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병원조직문화유형과 근무경력이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of Hospital and Nursing experience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of Nurse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11, 2013년, pp.5707 - 5713  

김경남 (부산여자대학교 간호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조직문화 유형과 근무경력이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경로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2013년 5월 1일부터 6월 28일까지 B광역시 소재 3개의 3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368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일반적 특성, 병원조직문화 유형, 근무경력,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0.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병원조직문화 유형인 친화적, 진취적, 보수 위계적, 과업적 문화유형과 근무경력이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으며, 이 요인들은 32%의 설명력을 보였다. 그중에서도 간호사들의 조직시민행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문화유형은 진취적 문화유형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사들의 긍정적인 조직시민행동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병원관리자들은 경력 간호사들에 대한 지원을 높이고 진취적인 문화 유형으로 변화되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of hospital and nursing experience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of nurses that examined the fitness of a path model.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368 nurses who were working at 3 hospitals. The data w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병원조직문화 유형과 경로를 검정하는 연구이다. 본 연구결과 조직시민행동 점수는 평균 5점 만점에 3.
  • 본 연구는 횡단적 조사연구로 간호사들의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경로를 설명하는 경로모형을 구축하고 검정하는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조직문화 유형과 임상경력이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경로를 제시한다.
  • 조직사회화의 지표로 조직시민행동을 살펴본 연구[10,11]가 있으나 간호사들의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주는 문화 유형을 파악한 연구는 많지 않으므로, 간호사들의 긍정적인 조직시민행동을 촉진할 수 있는 긍정적인 병원조직문화 유형과 근무경력의 구체적인 경로를 검정하여 병원조직의 발전과 간호 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그러나 간호사가 인지하는 병원의 조직문화 유형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구체적인 경로를 파악한 연구는 부족하므로 본 연구를 통해 긍정적인 병원조직문화 유형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최근의 임상간호사의 조직사회화와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연구에서 보면 5년 이상의 경력간호사들의 조직시민행동 중 정정당당한 행동이 오히려 감소된다고 보고하고 있어[9], 간호사들의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주는 병원조직문화 유형과 임상경력을 포함하여 구체적인 경로를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의 가설 경로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병원조직문화 유형과 임상경력이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경로를 설정하였다[Fig.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좋은 조직문화를 갖는 것은 일시적으로 유지되는 상태가 아니라 매우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경쟁적 우위를 확보할 수 있게 하는 기전으로 작용할 수 있는 이유는? 조직문화란 한 조직체의 구성원들이 모두 공유하고 있는 가치관과 신념, 이면과 관습, 규범과 전통 등을 포함한 종합적인 개념으로서 조직 구성원과 조직체 전체의 행동에 영향을 주는 기본요소[2]이므로, 병원조직문화는 조직 구성원들의 업무와 관련된 행동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좋은 조직문화를 갖는 것은 일시적으로 유지되는 상태가 아니라 매우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경쟁적 우위를 확보할 수 있게 하는 기전으로 작용할 수 있다[3].
병원조직의 특징은 무엇인가? 병원조직은 다양한 전문인력으로 구성된 조직체로 다른 조직에 비해 매우 다양한 기능과 능력을 가진 사람들의 협동으로 전문화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 의료 환경의 변화로 인해 병원간 생존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병원조직들은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여 다른 병원과의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한 비전이나 전략을 세우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조직시민행동이란 무엇인가? 그런데 간호조직내 병원조직문화 유형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분명하지 않지만, 조직시민행동은 친사회적 행동으로 공식적 보상은 없지만 양심적인 행동으로 이타적이고 예의바른 행동을 하며 개인과 조직의 발전을 위해 의사결정, 자기 계발에 적극참여하고 규칙 이행을 잘 하는 정당성을 지닌 행동을 말한다[8]. 따라서 어려운 환경일수록 병원조직에서는 간호사들의 창의적이고 능동적인 역할이 요구되므로 관리자들은 간호사들에게 긍정적인 조직시민행동을 촉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S. H. Kim, M. A. Lee, "A study of the reward and the job satisfaction perceived by nurses", Journal Korean Academy Nursing Administration, Vol.12, No1, pp.122-130, 2006. 

  2. H. J. Lee, "Organizational development theory", Beopmunsa Publisher, Seoul, pp.340-360, 1999. 

  3. Y. J. Joo, "The effect of the awareness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2004. 

  4. J. H. Lee, "A study on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structure & culture up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2012. 

  5. S. C. Jang, "An effect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of the hospital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2012. 

  6. E. Lee, J. Han, M. Kim, "Effects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Journal korean academy nursing administration, Vol.14, No.1, pp.5-12, 2008. 

  7. J. H. Park, E. Yun, S. Han, "Factors influencing nurses organization citizenship behavior", Journal Korean Academy Nursing, Vol. 39, No.4, pp.499-507, 2009. http://dx.doi.org/10.4040/jkan.2009.39.4.499 

  8. C. M. Chiu, E. T. G. Wang, Y. H. Fang, "Antecedents of Citizenship Behaviors in open professional virtual communities", Pacific Asia Conferenceon Information System(PACIS), pp.1-16, 2009. 

  9. J. Kim, H. J. Park, S. H. Lee,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mong nurses in general hospital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 18, No.3, pp.413-423, 2012. 

  10. H. D. Cooper-Thomas, N. Anderso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A new theoretical model an d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HRM practices in organizations",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Vol.21, No.5, pp.492-516, 2006. DOI: http://dx.doi.org/10.1108/02683940610673997 

  11. J. Ge, X. Su, Y. Zhou,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 empirical research of Chinese hightech manufacturing enterprises", Nankai Business Review International, Vol.1, No.2, pp.166-179, 2010. DOI: http://dx.doi.org/10.1108/20408741011052573 

  12. S. B. Moon, "Basic concepts and applications of structural equating model", Seoul: Hakjisa publshing Co, 2009. 

  13. M. H. Le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and organizational effectivness in hospital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Taejeon, 1998. 

  14. P. M. Podsakoff, S. B. Mackenzie, R. H. Moorman, R. Fetter, "Transformational leader behaviors and their effects on follower's trust in leader,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Leadership Quarterly, Vol.1,No.25, pp.107-142, 1990. 

  15. D. O. Chah, H. C. Kim, "Communication satisfaction, group cohesiveness and job satisfaction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Korean Japaness Economics and Management Association, Vol.20, No.1, pp.229-253, 2000. 

  16. M. S. Kim, "Influence of organizational justice and commitmen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of nurses", Journal Korean Academy Nursing Administration, Vo.13, No.4, pp.481-491, 2007. 

  17. Y. Joo, "The effect of nurses emotional intellig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2012. 

  18. M. S. Kim, Y. B. Park, "The effect of self efficacy and empowerment o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of nurses" Journal Korean Academy Nursing Administration, Vo.14, No.3, pp.268-277, 2008. 

  19. J. S. Sim, "A study on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of the nursing departments in hospitals and nurses perception of the organizational activit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2007. 

  20. B. S. Youn, "Influence of nurses'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iors of hospit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