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산지 수집 신선 유기농 농산물 미생물 분포도 분석
Microbial Prevalence and Quality of Organic Farm Produce from Various Production Site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6 no.2, 2014년, pp.262 - 267  

박원정 (가천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  류화연 (가천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  임가연 (가천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  이영덕 (서원대학교 식품공학과) ,  박종현 (가천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신선편이식품 소재인 유기농산물의 미생물 분포와 품질을 평가하기 위해서 풋고추, 상추, 토마토, 사과, 배, 쌀 등의 농산물을 47개 지역에서 관행농 농산물과 동시에 현장에서 시료를 수집하였다. 일반 세균수로는 유기농 고추가 평균 4.07 log CFU/g, 관행농 고추는 3.71 log CFU/g 검출되었고 상추는 유기농, 관행농에서 6.76-6.90 log CFU/g로 분석되었다. 토마토와 사과는 2종류 시료에서 각각 2.08-2.92 log CFU/g, 0.70-0.82 log CFU/g로 검출되었다. 쌀도 유기농과 관행농 시료에서 2.92-2.98 log CFU/g 범위의 세균분포를 보여주었으나 유기농 배에서는 4.48 log CFU/g, 관행농 배는 2.84 log CFU/g의 분포도를 보여 주었다. 분석시료에 따라 미생물의 분포에 많은 차이를 보여 주었으며 유기농과 관행농산물의 미생물분포는 거의 차이가 없었다. 병원성 세균인 Cl. perfringens, E. coli O157:H7, L. monocytogenes, Salmonella, S. aureus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유기농산물 2개(4%)와 관행농산물 3개(6%)에서 E. coil가 1.7 log CFU/g으로 검출되었고 B. cereus는 유기농 6개(13%)가 1.97 log CFU/g수준으로, 관행농 11개(23%)에서 1.04 log CFU/g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그러므로 유기농산물과 관행농산물에서의 일반세균과 병원성 세균의 오염정도는 차이가 거의 없고 이들 병원성 미생물의 오염수준도 비교적 낮아 안전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analyze the presence of microbes in organic farm produce, green chillies, lettuce, tomatoes, apples, pears, and rice were collected at 47 production sites with organic and conventional produce. Total average bacterial counts of 4.07 log CFU/g in organic green chillies, 3.71 log CFU/g in conven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아울러 유기 농산물과 관행 농산물간의 병원성 세균의 오염 정도를 비교 분석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유기농 생산현장에서 재배 중인 신선편이 유기농산물을 수집하여 관행농산물과 비교하여 미생물학적인 안전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 유기농산물과 관행농산물의 젖산균의 분포를 분석하였다. 이는 유기농 생산방식이 부패세균인 젖산균의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유기농과 관행농 농산물의 젖산균의 분포도도 일반세균수와 같이 서로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으나 엽채류인 상추의 경우는 유기농 상추가 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약이 잔류하거나 중금속이 문제로 유기농산물의 가치가 높아졌지만 대두되고 있는 문제점은? 그러나, 이러한 유기농산물의 소비 증가로 인해 최근 다양한 화학적, 물리적, 생물학적 위해 요소가 확인되고 있으며, 또한 이러한 원인들로 인해 인간에게 다양한 질환이 유발되거나 사망에까지 이르고 있어서 커다란 경제적 손실과 인적 손실이 발생되고 있다. 화학적 위해의 경우 과거 관행 농산물의 생산을 위해 사용되었던 농약이 잔류하거나 중금속이 문제로 대두되어 유기농산물이 보다 가치를 인정받았으나, 최근에는 미생물학적 안전성이 유기농산물에서 크게 대두되고 있다(3). 특히 유기농 신선농산물은 농약이나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유해 미생물의 증식이 우려되고 가축분 퇴비를 사용하고 있어서 미생물 안전성에 대한 문제가 부각되고 있다(4,5).
참살이를 추구하느 삶에 열망이 높아진 이유는? 국민 소득의 증가와 더불어 소비자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게 되면서 식생활 변화에도 상당한 변화를 가져와서 참살이(well-being)를 추구하는 삶에 열망이 높아졌다(1). 이에 따라서 채소, 과일, 생식 등 신선 농식품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여 열처리 식품보다 새로운 비열 살균 기술 가공법을 이용한 최소가 공 처리된 고품질의 식품 생산이 요구되고 있다(2).
참살이 추구가 야기한 식품 생산의 변화는? 국민 소득의 증가와 더불어 소비자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게 되면서 식생활 변화에도 상당한 변화를 가져와서 참살이(well-being)를 추구하는 삶에 열망이 높아졌다(1). 이에 따라서 채소, 과일, 생식 등 신선 농식품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여 열처리 식품보다 새로운 비열 살균 기술 가공법을 이용한 최소가 공 처리된 고품질의 식품 생산이 요구되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hn YS, Shin DH. Antimicrobial effects of organic acids and ethanol on several foodborne microorganism.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315-1323 (1999) 

  2. Jung SH, Hur MJ, Ju JH, Kim KA, Oh SS, Go JM, Kim YH, Im JS. Microbiological evaluation of raw vegetables. J. Fd. Hyg. Safety 21:250-257 (2006) 

  3. Kang TM, Cho SK, Park JY, Song KB, Chung MS, Park JH. Analysis of microbial contamination of sprouts and fresh cut salads in a market.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490-494 (2011) 

  4. Stephenson J. New approaches for detecting and curtailing foodborne microbial infections. J. Am. Med. Assoc. 277:1337-1339 (1997) 

  5. Lammerding AM. An overview of microbial food safety risk assessment. J. Food Protect. 60: 1420-1425 (1997) 

  6. Frank C, Werber D, Cramer JP, Askar M, Faber M, Heiden M, Bernard H, Fruth A, Prager R, Spode A , Wadl M, Zoufaly A, Jordan S, Kemper MJ, Follin P, Muller L, King LA, Rosner B, Buchholz U, Stark K, Krause G. Epidemic profile of shiga-toxinproducing Escherichia coli O104:H4 outbreak in Germany. New Engl. J. Med. 365: 1771-1780 (2011) 

  7. Lomonaco S, Verghese B, Gerner-Smidt P, Tarr C, Gladney L, Joseph L, Katz L, Turnsek M, Frace M, Chen Y, Brown E, Meinersmann R, Berrang M, Knabel S. Novel epidemic clones of Listeria monocytogenes, United States. Emerg. Infect. Dis. 19: 147-150 (2013) 

  8. Adams M, Hartley A, Cox L. Factors affection the efficacy if washing procedure used in the production of prepared salads. Food Microbiol. 6: 69-77 (1989) 

  9. Sivapalasingam S, Friedman RC, Cohen L, Tauxe RV. Fresh produce: A growing cause of outbreak of foodborne illness in the United States, 1973 through 1997. J. Food Protect. 67: 2342-2353 (2004) 

  10. Soriano JM, Rico HM, Molto JC, Manes MJ. Incidence of microbial flora in lettuce, meat and Spanish potato omelett from restaurant. Food Microbiol. 18: 159-163 (2001) 

  11. Beuchat LR. Listeria monocytogenes incidence on vegetable. Food Control 7: 223-228 (1996) 

  12. Burnett SL, Beuchat LR. Human pathogens associated with raw produce and unpasteurized juices, and difficulties in decontamination. J. Ind. Microbiol. Biotechnol. 27: 104-110 (2001) 

  13.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Food poisoning outbreak DB. Available from: http://www.fse.foodnara.go.kr. Accessed Nov. 28, 2013. 

  14. Mantynen V, Lindstom K. A Rapid PCR-based DNA test for enterotoxic Bacillus cereus. Appl. Environ. Microbiol. 64: 1634-1694 (1998) 

  15. Muller EE, Ehlers MM, Grabow WOK. The occurrence of E.coli O157:H7 in South African water sources intended for direct and indirect human consumption. Water Res. 35: 3085-3088 (2001) 

  16. Jung KS, Roh EJ, Ryu KR, Kim WI, Park KH, Lee DH, Kim KH, Yun JC, Heu SG. Monitoring of pathogenic bacteria in organic vegetables from Korean market. Korean J. Soil Sci. Fert. 45: 560-564 (2012) 

  17. Bae YM, Hong YJ, Kang DH, Heu SG, Lee SY. Microbial and pathogenic contamination of ready-to-eat fresh vegetables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43:161-168 (2011) 

  18. Oliveira, M, Usall J, Vinas I, Anguera M, Gatius F, Abadias M. Microbiological quality of fresh lettuce from organic and conventional production. Food Microbiol. 27: 679-684 (2010) 

  19. Cho JI, Bahk GJ, Kim KS, Ha SD. Microbial assessment of wild cabbage and its control.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162-167 (2004) 

  20. Kim SH, Kim JS, Choi JP, Park JH. Prevalence and frequency of food-borne pathogens on unprocessed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594-598 (2006) 

  21. Nguz K, Shindano J, Samapundo S, Huyghebaert A. Microbiogical evaluation of fresh-cut organic vegetables produced in Zambia. Food Control 16: 623-628 (2005) 

  22. Sorberg M, Miskimin DK, Kramer R, Riha WE, Franke WC. Buchanan RL, O'Leary V, Berkowitz K. Assurannce of microbiological safety in a university feeding system. J. Milk Food Technol. 39: 200-205 (1976) 

  23. Beuchat LR, Harris LJ, Ward TE, Kajs TM. Development of a proposed standard method for assessing the efficacy of fresh produce sanitizer. J. Food Protect. 64: 1103-1109 (2001) 

  24. Cho SK, Park JH. Microbial contamination analysis for drinking water, foodstuff, and cooked food for foodservice oper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478-483 (2012) 

  25. Bae HJ. Analysis of contamination of bacteria from raw materials, utensils and worker's hands to prepared foods in foodservice opera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655-660 (2006) 

  26. Mukherjee A, Speh D, Dyck E, Diez-Gonzalez F. Preharvest evaluation of coliforms, Escherichia coli, Salmonella, and Escherichia coli O157:H7 in organic and conventional produce grown by Minnesota farmers. J. Food Protect. 67: 894-900 (2004) 

  27. Loncarevic S, Johannessen GS, Rorvik LM. Bacteriological quality of organically grown leaf lettuce in Norway. Lett. Appl. Microbiol. 41: 186-189 (2005) 

  28. Bohaychuk VM, Bradbury RW, Dimock R, Fehr M, Gensler GE, King RK, Rieve R, Romero BP. A microbiological survey of selected Alberta-grown fresh produce from farmers' markets in Alberta, Canada. J. Food Protect. 72: 415-420 (2009) 

  29. Shin WS, Hong WS, Lee KE. Assessment of microbiologicla quality for raw materials and cooked foods in elementary school food establishmen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379-389 (2008) 

  30. Littel CL, Omotoye R, Mitchell RT.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ready-to-eat foods with added spices. Int. J. Environ. Heal. R. 13: 31-42 (2003) 

  31. Jang JH, Lee NA, Woo GJ, Park JH. Prevalence of Bacillus cereus group in rice and distribution of enterotoxin genes. Food Sci. Biotechnol. 15: 232-237 (2006) 

  32. Choi SK, Kwon HS, Park JH. Microbe and quality changes of ready-to-eat lettuce during storage at different temperatur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867-1872 (2010) 

  33. Fleet GH. Spoilage yeasts. Crit. Rev. Biotechnol. 12:1-44 (19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