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좌절 상황에서 3세 유아가 사용하는 정서조절 전략과 어머니의 반응 전략
The Study of 3-year-old Infants'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in Frustrating Situations and Their Mothers' Responsive Strategies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0 no.2, 2014년, pp.93 - 110  

윤금숙 (전북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전공) ,  이진숙 (전북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좌절 상황에서 3세 유아가 보이는 정서조절 전략의 양상을 살펴보고, 유아의 전략과 그에 반응하는 어머니의 전략 간의 상관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만 3세 유아와 어머니 33쌍을 대상으로 한 실험 관찰을 실시하였다. Stansbury와 Sigman(2000)의 도구를 한국의 문화적 실정에 맞춰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는데, 이 도구는 2개의 좌절 상황에서 유아의 정서조절 전략과 어머니의 반응 전략을 위안, 도구, 인지 재평가, 주의전환, 기타의 5가지로 구분한다. 연구 결과, 3세 유아들은 인지 재평가를 포함한 복잡한 전략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난감 정리 과제'(Clean-up) 좌절상황에서는 도구적 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사탕 지연 과제'(Candy given then denied)의 상황에서는 주의전환 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유아의 정서조절 전략과 어머니의 반응 전략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se of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of 3-year-old infants in frustrating situation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infants' emotional strategies and their mothers' responsive strategies. In the current study, 33 dyads of infant-mother were observed in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좌절상황에서 3세 유아의 정서조절 전략 및 어머니 반응의 양상을 살펴보고, 유아의 정서조절 전략과 그에 반응하는 어머니 전략 간의 상관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본 연구는 좌절상황에서 3세 유아의 정서조절 전략과 어머니의 반응 전략을 규명하기 위하여 Stansbury와 Sigman(2000)의 척도를 국내의 실정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그동안 국내에서 번안되어진 유아의 정서조절 전략 척도(Eisenberg & Fabes, 1994: Kalpidou, 1997)와 어머니 반응 전략 척도(Eisenberg, 1996; Gurovich, 1999)가 있지만, 본 척도는 2개의 좌절 유발 상황에서 3세 유아의 정서조절 전략과 어머니의 반응을 동시에 관찰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연구대상 유아와 어머니의 특성은 에 제시하였다.
  • 예비실험은 어린이집의 조용한 교실에서 이루어졌으며, 본 연구자가 실험보조자의 도움을 받아 직접 진행하였다. 예비실험을 통해 실험상황 및 유아에게 제시되는 장난감이 유아에게 적절한지 여부 등을 검토하였다. 예비실험 결과, 장난감 정리과제에서 구슬 장난감을 사용하였을 때 아이들에게 충분히 매력적이지 않고, 레고 블록의 소음이 너무 큰 것으로 나타났다.
  • 이렇듯 유아기 정서조절 전략의 발달과 어머니의 상호작용과의 관련성이 이후 보다 나은 발달로 이끌어 갈 수 있는 방안들을 모색할 수 있다는 관점으로부터 본 연구가 시작되었다. 최근 영유아기 사회정서 발달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실험상황에서 유아의 정서조절 전략을 직접 관찰한 연구는 아직까지는 부족한 실정이다.
  • 최근 영유아기 사회정서 발달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실험상황에서 유아의 정서조절 전략을 직접 관찰한 연구는 아직까지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부정적 정서를 유발하는 좌절상황에서 3세 유아의 정서조절 전략을 직접 관찰하고, 어머니들의 반응 전략이 유아들의 정서조절 전략 사용과 어떻게 관련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만 3세 유아와 어머니 33쌍을 대상으로 좌절 상황에서 3세 유아가 보이는 정서조절 전략의 양상을 살펴보고 유아의 전략과 그에 반응하는 어머니의 전략 간의 상관을 알아본 조사 결과는? Stansbury와 Sigman(2000)의 도구를 한국의 문화적 실정에 맞춰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는데, 이 도구는 2개의 좌절 상황에서 유아의 정서조절 전략과 어머니의 반응 전략을 위안, 도구, 인지 재평가, 주의전환, 기타의 5가지로 구분한다. 연구 결과, 3세 유아들은 인지 재평가를 포함한 복잡한 전략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난감 정리 과제'(Clean-up) 좌절상황에서는 도구적 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사탕 지연 과제'(Candy given then denied)의 상황에서는 주의전환 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유아의 정서조절 전략과 어머니의 반응 전략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정서조절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유아는 사회적 상호작용 속에서 정서를 경험하고 자신의 정서적 반응을 해석하고 정서적 표현행동을 결정하며 점차 다양한 상황에서 표현해야 할 정서와 표현해서는 안 될 정서를 인식하게 된다(Calkins & Smith, 1999). 정서조절은 개인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정서적 반응을 모니터하고 평가하고 수정하는 외부적 · 내재적 과정으로(Thompson, 1994), 필요할 경우 반응을 지연하는 능력뿐 아니라 정서 경험을 사회적으로 용인되는 방법으로 반응하는 능력을 의미한다(Cole, Michel, & Teti, 1994). 효과적 정서조절이란 단순히 공격행동과 같은 부정적 행동들의 억제가 아니라 정서적으로 각성되는 상황에서 유연하게 전략적으로 반응하는 능력이다(Thompson, 1994).
정서란 무엇인가? 정서란 사람의 마음에 일어나는 여러 가지 감정으로, 어떤 일을 경험하거나 생각할 때 일어나는 복잡한 상태를 의미하며 주관적인 경험과 관련된다. 유아는 사회적 상호작용 속에서 정서를 경험하고 자신의 정서적 반응을 해석하고 정서적 표현행동을 결정하며 점차 다양한 상황에서 표현해야 할 정서와 표현해서는 안 될 정서를 인식하게 된다(Calkins & Smith,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곽금주, 김민화, 한은주(2005). 영아의 정서조절 전략과 어머니의 반응유형 간의 관련성. 아동학회지, 26(6), 173-187. 

  2. 권 진(2008). 걸음마기 유아의 정서조절 : 어머니의 가용성, 정서조절 전략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 노지연, 정윤경(2010).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 반응에 따른 아동의 정서표현 양가성과 정서표현신념.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3(2), 57-71 

  4. 박서정(2004). 어머니의 정서사회화 행동과 학령기 아동의 정서조절 전략 및 정서조절 능력 간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5. 박유미(2008). 걸음마기 영아의 정서 조절 : 연령, 애착, 행동 억제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6. 배주희(2011). 유아의 기질과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이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7. 송혜선(2005). 좌절상황에서의 걸음마기 유아의 정서조절 : 어머니 상호작용의 중재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8. 안라리(2005). 만 5세 남녀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정서조절 전략.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9. 이정수(2011). 유아 및 교사변수가 유아의 정서조절 전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층자료 분석. 덕성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0. 임희수(2001). 아동의 기질, 어머니의 정서조절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정서조절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1. 정은주(2005). 유아의 행동적.정서적 자기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2. 지경진(2004). 실험자 변수에 따른 유아의 정서 표현 및 정서 조절 전략. 서울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13. Baird, J. A., & Moses, L. J. (2001). Do preschoolers appreciate that identical actions may be motivated by different intentions? Journal of Cognition and Development, 2, 413-448. 

  14. Calkins, S. D., & Johnson, M. C. (1998). Toddler regulation of distress to frustrating events: Temperamental and maternal correlates. Infants Behavior & Development, 21(3), 379-395. 

  15. Calkins, S. D., Gill. K. L., Johnson, M. C., & Smith, C. L. (1999). Emotion reactivity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predictors of social behavior with peers during toddlerhood. Social Development, 8(3), 310-334. 

  16. Cole, P. M., Dennis, T. A., Smith-Simon, K. E., & Cohen, L. H. (2009). Preschoolers' emotion regulation strategy understanding: Relations with emotion socialization and child self-regulation. Social Development, 18(2), 324-352. 

  17. Cole, P. M., Michel, M. K., & Teti, L. O. (1994). The development of emotion regulation and dysregulation: A clinical perspective.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59(2-3), 240, 73-100. 

  18. Cournoyer, M., & Trudel, M. (1991). Behavioral correlates of self-control at 33 months.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14, 497-503. 

  19. Denham (2006). Social-Emotion competence ad support for school readiness: What is it and how do we assess It?.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17(1), 57-89. 

  20. Denham, S. A. (1997). 'When I have a bad dream mommy holds me': preschoolers' conceptions of emotions, parental socialization, and emotional compet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 Development, 20, 301-319. 

  21. Denham, S. A. (1998). Emotion Development in Young Children. New York: Guilford Press. 

  22. Denham, S. A., Caverly, S., Schmidt, M., Blair, K., DeMulder, E., Caal, S., Hamada, H., & Mason, T. (2002). Preschool understanding of emotions: Contributions to classroom anger and aggressin.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3, 901-916. 

  23. Diener, M. L., & Mangelsdorf, S. C. (1999). Behavioral strategies for emotion regulation in toddlers: associations with maternal involvement and emotional expressions.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22(4), 569-583. 

  24. Eisenberg, N., Fabes, R. A. (1994). Mother'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Relations to children's temperament and anger behavior. Merrill-Palmer Quarterly, 40, 138-156. 

  25. Eisenberg, N., Fabes, R. A., & Murphy, B. C. (1996). Parent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relations to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comforting behavior. Child Developmental, 67(5), 2227-2247. 

  26. Eisenberg, N., Fabes, R. A., Carlo, G., & Karbon, M. (1992). Emotion responsivity to other: Behavioral correlates and socialization antecedents. New Directions for Childs and Adolescent Development, 55, 57-73. 

  27. Eisenberg, N., Liew, J., & Pidada, S. U. (2001). The relations of parental emotional expressivity with quality of Indonesian children's social functioning. Emotion, 1(2), 116-136. 

  28. Fabes, R. A., Poulin, R. E., Eisenberg, N., & Madden-Derdich, D. A. (2003). The coping with children's negative emotions scale (CCNES): Psychometric properties and relations with children's emotional competence. Marriage & Family Review, 34, 285-310. 

  29. Grolnick, W. S., Bridges, L. J., & Connell, J. P. (1996). Emotion regulation in two-year-olds: strategies and emotional expression in four contexts. Child Developmental, 67(3), 929-941. 

  30. Gurovich, N. (1999).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easure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emotion regulation. http://www.jps.net/ngurovich/thesis. 

  31. Harris, P. L. (1989). Children and emotion: The development of psychological understanding. Oxford, UK: Blackwell. 

  32. Henderson, H. A., Marshall, P. J., Fox, N. A., & Rubin, K. H. (2004).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evidence for varying forms and functions of nonsocial behavior in preschools. Child Developmental, 75(1), 251-263. 

  33. Kalpidou, M. D. (1997). The Development of behavior and emotional self-regulation during the preschool period.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Louisiana State University. 

  34. Kochanska, G. (1994). Beyond cognitions: Expanding the search for early roots of internalization and conscience. Development Psychology, 30, 20-22. 

  35. Kopp, C. B. (1989). Regulation of distress and negative emotion: A development view. Development Psychology, 25, 343-354. 

  36. Krause, E. D., Mendelson, T., & Lynch, T. R. (2003). Childhood emotional invalidation and adult psychological distress: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al inhibition, Child Abuse & Neglect, 27, 199-213. 

  37. Lemerise, E. A., & Arsenio, W. F. (2000). Av integrated model of emotion processes and cognition in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Child Developmental, 71, 107-118. 

  38. Leslie, A. M. (1994). Pretending and believing: Issues in the theory of ToMM. Cognition, 50, 211-238. 

  39. Mangelsdorf, S. C., Shapiro, J. R., & Marzolf, D. (1995). Developmental and temperamental differences in emotion regulation in infancy. Child Developmental, 66, 1817-1828. 

  40. McCoy, C. L., & Masters, J. C. (1985).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strategies for the social control of emotion. Child Developmental, 56, 1214-1222. 

  41. Raikes, H. A., & Thompson, R. A. (2006). Family emotional climate attachment security and young children's emotion knowledge in a high risk sample. British Journal of Development Psychology, 24, 89-104. 

  42. Rydell, A., Berlin, L., & Bohlin, G. (2003). Emotionality, emotion to regulation, and adaptation among 5-to 8-years-old children. Emotion, 3, 30-47. 

  43. Shaffer, D. R. (2000). Social & Personality development (4th ed.). Belmont, CA: Wadsworth. 

  44. Shelids, A., & Cicchetti, D. (2001). Parental maltreatment and emotion dysregulation as risk factors for bullying and victimization in middle childhood.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30, 349-363. 

  45. Stansbury, K., & Sigman, M. (2000). Responses of preschoolers in two frustrating episodes: emergence of complex strategies for emotion regulation. 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61(2), 182-202. 

  46. Thompsom, R. A. (1994). Emotion regulation: A theme in search of definition. In N. Fox (Ed.), The development of emotion regulation.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59(2-3, Serial No. 240), 25-52. 

  47. Wellman, H. M., Cross, D., & Watson, J. (2001). Meta-analysis of theory-of-mind development: The truth about false belife. Child Developmental, 72, 655-684. 

  48. Westen, D. (1994). Toward an integrative model of regulation: Applications to social-psychological research. Journal of Personality, 62, 641-64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