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건소 치과위생사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도 및 교육 요구
Awareness and educational needs towards the multicultural family in dental hygienists in public health center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14 no.2, 2014년, pp.189 - 196  

장선희 (원광보건대학교 치위생과) ,  이광희 (원광보건대학교 치위생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dental hygienists in public health center towards multicultural family and educational needs to provide information on community oral health programs. Methods : The subjects were 74 recruited from 126 dental hygienists in 14 pub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다문화와 관련한 지역사회 구강보건사업 수행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전라북도 내 14개 보건소에서 구강보건업무를 담당하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건소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들을 대상으로 다문화가정에 대한 인식 및 교육 요구에 관하여 조사함으로써 다문화와 관련한 지역사회 구강보건사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문화가족을 위한 맞춤형 서비스의 필요성이 여러 연구에서 제기되는데 이에 따른 정부 정책은 어떠한가? 이들은 다문화가족이라는 새로운 인구집단을 형성하였고, 이들을 위한 맞춤형 서비스의 필요성은 여러 연구 3,4) 를 통하여 계속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정부 정책은 다문화가족지원 센터의 증설, 한국어교육 등 기초생활 부분에 집중 5) 되고 있는 반면, 많은 선행 연구들이 다문화가정의 사회 복지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보건의료에 관하여는 무료 건강검진, 임산부 에게 제공되는 기본적인 의료서비스 외에 9개 국어로 번역된 임신․출산에 대한 책자가 추가 제공되는 5) 정도로서 매우 취약한 실정이다. 설 등 6) 은 조사대상자의 23.
다문화가족이란? 다문화가족지원법에 의하면 다문화가족이란 결혼이민자와 외국인 중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한 자로 이루어진 가족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단일민족의 정체성이 강한 우리나라는 결혼에 대한 보수적 사고와 타민족에 대한 편견이 맞물려 국제결혼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갖고 있었으나, 성비 및 도농 인구의 불균형, 결혼에 대한 가치관 변화 등이 영향을 미쳐 국제결혼 비율은 급격한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1) .
국제결혼의 추세는? 단일민족의 정체성이 강한 우리나라는 결혼에 대한 보수적 사고와 타민족에 대한 편견이 맞물려 국제결혼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갖고 있었으나, 성비 및 도농 인구의 불균형, 결혼에 대한 가치관 변화 등이 영향을 미쳐 국제결혼 비율은 급격한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1) . 1990년대 초반 증가하기 시작한 국제결혼은 2001년 9,684건에서 2005 년 42,356건(총 혼인건수 대비 13.5%)으로 폭발적인 증가세를 보여 왔으며, 점차 둔화되기는 하였으나 2) 여전히 많은 다문화가정이 형성되고 있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marriage brokerage user damage prevention manual. Seoul: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2012: 1-4. 

  2. Korea Statistical International System(KOSIS). Statistics by topic, Population.household, population survey, multicultural [internet].[cited 2013 July 07].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List.jsp. 

  3. Ministry of Health & Welfare. Long-term view & measures research of multicultural families.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9: 27-8. 

  4.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Decommissioning issues of multicultural families & policy issues. Seoul: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2010: 19-23. 

  5.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Policy guidance, family, multicultural family support[internet].[cited 2013 July 04]. Available from: http://www.mogef.go.kr/korea/view/policyGuide/policyGuide06_04_02.jsp. 

  6. Seol DH, Kim YT, Kim HM, Youn HS, Lee HJ, Im KT, et al. International survey on immigrant women and health and welfare support policy measures. Health &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5: 161-4. 

  7. National Medical Center. Multicultural family care center[internet].[cited 2013 September 11]. Available from : https://www.nmc.or.kr/html/medical_info/pop_mDiv_intro.asp. 

  8. Daum. Free treatment of multicultural families[internet].[cited 2013 September 11]. Available from: http://search. daum.net/search. 

  9. Kim HR. Health status of marriage-based immigrants in Korea and policy directions. Health & Welfare Policy Forum 2010; 165: 46-57. 

  10. Yang SJ. Health status, health care utilization and related factors among asian immigrant women in Korea. J Korea Community Health Nurs Acad Soc 2010; 24(2): 323-35. 

  11. Kim SJ, Lee SH, Kim SY, Kim AL, Park HT, Lee YJ. Migrant workers' quality of life related to health. J Korean Acad Adult Nurs 2008; 20(5): 791-803. 

  12. Kim SJ. The research report for improving life quality of multicultural spouse[Master's thesis]. Ulsan: Univ. of Ulsan, 2010. 

  13. Shin HC. Definition of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J Korean Acad Fam Med 1998; 19(11): 1008-15. 

  14. Jang SH. Effect of oral health education on oral hygiene management of certified caregivers in elderly care facilities [Doctoral dissertation]. Iksan: Univ. of Wonkwang, 2013. 

  15. Jeon ES, An SY, Choi YH. Migrant multi-cultural family women's life quality related to oral health: Survey in Dae-Gu. J Dent Hyg Sci 2011; 11(3): 181-7. 

  16. Sung DK, Lee JY. Research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immigrant women.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Quarterly 2010; 22(3): 749-72. 

  17.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REGIONAL PUBRIC HEALTH ACT, article 9[internet].[cited 2013 September 11].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lsSc.do. 

  18.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Local civil servants Appointment Regulations, article 33[internet].[cited 2013 September 11].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lsSc.do. 

  19. Im AJ. Dental hygienists' multicultural awareness and actual condition survey of education[Master's thesis]. Seoul: Univ. of Dankook, 2011. 

  20. Yun HK, Choi MS, Choi GY. Influence on oral health condition by visits to dental clinics and dental education experience of east asian immigrant women in Korea. J Korean Soc Dent Hyg 2012; 12(2): 409-17. 

  21. Choi HJ. Medical facility visit among cross-border married women[Master's thesis]. Kyoungsan: Univ. of Yeungnam, 2012. 

  22. Kim SH. Analysis of affecting factors to health service utiliza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Master's thesis]. Seoul: Univ. of Yonsei, 2012. 

  23. Ministry of Health & Welfare. Oral health program guidelines of 2012.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1: 3-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