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과 간호조직문화가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motional Labor,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on Self-efficacy in Clinical Nurses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4, 2014년, pp.2225 - 2234  

권명진 (대전대학교 간호학과) ,  김금숙 (혜천대학교 간호학부) ,  안성윤 (혜천대학교 간호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감정노동과 조직문화가 임상간호사의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C와 D지역에 소재한 6개 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475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일반적 특성, 감정노동, 간호조직문화, 자아효능감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서술적 통계, t-test, ANOVA 및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chial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감정노동, 간호조직문화와 자아효능감은 중등도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자아효능감과 감정노동(r=-.24, p<.001), 감정노동과 간호조직문화(r=-.15, p=.001)는 음의 상관관계를, 자아효능감과 간호조직문화(r=.33, p<.001)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 전체 자아효능감에 유의한 설명력(27. 6%)을 가진 변수는 간호조직문화와 일반적 변수 중 학력, 직무만족, 이직경험이었다. 본 연구결과 간호사의 정서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자아효능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었으므로 간호사의 자아효능감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더불어 환경관리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self-efficacy among clinical nurs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clinical nurses working at 6 general hospitals in C & D city.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475...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감정노동과 조직문화가 임상간호사의 자아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감정노동과 간호조직문화가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정서적 중재 및 환경관리 중재를 통한 감정노동을 감소시키고 자아효능감의 향상에 도움을 주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과 간호조직문화가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는 변화하는 의료환경의 조류에서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 및 간호조직문화가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봄으로써 향후 긍정적인 간호조직문화 구축과 감정노동관리 모형 구축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들의 자아효능감 증진을 위해서는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되는 이유는? 본 연구에서의 자아효능감은 48.4(6.23)로 나타나 Park등의 연구[21]에서 38.07(4.15)로 나온 것보다는 높지만, Jo등의 연구[22]에서 61.84(6.96)로 나온 것보다 낮았다. 이 결과는 선행연구[23])에서 교육을 시행한 후 간호사들의 자아효능감이 유의하게 상승했다는 결과를 참조할 때, Park등의 연구[21]에서는 학사 이상의 학력 소지자가 33.6%였고, Jo등의 연구[22]의 에서는 84.2%, 본 연구에서는 66.7%였으므로 이러한 결과가 나온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간호사들의 자아효능감 증진을 위해서는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감정노동의 의미는 무엇인가? 감정노동이란 인간관계의 상호작용에서 조직의 요구에 따른 적절한 감정표현에 필요한 개인의 노력, 계획, 통제를 의미하는 것으로[2] 직무수행에 있어 긍정적인 감정표현의 노력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현장에서 요구하는 업무수행규칙에 따라 실제 자신의 감정을 숨기거나 왜곡해야 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에 따른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의 정도도 높은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3-5]. 이는 곧 간호사에게 직무스트레스를 야기하며 이로 인한 우울, 소진, 이직의도 등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3,5-7].
최근 들어 의료환경의 급격한 변화가 있었던 배경은 무엇인가? 최근들어 국민의 의식수준향상과 함께 환자의 권리향상과 의료서비스에 대한 요구도가 증가되면서 의료환경은 급격한 변화가 있어왔다. 의료인 중 환자와 가장 많은 시간을 직접적이면서도 지속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임상간호사는 임상의료서비스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며, 이에 따라 환자의 간호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곧 병원에 대한 평가와 선택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 사실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M. S. Joung, "A study on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and leader's emotional intelligence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nurses", Korean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Vol 11, No 4, pp. 1-18, 2006. 

  2. Morris, J. A. & Feldman, O. C, "The dimension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21, No 4, pp. 986-1010, 1996. DOI: http://dx.doi.org/10.2307/259161 

  3. M. K. Shin, H, L, Kang,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Occupational Stress on Somatization i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7, No 2, pp. 158-167, 2011. DOI: http://dx.doi.org/10.11111/jkana.2011.17.2.158 

  4. M. H. Kang, M. J. Kwon, S. Y. Youn, "Self-efficacy,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Emotional Labor in Clinical Nurses", Korean J Occup Health Nurs, Vol 21, No 3, pp. 266-273, 2012. DOI: http://dx.doi.org/10.5807/kjohn.2012.21.3.266 

  5. Y. K. Yang, "A study on Burnout, Emotional labor, and Self-efficacy in Nurse",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Administration. Vol 17, No 4, pp.423-463, 2011. DOI: http://dx.doi.org/10.11111/jkana.2011.17.4.423 

  6. S. J. Yoon, J. H. Kim, "Job-Related Stress, Emotional Labor,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n Nurse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Vol 45, No 2, pp. 169-176, 2013. DOI: http://dx.doi.org/10.1111/jnu.12018 

  7. I. S. Kim, "The role of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 out, 쎠구 over Intention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5, No 4, pp. 515-526, 2009. 

  8. Henderson, A, "Emotional labor and nursing: an under-appreciated aspect of caring work", Nursing Inquiry, Vol 8, No 2, pp.130-138, 2001. DOI: http://dx.doi.org/10.1046/j.1440-1800.2001.00097.x 

  9. Y. H. Yom, S. M. Noh, K. H. Kim, S. J. Ji, H. J. Kim, "Development of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Positive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in a Clinical Setting,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 19, No 2, pp. 233-244, 2013. 

  10. S. I. Kim, J. A. Kim, "A Study on Nursing Unit Culture, Efficiency on Nursing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3, No 2, pp. 17-40, 1997. 

  11. Aiken, L. H., Clarke, S. P., Sloane, D. M., Sochalski, J., & Silber, J. H., "Hospital nurse staffing and patient mortality, nurse burnout, and job dissatisfaction",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Vol 288, No 16, pp. 1987-1993, 2002. DOI: http://dx.doi.org/10.1001/jama.288.16.1987 

  12. B. R. Seo, J. Y. Paek,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labor,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ulture: the case of secretaries", journal of Secretarial Science, Vol 19, No 1, pp. 105-124, 2010. 

  13. M. I. Jeon,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Communication on Emotional Labor", Korea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2013. 

  14. S. J. Han,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Ewha Womans University, Unpublished doctor's Thesis, Seoul, 2001. 

  15. Hoschschild, A. R., "The Managed Heart: Commercialization of Human Feeling", Twentieth Anniversary Edi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and los Angeles, California, pp. 244-245, 2003. 

  16. Bandura, 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Vol 84, No 2, pp. 191-215, 1977. DOI: http://dx.doi.org/10.1037/0033-295X.84.2.191 

  17. J. W. ko, Y. H. Yom, "The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Vol 33, No 2, pp. 265-274, 2003. 

  18. Y. J. Son, S. K. Park, S. S. Kong, "Impact of Internal Marketting Acitivity, Emotional Labor and Work-Family Conflict on Turn-Over of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 18, No 3, pp. 329-340, 2012. 

  19. M. J. Kim, "Effect of the hotel emplyee's emotional labor upon the job-related attitudes", Korea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Vol 21, No 2, pp. 129-141, 1998. 

  20. Sherer, M., Maddux, J. E., Mercadante, B., Prentic-Dunn, S., Jacobs, B., & Rogers, R. W.,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Vol 51, pp. 663-671, 1982. DOI: http://dx.doi.org/10.2466/pr0.1982.51.2.663 

  21. S. M. Park, I. S. Jang, J. S. Choi, " Affecting Factors of Nurse's Burnout in Secondary General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7, No 4, pp. 474-483, 2011. DOI: http://dx.doi.org/10.11111/jkana.2011.17.4.474 

  22. E. J. Cho, K. S. Bang, "Nursing Professionalism, Self-Efficacy and Nurse Parent Partnership in Pediatric Nurse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 19, No 2, pp. 94-101, 2013. 

  23. S. M. Park, S. K. Cha, C. G. Kim, " The Effects of the Education about New Pressure Ulcer Classification and Incontinence-associated Dermatitis on Knowledge and Self-efficacy in Pressure Ulcer among Nurse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ol 20, No 1, pp. 52-61, 2013. DOI: http://dx.doi.org/10.5953/JMJH.2013.20.1.52 

  24. J. O. Ko, " Influence of Clinical Nurses' Emotional Labor on Happiness in Workplace", Journal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3, No 4, pp. 250-261, 2013. DOI: http://dx.doi.org/10.5392/JKCA.2013.13.04.250 

  25. E. J. Lee, "University Hospital Nurse's Feelings regarding the Impact on the Business Performance of Nursing Labor Research", Graduate School of Soonchunhyang University, Department of Healthcare Sci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2013. 

  26. J. H. Kim, Y. M. Lee, H. Y. Joung, H. S. Choo, S. J. Won, S. Y. Kwon, H. J. Bae, H. K. Ahn, E. M. Kim, H. J. Jang, " Effects of Emotional Labor,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Support on Job Stress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 20, No 2, pp. 157-167, 2013. DOI: http://dx.doi.org/10.7739/jkafn.2013.20.2.157 

  27. H. J. Kwon, B. H. Suk, S. J. Chee, Y. M. Ahn, Y. J. Kim, S. A. Park, K. S. Lee, S. J. Kwon, G. S. Oh, M. A. Kim,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ypes of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Nurses' Satisfaction with Life, and Job Satisfaction",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 17, No 1, pp. 57-69, 2011. 

  28. S. Y. Lim, "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Self-Concept,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in Operating Room Nurses", The Graduate School of Hallym University, Department of Nurs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2009. 

  29. E. H. Lee, "The Attitude Toward Division Transfer, Job Stress, and Nursing Work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Division Transfer Experience of Nurse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yungbook University, Department of Public Health Manage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2013. 

  30. M. J. Ham, "Path analysis of Emotional Labor and Burnout of nurses", The Graduate School of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Nurs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2011. 

  31. J. H. Lee, S. J. Jin, H. J. Ju, " Impact of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ulture of Nursing and Turnover Intention on the Job Satisfaction of Public Hospital Nurses", Health and Social Science, Vol 30, No 1, pp. 205-224, 2011. 

  32. C. H. Kim, S. S. Yang, Y. J. Kim, Y. J.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Nurses'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5, No 4, pp. 550-562, 2009. 

  33. M. S. Son, "Relationships of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to Nurses' Self-efficacy and Empowerment", Graduate School of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Department of Nurs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