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암 생존자의 이차암 검진 영향요인에 대한 경로분석: 위암, 대장암, 유방암 생존자 대상으로
A Path Analysis on Factors Influencing Second Primary Cancer Screening Practices in Stomach, Colon, and Breast Cancer Survivor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4 no.2, 2014년, pp.139 - 148  

양영희 (단국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second primary cancer (SPC) screening practice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s of physical symptoms, knowledge and attitudes regarding SPC screening, perceived risk, primary cancer type, and demographic factors of cancer survivor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암 생존자를 대상으로 신체 증상, 이차암 검진 의 지식과 태도, 암 발병 위험성 지각, 이차암 검진 수행 정도를 조사하고, 이차암 검진 수행과 관련된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한 상관성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암 생존자의 이차암 검진 수행 정도를 파악하고 이차암 검진 수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 결과, 암 생존자들의 40% 정도는 이차암 검진을 정확하게 받고 있었고, 이차암 검진 중 위암 검진을 가장 많이 하였고 대장암 검진을 가장 적게 하였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조기검진 대상이 되는 5대암(위암, 대장암, 간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중 발생율과 생존율이 높은 위암, 대장암, 유방암의 생존자를 대상으로 이차암 검진 수행 정도와 이차암 검진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위암, 대장암, 유방암 생존자의 암 유형별이 차암 검진행위 정도를 비교하고 차이를 분석하며 이차암 검진행위 결정 모형을 검정하고자 시도하였다.
  • 암 유형별 일반적 특성의 차이는 카이제곱과 분산분석을 이용하였다. 암 유형별 신체 증상, 이차암 검진 의 지식과 태도, 암 발병 위험성 지각의 차이는 일원 공분산 분석을 이용하였는데, 암 유형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일반적 특성 중 나이의 영향을 통제하기 위해서이다. 암 유형별 암 진단 전후이차암 검진수 행 정도는 반복 측정 이원분산분석을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암 생존자의 의미는? 암 생존자란 암 진단을 받고 치료를 끝낸 사람을 의미하는데[1], 암 생존자가 증가하면서 암과 그 치료로 인한 부정적인 후유증을 파악하고 관리하며 적정한 건강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 해졌다. 국가암정보센터에 의하면 암 발생율이 1999년 10만명 당 214.
암 생존자가 증가하면서 중요해진 것은 무엇인가? 암 생존자란 암 진단을 받고 치료를 끝낸 사람을 의미하는데[1], 암 생존자가 증가하면서 암과 그 치료로 인한 부정적인 후유증을 파악하고 관리하며 적정한 건강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 해졌다. 국가암정보센터에 의하면 암 발생율이 1999년 10만명 당 214.
미국 통계에 따르면 두 번째 종양의 발생비율은 어떻게 되는가? 이 두 번째 종양을 이차암(second primary cancer)이라고 하는데, 처음 진단받은 암의 치료가 모두 끝난 뒤에 처음 암과는 무관하게 새롭게 발생하는 암을 의미한다[5]. 미국 통계에 의하면 이차암 발병은 전체 암의 16%를 차지하고 있으며[6] 여생동안 이차암 발생비율은 암 생존자 9명 중 1명으로 예측된다고 하였다[7]. 우리나라의 경우 남자 암 생존 자를 7년간 추적 조사한 결과, 이차암 발생 위험성이 일반인에 비해 폐암 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Feuerstein M. Defining cancer survivorship. Journal of Cancer Survivorship. 2007;1(1):5-7. http://dx.doi.org/10.1007/s11764-006-0002-x 

  2. National Cancer Center. National cancer control programs [Internet]. Goyang: Author; 2013 [cited 2013 November 3]. Available from: http:// www.ncc.re.kr/manage/manage12_00.jsp. 

  3. Carver JR, Shapiro CL, Ng A, Jacobs L, Schwartz C, Virgo KS, et al.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clinical evidence review on the ongoing care of adult cancer survivors: Cardiac and pulmonary late effects.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2007;25(25):3991-4008. http://dx.doi.org/10.1200/jco.2007.10.9777 

  4. Wilkins KL, Woodgate RL. Preventing second cancers in cancer survivors. Oncology Nursing Forum. 2008;35(2):E12-E22. http://dx.doi.org/10.1188/08.onf.e12-e22 

  5. Cho J, Guallar E, Hsu YJ, Shin DW, Lee WC. A comparison of cancer screening practices in cancer survivors and in the general population: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01-2007. Cancer Causes and Control. 2010;21(12):2203- 2212. http://dx.doi.org/10.1007/s10552-010-9640-4 

  6. Travis LB. The epidemiology of second primary cancers. Cancer Epidemiology, Biomarkers and Prevention. 2006;15(11):2020-2026. http://dx.doi.org/10.1158/1055-9965.epi-06-0414 

  7. Mariotto AB, Rowland JH, Ries LA, Scoppa S, Feuer EJ. Multiple cancer prevalence: A growing challenge in long-term survivorship. Cancer Epidemiology, Biomarkers and Prevention. 2007;16(3):566-571. http://dx.doi.org/10.1158/1055-9965.epi-06-0782 

  8. Park SM, Lim MK, Jung KW, Shin SA, Yoo KY, Yun YH, et al. Prediagnosis smoking, obesity, insulin resistance, and second primary cancer risk in male cancer survivors: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Study.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2007;25(30):4835-4843. http://dx.doi.org/10.1200/jco.2006.10.3416 

  9. Trask PC, Rabin C, Rogers ML, Whiteley J, Nash J, Frierson G, et al. Cancer screening practices among cancer survivors.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2005;28(4):351-356. http://dx.doi.org/10.1016/j.amepre.2005.01.005 

  10. Park JK, Park HA. Screening rates of major cancers after a cancer diagnosis in adults in Korea.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2012;12(2):67-74. 

  11. Shin DW, Baik YJ, Kim YW, Oh JH, Chung KW, Kim SW, et al.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 on second primary cancer screening among cancer survivors: A qualitative study.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2011;85(1):74-78. http://dx.doi.org/10.1016/j.pec.2010.09.015 

  12. Shin DW, Kim YW, Oh JH, Kim SW, Chung KW, Lee WY, et al. Knowledge, attitudes, risk perception, and cancer screening behaviors among cancer survivors. Cancer. 2011;117(16):3850-3859. http://dx.doi.org/10.1002/cncr.25951 

  13. Cox CL. Online exclusive: A model of health behavior to guide studies of childhood cancer survivors. Oncology Nursing Forum. 2003;30(5): E92-E99. http://dx.doi.org/10.1188/03.onf.e92-e99 

  14. Rimal RN, Juon HS. Use of the risk perception attitude framework for promoting breast cancer prevention.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010;40(2):287-310. http://dx.doi.org/10.1111/j.1559-1816.2009.00574.x 

  15. Katapodi MC, Lee KA, Facione NC, Dodd MJ. Predictors of perceived breast cancer risk and the relation between perceived risk and breast cancer screening: A meta-analytic review. Preventive Medicine. 2004;38 (4):388-402. http://dx.doi.org/10.1016/j.ypmed.2003.11.012 

  16. Oh EJ, Lee YE, Lee SO. Cervical cancer screening behavior and related factors among married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10;14(1):12-23. 

  17. Yang YH. Relationships between knowledge about early detection, cancer risk perception and cancer screening tests in the general public aged 40 and over. Asian Oncology Nursing. 2012;12(1):52-60. http://dx.doi.org/10.5388/aon.2012.12.1.52 

  18. Ju HO, Kim JS, Cho YS, Park NH, Eo YS, Cho YR, et al. A survey on cancer screening among nurses at general hospital in Busa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3;9(1):18-27. 

  19. Hwang SK, Eo YS, Cho YR, Seo JM, Lee YM, Jeong IS, et al. A survey on cancer screening among the middle-aged in Pusan a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02;19(3):135-152. 

  20. Khan NF, Carpenter L, Watson E, Rose PW. Cancer screening and preventative care among long-term cancer survivors in the United Kingdom. British Journal of Cancer. 2010;102(7):1085-1090. http://dx.doi.org/10.1038/sj.bjc.6605609 

  21. Kelly KM, Shedlosky-Shoemaker R, Porter K, Desimone P, Andrykowski M. Cancer recurrence worry, risk perception, and informational- coping styles among appalachian cancer survivors. Journal of Psychosocial Oncology. 2011;29(1):1-18. http://dx.doi.org/10.1080/07347332.2011.534014 

  22. Shin DW, Kim Y, Baek YJ, Mo HN, Choi JY, Cho J. Oncologists experience with second primary cancer screening: Current practices and barriers and potential solutions.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2012;13(2):671-676. 

  23. Park ER, Ostroff JS, Rakowski W, Gareen IF, Diefenbach MA, Feibelmann S, et al. Risk perceptions among participants undergoing lung cancer screening: Baseline results from the national lung screening trial. Annals of Behavioral Medicine. 2009;37(3):268-279. http://dx.doi.org/10.1007/s12160-009-9112-9 

  24. Park SM, Park CT, Park SY, Bae DS, Nam JH, Cho CH, et al. Factors related to second cancer screening practice in disease-free cervical cancer survivors. Cancer Causes and Control. 2009;20(9):1697-1703. http://dx.doi.org/10.1007/s10552-009-9421-0 

  25. Bae BR. LISREL structural equation model: Understanding, application and programming. 2nd ed. Seoul: Chungram Books; 2008. 

  26. Stein KD, Denniston M, Baker F, Dent M, Hann DM, Bushhouse S, et al. Validation of a modified Rotterdam symptom checklist for use with cancer patients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2003;26(5):975-989. 

  27. Kim SE, Perez-Stable EJ, Wong S, Gregorich S, Sawaya GF, Walsh JM, et al. Association between cancer risk perception and screening behavior among diverse women.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2008;168(7): 728-734. http://dx.doi.org/10.1001/archinte.168.7.72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