후 건조하여 교차오염을 방지하였다. 시료채취과정에 사용한 모든 도구 및 장비들은 고압증기멸균기를 이용하여 멸균을 실시하였다(121oC, 15분).
대학 캠퍼스 내에서 식품을 취급하는 시설에는 무엇이 있는가? 2013년의 국내 대학 및 전문대학, 대학원을 포함 하는 전체 고등교육기관들의 총 학생과 교직원 수는 무려 3,709,734명 및 86,656명에 달하며, 이중 일반 대학에 다니고 있는 총 학생 수는 2,120,296명에 이른다.1) 대학 캠퍼스 내에는 식당 및 매점, 커피 전문점 등의 식품을 취급하는 여러 후생시설들이 영업을 하고 있으며, 교내 식당들의 경우 접근성 및 가격 등의 이점으로 인하여 학생들의 주된 식사 장소로써 활용되고 있다.2) 식품은 체내로 직접 유입되는 품목이므로 다양한 병원성 미생물들로 오염될 경우 섭취자의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교내 식당들의 위생 상태는 학생 및 교직원들의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식당에서 식품의 미생물 오염을 유발할 수 있는 요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식당에서 식품의 미생물 오염을 유발할 수 있는 요인은 조리 도구 및 재료에서부터 음용수, 조리 구역 내 공기, 조리종사자들에 이르기까지 실로 다양 하다.7) 칼 및 도마 등 조리 과정 중에 식품에 빈번 하게 접촉하는 조리 도구 및 조리 구역 내 바닥 및 배수구 등의 조리 환경이 병원성 미생물들에 오염되어 있을 경우 식중독 전파의 주요 경로로써 작용할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였을 때, 향후 적절한 위생 관리 지침을 갖추고 조리 환경을 개선해 나갈 기초연구자료들을 충분히 갖출 필요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Ministry of Education Korea. Brief statistics on Korean education, 2013. Available: http://kess.kedi.re.kr/index [accessed 04 March 2014]. 

  2. Park SJ, Kim JA, Lee SY. A study on attitude and satisfaction of service quality in university foodservice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04; 14(1): 83-91. 

  3.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The system of food poisoning statistics, 2012. Available: http://www.mfds.go.kr/e-stat/index.do [accessed 04 March 2014]. 

  4. Kwun JW, Lee CH. Trends of recent food-borne disease outbreaks in Korea. J Kor Med Assoc. 2007; 50(7): 573-581. 

  5. Cappuccino JG, Sherman N. Microbiology: a laboratory manual 8th ed. US: Pearson Education Press; 2008. p.111-113 

  6. Park KS, Choi SG, Hong JK. The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indoor concentration of microorganism in commercial building. Kor J Air Cond Refrig Eng. 2006; 18(8): 620-626. 

  7. Kim KY, Nam MJ, Nam BR, Ryu HJ, Heo RW, Shim WB et al. Microbiological safety assessment to secure safety of food service in university. J Fd Hyg Safety. 2010; 25(1): 49-58. 

  8. Park SJ, Hong SH, Lee AH, Kim CJ, Kim SJ, Kim SK et al. A microbiological analysis and hazard factor evaluation of food utensils and fixtures of food service operations in schools. J Environ Health Sci. 2011; 37(5): 376-386. 

  9. Song IS, Chae IS. The analysis of the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knowledge and performance degree of HACCP system in Jeju. Kor J Nutr. 2008; 41(8): 870-886. 

  10. Torrence ME, Isaacson RE. Microbial food safety in animal agriculture: current topics. Singapore: Wiley-Blackwell Press; 2003. p.275-280. 

  11. Ha JS, Jung HJ, Byun HJ, Yoon CS, Kim YH, Oh IB et al. Evaluation of atopy and its possible association with indoor bioaerosol concentrations and other factors at the residence of children. J Environ Health Sci. 2011; 37(6): 406-417. 

  12. Bae HJ. Analysis of contamination of bacteria from raw materials, utensils and workers' hands to prepared foods in foodservice operations. J Kor Soc Food Sci Nutr. 2006; 35(5): 655-660. 

  13. Yoon MH, Kim JB, Oh HS. Prevalence of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on water purifiers at lunchroom in child care center. Kor J Food Cookery Sci. 2012; 28(5): 599-604. 

  14. Harrigan WF. Laboratory methods in food microbiology 3rd ed. US: Academic Press; 1998. p.308. 

  15. Park SY, Choi JW, Yeon JH, Lee MJ, Oh DH, Hong CH et al. Assessment of contamination level of foodborne pathogens in the main ingredients of kimbab during the preparing process. Kor J Food Sci Technol. 2005; 37(1): 122-128. 

  16. Ministry of Environment. Standards for drinking water quality, 2011. Available: http://www.law.go.kr/lsSc.do?menuId0&p1&subMenu1&nwYn1&query %EB%A8%B9%EB%8A%94%EB%AC%BC+%E C%88%98%EC%A7%88&x0&y0#liBgcolor0 [accessed 04 March 2014]. 

  17. Ministry of Environment,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 Research. Manual for the management of total airborne bacteria in daily life, 2011. Available: http://www.iaqinfo.org/library/edu_pr_list.do [accessed 04 March 2014]. 

  18. Ministry of Environment. Standards for indoor air quality, 2011. Available: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26651#0000 [accessed 04 March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