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부 스트레스에 부부친밀도, 가족지지 및 피로가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Marital Intimacy, Family Support, and Fatigue on the Stress of Pregnant Woma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4, 2014년, pp.2179 - 2188  

김미옥 (남서울대학교 간호학과) ,  유미 (남서울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임부의 스트레스, 부부친밀도, 가족지지 및 피로 정도를 파악하고, 임신 중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임신으로 인한 신체적, 정신적 변화에 따른 적응을 돕는 간호중재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임부 185명의 부부친밀도와 가족지지 및 스트레스 정도는 각각 3.17점(점수범위 1~4), 4.97점(점수범위 1~6), 2.80점(점수범위 1~5)으로 중간이상의 점수를, 피로 정도는 3.01점(점수범위 1~4)으로 다소 높았다. 임부 스트레스 정도는 산과력, 임신 중 신체적, 심리적 변화에의 적응 정도, 태교 등 산전 정보의 출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임부의 스트레스는 부부친밀도 및 가족 지지와는 부적 상관관계를, 피로와는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임부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가족지지, 피로, 임신으로 인한 신체적, 정신적 변화에의 적응도모유수유 경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임부를 위한 스트레스관리프로그램은 임신으로 인한 신체적, 정신적 변화에 따른 적응을 도울 수 있도록 개발되어야 하며, 가족 지지를 촉진할 수 있는 프로그램 요소를 포함할 때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ring pregnancy, the woman experiences physical and psycho-social changes. Such changes and other factors may become stress for the pregnant woman, making it difficult to maintain healthy and happy pregnant period. In this study, we identify factors for the stress, marital intimacy, family suppor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임부의 부부친밀도, 가족지지, 피로 및 임부 스트레스 정도를 측정하고 임부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 (descriptivecorrelationstudy)이다.
  • 본 연구는 임부의 스트레스 정도와 그 영향 요인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임부를 위한 산전교육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이에 본 연구는 임부의 스트레스, 부부친밀도, 가족지지 및 피로 정도와 임부의 임신 중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임부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 제공을 목표로 시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신 중 스트레스는 무엇의 영향을 받는가? 임신 중 스트레스는 임부의 사회 경제적 지위,직업유무,나이 등에 영향을 받으며[17],낮은 교육 수준,성폭력,원치 않는 임신,배우자가 없는 경우,임신과 출산에 대한 준비가 부족한 경우,정신과적 질환의 과거력 및 우울감은 배우자와 가족의 사회적 지지와 직업의 긍정적 기여에도 불구하고 임부의 정신적 웰빙에 부정적 영향을 가져다준다[18].이렇듯 임신 중 스트레스는 임부의 신체적 측면을 포함한 개인의 정서적 측면에 변화를 초래함으로써 태아와 모체건강을 위협함과 동시에 관계적 측면에까지 연계되어 다양한 변화를 가져오게 된다.
임신한 여성에게 나타나는 구체적인 스트레스는 어떤 것이 있는가? 대부분의 임신한 여성은 임신에 따른 정신적,신체적, 사회경제적 변화로 인해 다양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1].특별히 태아발달에 대한 두려움 및 분만 중 통증에 대한 공포와 같은 불안은 임신 시에 주로 나타나는 특이 적 정서로 임신 중 스트레스 요인의 하나로 작용하고 있으며[2,3],입덧,부종,빈혈,변비 및 비뇨기계 변화와 같은 임신으로 인한 변화들은 임부를 신체적 스트레스 상황에 놓이게 하여 피로를 유발한다.이러한 생리적 변화들은 비단 신체에만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임부를 정서적 피로와 스트레스에도 직면하게 만들어[4]임부의 피로감을 가중시키는 역할을 한다.
임신한 여성은 어떤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는가? 대부분의 임신한 여성은 임신에 따른 정신적,신체적, 사회경제적 변화로 인해 다양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1].특별히 태아발달에 대한 두려움 및 분만 중 통증에 대한 공포와 같은 불안은 임신 시에 주로 나타나는 특이 적 정서로 임신 중 스트레스 요인의 하나로 작용하고 있으며[2,3],입덧,부종,빈혈,변비 및 비뇨기계 변화와 같은 임신으로 인한 변화들은 임부를 신체적 스트레스 상황에 놓이게 하여 피로를 유발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M. Chang., C. Chen, K. Huang. "Effects of music therapy on psychological health of women during pregnancy",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7, pp. 2580-2587. 2008. DOI: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7.02064.x 

  2. A. C. Huizink, "Prenatal stress and its effects on infant development", Unpublished Doctoral Thesis, University Utrecht, The Netherlands, p.1-217. 2000. 

  3. Van den Bergh BRH. Maternal emotions during pregnancy and fetal and neonatal behaviors. In: Nijhuis JG, editor. Fetal behaviour. Developmental and perinatal aspects, 851. Oxford: Oxford Univ. Press, p.311-335, 1992. 

  4. S. I. Lee, "The affect of music appreciation type for pregnant women's mood and str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University, Seoul, 2008. 

  5. J. Y. Park, "The Effects of Collage-Oriented Prenatal Art Therapy Program on the Stress of Pregnant Wo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2011. 

  6. S. M. Bae, "A Study on Recognition of Pregnant Women's Prenatal Da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2007. 

  7. T. Field, M. Diego, M. Hernandez-Rief, S. Schanberg, C. Kuhn, R. Yando, D. Bendell, "Pregnancy anxiety and comorbid depression and anger: Effects on the fetus and neonate", Depression and Anxiety. Special Issue: Anxiety disorders in women, 17(3), pp. 140-151, 2003. DOI: http://dx.doi.org/10.1002%2Fda.10071 

  8. J. Milgrom., P. I. McCloud, "Parenting stress and postnatal depression". Stress Medicine, 12(3), 177-186. DOI : http://dx.doi.org/10.1002/(SICI)1099-1700(199607) 12:3 3.0.CO;2-W 

  9. H. J. Lee, "A Study on Pastoral Counselling for the Understanding and Healing of Women Depress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hwa Womens University, Seoul, 2002. 

  10. Elbourne D, Oakley, A, Chalmers, I. Social and psychological support during pregnancy. In: Chalmers I, Enkin M, Keirse mjnc, editors. Effective care in pregnancy and childbirth. Oxford: Oxford Univ. Press, p.221-236, 1989. 

  11. E. J. H. Mulder, P. G., Robles de Medina, A.C. Huizink., B. R. H. Van den Bergh, J. K. Buitelaar, G. H. A. Visser, Prenatal maternal stress: effects on pregnancy and the (unborn) child. Early Human Development, 70, pp. 3-14. 2002. DOI: http://dx.doi.org/10.1016/S0378-3782(02)00075-0 

  12. J. A. Jo., Y. H. Kim, "Mothers' Prenatal Environment, Stress During Pregnancy, and Children"s Problem Behaviors", Human Ecology Research, 11(2), pp. 44-62. 2007. 

  13. S. Y. Kim, "Comparing of nutrient intake, living habits and pregnancy outcomes in stress degree of pregnant wo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University, Seoul, 2010. 

  14. M. K. Park, Y. S. Lee, "The relationship among stressful life events, maternal fetal attachment behaviors and childbirth variables during pregnanc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3(1) pp. 47-62. 1999. 

  15. G. Latendresse, The interaction between chronic stress and pregnancy: preterm birth from a biobehavioral perspective. Journal of M DOI: http://dx.doi.org/10.1016%2Fj.jmwh.2008.08.001 

  16. H. J. Cho, K. Y. Choi, I. S. Lee, M. I. Park, J. Y. Na, K. Y. Lee, J. M. Lee, J. H. Kwon, "A study of predicting postpartum depression and the recovery factor from prepartum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Perinatology, 115(3), pp.245-254, 2004. 

  17. J. H. Kwon, A test of a vulnerability-stress model of prepartum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5(1), pp.33-43, 1996. 

  18. K. M. Paarlberg, A. J. Vingerhoets, J. Passchier., G. A. Dekker, H. P. van Geijn. "Psychosocial factors as predictors of maternal well-being and pregnancy-related complaints", Journal of Psychosomatic Obstetetrics & Gynaecology, 17, pp.93-102, 1996. DOI: http://dx.doi.org/10.3109/01674829609025669 

  19. J. E. Raymond, "Creating a safety net: Women's experiences of antenatal depression and their identification of helpful community support and services during pregnancy", Midwifery, 25, pp.39-49, 2009. DOI: http://dx.doi.org/10.1016/j.midw.2007.01.005 

  20. Y. M. Kim, The Art Program for the Fetal Education using the Col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2010 

  21. J. H. Cho, "The study on effects of a prenatal care music to the embryo", Unpublished Master's Thesis, Kwan Dong University, Kangwon, 2008. 

  22. H. S. Park,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Music for a Prenatal Educ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University, Seoul, 2005 

  23. J. Y. Kim, "A study on the prenatal care program though rhythmic gymnastics with children's song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gshin University, Seoul, 2011. 

  24. Y. Kim, "Research into the satisfaction level of prenatal ballet for pregnant woma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hwa Womens University, Seoul, 2010. 

  25.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arlbaum Associates, 1998. 

  26. H. L. Ahn,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effects of husband's supportive behavior reinforcement education on stress relief of primigravida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5, pp. 5-16, 1985. 

  27. E. M. Warring, J. R. Reddon, The measurement of intimacy in marriage: The warning intimacy questionnaire,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9(1), pp.53-57, 1983. DOI : http://dx.doi.org/10.1002/1097-4679(198301)39:1 3.0.CO;2-0 

  28. S. N. Kim, "A structural model for quality of life in women having hysterectomies", Unpublished Doctoral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1998. 

  29. M. A. Curry, R. A. Campbell, & M. Christian,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ing of the prenatal psychosocial profile.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7, pp.127-135, 1994. DOI: http://dx.doi.org/10.1002/nur.4770170208 

  30. J. E. Yeun, "A comparison of perceptions and daily practices of taegyo between parents-to-b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2001. 

  31. R. A. Milligan, P. Park, H. Kitzman, E. Lenz, Measuring women's fatigue during the postpartum period.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5(1), pp.3-16, 1997. 

  32. H. Yoshitake, "Relations between the symptoms and feelings of fatigue", Ergonomics, 14, pp.175-186, 1971. DOI: http://dx.doi.org/10.1080/00140137108931236 

  33. L. C. Pugh, R. A. Milligan, "A Framework for the Study of Childbearing Fatigue", Advanced Nursing Science, 15(4), pp.60-70, 1993. DOI: http://dx.doi.org/10.1097/00012272-199306000-00007 

  34. J. E. Song, "Predictors of postpartum fatigue between early and late postpartum period in parturient women - Divided by 3/4 weeks of postpartum period",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3(4), pp.299-309, 2007. 

  35. M. E. Lee, Y. R. Kweon, "Psycho-social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on in pregnant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20(3), pp.252-260, 2011. 

  36. Y. J, Kim, S. S, Lee, "The relation of maternal stress with nutrients intake and pregnancy outcome in pregnant women", Korean Journal of Nutrition, 41(8), pp.776-785, 2008. 

  37. Y. S. Park. H. K. Lee, E. H. Lee, Y. R. Um, N. M. Kang, S. H. Lee, M. H. Hur, H. W. Kim, "A study on pregnant women's fatigu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4(3), pp.429-440, 1998. 

  38. H. W. Kim, Y. Y. Jung, "Influencing factors on antenatal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6, pp.95-104, 2010. DOI: http://dx.doi.org/10.4069/kjwhn.2010.16.2.95 

  39. B. Leigh, J. Milgrom, "Risk factors for antenatal depression, postnatal depression, and parenting stress", BMC Psychiatry, 8(24), pp.1-11, 2008. DOI: http://dx.doi.org/10.1186/1471-244X-8-24 

  40. T. Holmes, R. Rache, The social readjustment scale, Journal of Psychosomatic Reproductive Medicine, 11, pp.213-218, 1967. DOI: http://dx.doi.org/10.1016/0022-3999(67)90010-4 

  41. K. I. Mohammad, J. Gamble, D. K. Creedy. "Prevalence and factors associated with the develoment of antenatal and postnatal depression among Jordanian women", Midwifery, 27(6), pp. e238-245, 2011. DOI: http://dx.doi.org/10.1016/j.midw.2010.10.008 http://dx.doi.org/10.1016%2Fj.midw.2010.10.008 

  42. S. K. Choi, S. Y. Ahn, J. C. Shin. D. G. Jang, "A clinical study of depressive symptoms during pregnancy",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52, pp.1102-1108,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