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버스 승하차시간 추정 모형 개발
An Empirical Model for Estimating Bus Boarding and Alighting Time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32 no.2, 2014년, pp.152 - 161  

성명언 (아주대학교 TOD기반 지속가능 도시.교통 연구센터) ,  최기주 (아주대학교 교통시스템공학과) ,  신강원 (경성대학교 도시공학과) ,  정우현 (아주대학교 TOD기반 지속가능 도시.교통 연구센터) ,  이규진 (아주대학교 TOD기반 지속가능 도시.교통 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 KHCM이 출판될 당시와 현재의 대중교통 환경이 달라져 승하차시간 산정방법이 달라질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승하차시간에 영향을 주는 승하차수, 입석자수, 상면지상고를 변수로 총승하차시간값을 도출하는 모형을 다중회귀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승차시간의 경우는 승하차수, 입석자수, 상면지상고 순으로 영향력의 차이가 있었으며, 총하차시간의 경우는 하차자수, 상면지상고 순으로 분석되었고, 두 개의 모형에서의 독립변수들은 모두 종속변수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을 통해 예측된 순수 승하차시간은 기존의 버스정류장은 물론 TOD를 고려한 신도시 등의 신설 버스정류장 용량 산정에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total boarding and alighting time models have been developed by applying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ree variables; numbers of boarding or alighting passengers, non-sitting passengers, and the step-height from the ground. Such variables have influenced to the total boarding time mo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버스 정류장 용량산정의 핵심요소인 버스 승객 승하차시간을 보다 현실적으로 반영하기 위해 요금징수체계의 변화에 따른 승하차시간, 입석승객의 규모에 따른 승하차시간, 차종별 승하차시간을 고려하였다. 본 연구의 주안점을 좀 더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현재 KHCM은 단순히 입석자 유무에 따라 승차시간 차이를 1초로 규정하고 있으나, 입석자의 규모에 따라 승하차시간은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판단되는바, 입석자 규모가 승하차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 문헌고찰 결과, 버스 운영 및 설치 등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버스점유시간, 그 중에서도 이용자 특성이 가장 크게 드러나는 승하차시간에 대해 현재의 버스이용 현황을 가장 잘 반영할 수 있도록 현재 많이 운영되고 있는 버스타입별로 실제 이용자의 승하차시간을 측정하고, 기존 승하차측정방법을 참고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앞으로 설치 및 운영할 버스정류장에 대한 승하차시간 추정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 이처럼 본 연구의 목적은 버스정류장 시설계획 및 운영에 핵심이 되는 버스정류장 용량 산정을 위한 버스 승하차시간을 다양한 요인들을 반영하여 추정할 수 있는 모형개발로, 관련 분석은 버스 CCTV자료와 버스 탑승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수행하였다(전체 연구 흐름은 Figure 1 참조).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승객 승하차시간은 무엇인가? · 승객 승하차시간 : 출입문이 열린 후 승객이 승·하차하기 시작한 시간부터 승하차 완료 후 출입문이 닫힐 때까지의 소요시간
국내 도로용량편람은 무엇을 제공하고 있는가? 버스 정류장을 효율적으로 설계하고 운영하기 위해서는 버스 정류장 용량 산정의 핵심요소인 승객승하차시간이 적절하게 반영되어야 한다. 국내 도로용량편람(KHCM, Korea highway capacity manual)은 대중교통시설 시설에 대해 적정 규모를 계산하고, 현재의 서비스 수준을 분석하는 지침을 제공하고 있으나, 지침이 나온 이래로 수도권 통합요금제가 시행되었고, 교통카드 보급률과 저상버스의 수도 증가하여 이를 고려한 현실적인 승객 승하차 시간 추정모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국내 도로용량편람에서 제시하고 있는 정차시간의 정의는 무엇인가? · 정차시간:(출입문 여는 시간+승객 승하차시간+ 출입문 닫는 시간) 버스정류장에 정차해 있을 동안의 시간으로 버스의 바퀴가 멈추었다 출발하는 사이의 시간을 의미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lter C. H. (1976), Evaluation of Public Transit Services : The Level-of-Service Concept, TRR, 606, TRB, 37-40. 

  2. Bakker J. J. (1976), Transit Operating Strategies and Levels of Service, TRR, 606, TRB, 1-5. 

  3. Botzow H. (1974), Level-of-Service Concept For Evaluating Public Transport, TRR, 519, TRB, 73-84. 

  4. Chapman R. A. (1975), Bus Boarding Times-a Review of Studies and Suggestions for Interpretation, University of Newcastle, 18-21. 

  5. Cundill M. A., Watts P. F. (1973), Bus Boarding and Alighting Times, Britain Transport and road research laboratory), 521. 

  6. Cundill M. A., Watts P. F. (1973), Bus Bording and Alighting Time, Report LR 521, Great Britain Transport and Road Research Laboratory, Crowthome, England. 

  7. Fruin J. J. (1992), Public Transportation Design for Pedestrians -second edition-, 214-215. 

  8. Guenthner R. P., Sinha K. C. (1983), Modeling Bus Delay due to Passenger Boardings and Alightings, TRB 915, 7-13. 

  9. Kang Y. K., Seo J. S., Koh S. Y. (2001), An Analysis of Bus Dwell times, Myongji University, 203-208. 

  10. Kim J. H. (2005), Development of The Bus Berth Capacity Using Bus Dwell Time, Hanyang University, 4-10. 

  11. Kim J. Y., Rhee J. H., Oh S. H. (2008), Analysis of The Low Floored Bus Effect on Elderly Peopl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8(2). 

  12.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2001), Korean Highway Capacity Manual (third phase). 

  13. Lee H. S., Lee S. I., Won J. M. (2007),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Model for the Bus Servic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7(3), 275-280. 

  14. Levinson H. S. (1983), Analyzing Transit Travel Time Performance, TRR, 915, TRB, 1-6. 

  1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2), Study of Low Floored Buses Operating Plan. 

  16. Seo S . J. (2002), Study on The Capacities of Bus and Bus Stop, Myongji University. 

  17. TRB (2000), Special Report 209, Highway Capacity Manual.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