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 대상 시뮬레이션 기반 융합실습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Simulation-Based Convergence Practicum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Senior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9 no.10, 2019년, pp.16 - 27  

안민정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  조행난 (전남대학교병원) ,  (빅토리아대학교 간호대학) ,  황윤영 (서울여자간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 대상 시뮬레이션 기반 융합실습교육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단일군 반복측정 실험설계를 적용하여 수행되었다. G시 소재 대학에 재학중인 총 77명의 간호대학 4학년생에게 시뮬레이션 기반 실습교육 전, 교육 직후 및 교육 2개월 후에 자료를 수집하였고, repeated measure ANOVA 등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간호술기 지식과 간호술기 수행자신감, 학습 자기효능감 및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교육 전 대비 교육 직후와 교육 2개월 후에 유의하게 증진되었으나, 교육 직후와 교육 2개월 후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결과는 시뮬레이션 기반 융합실습교육이 간호대학 4학년생들의 학습 효과를 증가시키고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줄이는데 효과적인 전략임을 시사한다. 향후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를 통해 본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the effects of a simulation-based convergence practicum education program among senior nursing students. A repeated measure experimental design was used. A total of 77 senior nursing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a university located in G city. Da...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 기반 융합실습교육이 간호술기 지식, 간호술기 수행자신감, 임상실습 스트레스 및 학습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시뮬레이션 기반 융합실습교육의 직접적인 효과와 임상실습에 미치는 효과 및 학습내용의 활용 자신감 등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 기반 융합실습교육의 지속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함으로써 지속효과성에 대한 인식의 환기를 도모 하고, 효과적인 시뮬레이션 기반 융합실습교육을 위한 일례를 제시하였다. 문제중심학습(PBL)을 적용한 시뮬레이션 기반 융합실습교육의 시행으로 임상상황에 대한 토론 및 이해의 증진을 도모함으로써 시뮬레이션 기반 융합실습교육시 학습동기가 강화되었을 것으로 사료되며, 이상의 결과들은 효과적인 시뮬레이션 기반 융합실습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 4학년생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융합실습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 4학년생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융합실습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간호술기 지식, 간호 술기 수행자신감,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학습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및 지속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 기반 실습교육과 문제중심학습 (Problem Based Learning; 이하 PBL)을 병행한 시뮬레이션 기반 융합실습교육 프로그램이 간호대학 4학년생의 간호 술기 지식, 간호술기 수행자신감, 임상실습 스트레스 및 학습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단일군 반복측정 실험설계(one-group repeated measures experimental design) 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 4학년생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융합실습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간호술기 지식, 간호술기 수행자신감, 임상실습 스트레스 및 학습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및 지속효과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간호대학생을 위한 효과적인 시뮬레이션 기반 융합실습교육의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간호교육의 질 제고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아울러, 일정 기간 경과 후 시뮬레이션 기반 실습교육에 참여했던 간호대학생의 간호술기 자신감과 임상수행능력의 변화가 보고되었을 뿐 아니라[14,15], 시뮬레이션 기반 실습교육이 학습 자기효능감 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일정 기간 경과 후 변수의 재측정이 필요할 것으로 고려된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 4학년생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융합실습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간호술기 지식, 간호술기 수행자신감, 임상실습 스트레스 및 학습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및 지속효과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간호대학생을 위한 효과적인 시뮬레이션 기반 융합실습교육의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간호교육의 질 제고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습 자기효능감이 간호대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학습 자기효능감은 새롭게 학습한 내용을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개인의 신념으로, 학업수행 뿐 아니라 학습과정을 학습자 스스로 조절해 나가는 자기조절학습과 이를 수행하는 전략에 영향을 미친 다. 이로 인해 학습 자기효능감이 높은 간호대학생은 임상 상황에서 스스로 학습하고 간호문제를 해결하면서 간호술기에 대한 자신감과 학업성취 수준이 증진되어 핵심역량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12,13]. 또한 학습몰입과 학습 동기가 학습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파악되었으므로[12], 타 실습교육 대비 학습자의 직접적인 참여와 교수자의 즉각적인 피드백을 통해 학습을 진행하며, 현재 많은 간호대학에서 적용중인 시뮬레이션 기반 실습교육이 학습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으로 고려된다.
임상실습 스트레스란 무엇인가?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간호대학생이 임상실습에 대해 지각하는 스트레스를 의미하는 것으로, Scott과 Huskisson [17]이 사용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도구는 시각적 사상척도(VAS: visual analogue scale; 0점 스트레스 전혀없음, 10점 스트레스 극도로 심함)의 단일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시뮬레이션 기반 실습교육이 임싱실습 교육의 대안으로 인식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간호대학생은 임상 실습교육 시 지식과 술기를 통합할 수 있는 기회를 통해 총체적인 간호능력의 습득이 가능해지며, 타인에 대한 관심과 배려 속에서 인간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게 된다[3]. 그러나 현실에서는 환자의 권리를 최우선으로 하는 의료환경의 변화와 임상환경의 복합성, 실습사례의 부족 등으로 임상 실습교육 시 간호대학생이 간호술기를 수행 하는 기회가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교육과정 내에 지식과 기술 및 태도를 연계할 수 있으며, 임상 실습교육의 제약성을 보완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기반 실습교육이 임상실습 교육의 중요한 대안으로 인식되고 있다[2,4,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KABONE). (2013). A Guide of Accreditation Board in Nursing Education. Seoul. 

  2. K. A. Kim & H. S. Oh. (2013). The effects of a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the critical thinking, problem solving and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1(1), 43-52. 

  3. K. S. Park, E. H. Choi & Y. Y. Hwang. (2003). The study of the nursing students' lived experience of clinical practice at the intensive care unit.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5(3), 373-382. 

  4. C. Arthur, A. Kable & T. Levett-Jones. (2011). Human patient simulation manikins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use in Australian schools of nursing: a cross-sectional survey.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7(6), e219-e227. DOI : 10.1016/j.ecns.2010.03.002 

  5. H. S. Kim & K. E. Park. (2013). Effects of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maternity core nursing practicum.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1(1), 1-13. 

  6. M. S. Chu & Y. Y. Hwang. (2013). Development and effects of the integrative fidelity simulation curriculum.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3), 362-370. DOI : 10.5977/jkasne.2013.19.3.362 

  7. M. S. Chu, Y. Y. Hwang & C. S. Park. (2006).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BL module using simulation; focused on simma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3(2), 182-189. 

  8. Y. Kim & J. H. Park. (2016). Effects of visiting nursing simulation-based training for community nursing.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4(2), 21-35. 

  9. H. J. Gu, K. H. Kang, O. H. Kim, J. J. Sun & E. J. Choi. (2013). Effects of a simulation-based learning for obstetrical nursing.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1(1), 15-28. 

  10. S. H. Lee. (2018). Effect of practical delivery-nursing simulation education on team-based learning on the nursing knowledge, self-efficacy, and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4(2), 150-162. DOI : 10.4069/kjwhn.2018.24.2.150 

  11. S. N. Park, M. S. Chu, Y. Y. Hwang, S. H. Kim & S. K. Lee. (2015). Effects of integrated nursing practice simulation-based training on stress, interest in learning,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2(4), 424-432. DOI : 10.7739/jkafn.2015.22.4.424 

  12. Y. Ma & E. Lee. (2017). Factors affecting academic self-efficacy in nursing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7(10), 521-531. DOI : 10.14257/ajmahs.2017.10.90 

  13. S. O. Kim & H. S. Kim. (2014). Effects of psychiatric nursing practicum using simulated patients o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learning self-efficacy, satisfaction of learning.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4(2), 396-408. DOI : 10.5392/JKCA.2014.14.02.396 

  14. S. W. Holmstrom, K. Downes, J. C. Mayer & L. A. Learman. (2011). Simulation training in an obstetric clerkship: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bstetrics & Gynecology, 118(3), 649-654. DOI : 10.1097/AOG.0b013e31822ad988 

  15. E. H. Ha & H. S. Song. (2015). The effects of structured self-debriefing using on the clinical competency, self-efficacy,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after simula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1(4), 445-454. DOI : 10.5977/jkasne.2015.21.4.445 

  16. F. Faul, E. Erdfelder, A. Buchner & A. G. Lang. (2009).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41(4), 1149-1160. DOI : 10.3758/BRM.41.4.1149 

  17. J. Scott & E. C. Huskisson. (1979). Vertical or horizontal visual analogue scales. Annals of the Rheumatic Diseases, 38(6), 560. 

  18. H. W. Ayres. (2005). Factors Related to Motivation to Learn and Motivation to Transfer Learning in a Nursing Population. Doctoral dissertations.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North Carolina. 

  19. S. Y. Park & Y. R. Kweon. (2012). The effect of using standardized patients in psychiatric nursing practical training for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1(1), 79-88. DOI : 10.12934/jkpmhn.2012.21.1.79 

  20. R. M. Fanning & D. M. Gaba. (2007). The role of debriefing in simulation-based learning. Simulation in Healthcare, 2(2), 115-125. DOI : 10.1097/SIH.0b013e3180315539 

  21. S. Kwon & H. Kim. (2016). Effect of a simulation-based education for delivery nursing program on knowledge, problem solving process and confidenc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4(1), 13-22. 

  22. A. J. Kirkpatrick, M. A. Cantrell & S. C. Smeltzer. (2017). Palliative care simulations in undergraduate nursing education: an integrative review.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13(9), 414-431. DOI : 10.1016/j.ecns.2017.04.009 

  23. M. O. Yoon. (2018). The effect and continuity of AHA basic life support(BLS) education o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knowledge, attitude,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of nursing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8(1), 737-747. DOI : 10.21742/AJMAHS.2018.01.81 

  24. D. H. Park & H. J. Kim. (2019). Effects of a simulation-based training on nursing students' knowledge, confidence, clinical competence and clinical competence to 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9(1), 61-67. DOI : 10.22156/CS4SMB.2019.9.1.061 

  25. H. J. Chae. (2015). The needs and effects of convergence-based simulation practice for obstetrical nursin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9), 377-386. DOI : 10.14400/JDC.2015.13.9.377 

  26. H. J. Kim & K. M Kim. (2018). The effect of nursing simulation learning on gynecologic cancer patients with use of standard patient.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8(1), 159-169. DOI : 10.21742/AJMAHS.2018.01.02 

  27. J. S. Jung & H. K. Hur. (2013). Effectiveness and retention of repeated simulation-based basic life support training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6(2), 24-36. 

  28. Y. J. Kim, M. J. Park & Y. L. Ham. (2016). Continuous effect of 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 simulation education according to Felder-Silverman learning style.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20(3), 21-35. DOI : 10.14408/KJEMS.2016.20.3.021 

  29. M. Y. Pyo et al. (2012). The effects of an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training via smartphone's simulation application on nurses' knowledge and learning satisfaction.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8(2), 228-238. DOI : 10.22650/JKCNR.2012.18.2.228 

  30. M. Kaddoura, O. Vandyke, C. Smallwood & K. M. Gonzalez. (2016). Perceived benefits and challenges of repeated exposure to high fidelity simulation experiences of first degree accelerated bachelor nursing students. Nurse Education Today, 36, 298-303. DOI : 10.1016/j.nedt.2015.07.014 

  31. J. Kim & N. Heo. (2017). Effect of a simulated education-based hypoglycemia scenario using a high-fidelity simulator on acquisition and retention of diabetes knowledge and academic self-efficacy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3(3), 319-329. DOI : 10.5977/jkasne.2017.23.3.319 

  32. Y. M. Park (2017). The effects of simulation-based practice on competence and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6), 1-7. DOI : 10.22156/CS4SMB.2017.7.6.001 

  33. S. Y. Ju & Y. A. Song. (2012). Effects of simulation and problem-based learning courses on student critical thinking,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learning.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1), 43-52. DOI : 10.5977/jkasne.2012.18.1.043 

  34. K. A. Kim & D. W. Choi. (2018). The effect of virtual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 an application of care for acute heart disease patients.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6(2), 1-13. DOI : 10.17333/JKSSN.2018.6.2.1 

  35. M. J. Chae & S. H. Choi. (2016). Effectiveness of student learning with a simulation program focusing on cardiac arrest in knowledge, self-confidence, critical thinking,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8(4), 447-458. DOI : 10.7475/kjan.2016.28.4.447 

  36. S. O. Kim & S. Y. Park. (2013). Effects of high-fidelity simulation-based training of nursing students according to their learning style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11), 1046-1057. DOI : 10.5392/JKCA.2013.13.11.1046 

  37. M. J. Park. & D. Choi (2018). The effect of simulation integrated with problem based learning on system thinking, learning flow, proactivity in problem solving and performance ability for medicat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8), 221-231. DOI : 10.14400/JDC.2018.16.8.221 

  38. M. Y. Moon (2018). Effects of convergence-based integrated simulation practice program on the clinical decision making, problem solving process, clinical competence and confidence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 performance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7), 271-284. DOI : 10.14400/JDC.2017.15.7.2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