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곰취 분말을 첨가한 국수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ied Noodles Added with Ligularia fischeri Powder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9 no.2, 2014년, pp.205 - 211  

박복희 (목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주하미 (목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조희숙 (초당대학교 조리과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of noodles containing different amounts of Ligularia fischeri powder (LFP). Noodles were prepared at ratios of 0, 1, 3, 5, and 7% LFP based on flour weight. Cooking quality, mechanical texture properties, and viscosity were measured, and a sensory evaluation was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수에 약리작용과 생리활성효과가 우수한 곰취의 기능성을 첨가하면서 더불어 조리국수의 맛과 조직감 향상을 위한 소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을 알아보고자 곰취 분말을 첨가한 국수를 제조하여 조리면의 특성과 밀가루 및 반죽의 성질 등을 연구하여 현대인의 기호에 맞는 건강식품으로 곰취 분말의 제면 첨가물로서의 보급 및 발전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곰취의 효능은? 최근 곰취의 약리 성분과 polyphenol 화합물 및 flavonoids가 확인됨에 따라 (Cho & Kim 2005; Chang 등 2008) 동물실험 및 분자생물학적 수준에서 곰취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곰취의 항돌연변이성 및 유전독성 억제 효과(Ham 등 1998; Jeong 등 1998), 항염증 작용(Kim 등 2004a; Kim 등 2004b), 곰취의 높은 폴리페놀 함량으로부터 기인되었을 항산화 효과(Jeong 등 1998; Park & Kim 1999; Kwon 등 2002; Chang 등 2008), 곰취 메탄올 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Bae 등 2009) 등은 이미 과학적으로 충분히 입증되고 있다. 현재 식용식물의 유효성분 분석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는 있으나, 식용식물을 이용한 가공식품의 개발 등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Oh 등 1997; Lee 등 1998; Lee & Chung 1999).
곰취란?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취나물은 수리취, 참취, 개미취, 청옥취, 미역취, 누룩취, 곰취 등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이중 곰취(Ligularia fischeri)는 초롱꽃목의 국화과에 속하며, 고산의 깊은 산 습한 곳에서 자생하는 숙근성 다년생 초본으로 관화식물이다. 봄에 연한 녹색을 띠는 어린잎을 포기당 2~3매 남기고 채취하여 생채, 나물 및 쌈 등으로 식용하고있으며, 곰취의 뿌리와 근경은 타박상, 진해, 요통, 각혈 및 거담 등에 생약으로 이용하기도 한다(Chang 등 2008).
국화과에 속하는 곰취의 뿌리와 근경은 어떻게 이용되는가? 이중 곰취(Ligularia fischeri)는 초롱꽃목의 국화과에 속하며, 고산의 깊은 산 습한 곳에서 자생하는 숙근성 다년생 초본으로 관화식물이다. 봄에 연한 녹색을 띠는 어린잎을 포기당 2~3매 남기고 채취하여 생채, 나물 및 쌈 등으로 식용하고있으며, 곰취의 뿌리와 근경은 타박상, 진해, 요통, 각혈 및 거담 등에 생약으로 이용하기도 한다(Chang 등 2008). 또한 곰취는 미국이나 일본 등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5 a day’ 캠페인에서 권장하는 녹색 채소류로서(농촌진흥청 농촌생활연구소 2006) chamomile, jacobine, ameleme 등의 약리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잎의 생즙과 가열즙에 항암효과가 있고, 시력보호, 골격과 치아를 강하게 하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Bae 등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농촌진흥청 농촌생활연구소. 2006. 식품성분표 제7개정판. 제1편. 도서출판효 일. pp 106-107 

  2. AACC. 1983.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nists Approved Methods of the AACC, 8th ed., 26-28 

  3. AOAC. 1980.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3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4. Bae JH, Yu SO, Kim YM, Chon SU, Kim BW, Heo BG. 2009. Physiological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ligularia fischeri and their hyperplasia inhibition activity of cancer cell. J. Bio. Environment Control, 18(1):67-73 

  5. Borghi B, Castagna R, Corbellini M, Heun M, Salamini F. 1996. Breadmaking quality of eincom wheat (triticum monoccum ssp. moncoccum). Cereal Chem., 73(2):208-211 

  6. Chang SK, Kim JH, Oh HS. 2008.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cold buckwheat noodles using biological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s of ligularia fischeri and angelica gigas nakai. Korean J. Food Culture, 23(4):479-488 

  7. Cho HS, Kim KH. 2009. Assessment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ied shrimp noodles for elderly food service operations. Korean J. Food Cookery Sci., 25(3):267-274 

  8. Cho HS. 2010. Rheological properties of dried noodles with added enteromorpha intenstinalis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4):567-574 

  9. Cho SD, Kim GH. 2005. Food product developmen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liqularia fischeri for food resources. Korean J. Food Preserv., 12(1):43-47 

  10. Choe HD, Kim HM, Kim SL, Park YG. 2003. Effect of $\beta$ -glucan on gelatinization of barley starch. Korean J. Food Sci. Technol., 35(4):545-440 

  11. Chong HS, Park CS. 2003. Quality of Noodle Added Powder of opntia ficus-indica var. Saboten Korean J. Food Pre., 10(2):200-265 

  12. Ham SS, Lee SY, Oh DH, Jung SW, Kim SH, Chung CK, Kang IJ. 1998. Antimutagenic and antigenotoxic effects of ligularia fischeri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6):745-750 

  13. Jeong SW, Kim EJ, Hwangbo HJ, Ham SS. 1998. Effects of ligularia fischeri extracts on oxidation of low density lipoprotein. Korean J. Food Sci. Technol., 30(10):1214-1221 

  14. Jung BM, Park SO, Shin TS. 2009. Developmen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noodles made with added capsosiphon fulvescen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5(1):180-188 

  15. Kim DW, Son KH, Chang HW, Bae KH, Kang SS, Kim HP. 2004a.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sedum kamtschaticum. J. Ethnopharmacology, 90(4):409-414 

  16. Kim EY, Baik IH, Kim JH, Kim SR, Rhyu MR. 2004b.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3):333-338 

  17. Kim HS, Lee KY, Kim SK, Lee SR. 1973. Development of composite flours and their products utilizing domestic raw materials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and nutritional test of composite flour materi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5(1):6-15 

  18. Kim GN, Cho MS, Kwon KW. 2010. Analysis growth performance and ascorbic acid contents of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ligularia fischeri, and L. stenocephala under changing light intensity. J. Korean Food Soc., 99(1):68-74 

  19. Kim JG, SHim JY.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eat flour noodle added with onion powder. Food Engineering Progress, 10(4):269-274 

  20. Kim KH, Park BH, Kim DH, Cho H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 supplemented with skate (raja kenojei) skin and bone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3):353-360 

  21. Kim ML. 2006. Antioxative activity of extracts from gardenia jasminoid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 added gardenia jasminoide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2(2):237-243 

  22. Kwon YJ, Kim KH, Kim HK. 2002. Changes of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ligularia fischeri extracts with different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conditions. Korean J. Food Preserv., 9(3): 332-337 

  23. Lee SY, Lee EY, Shim TH, Oh DH, Kang IJ, Chung CK, and Ham SS. 1998. Cooking properties of buckwheat noodles added aster scaber thunb ju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5):501-507 

  24. Oh DH, Ham SS, Lee SY, Kim SH and Hong JK. 1997. Effect of organic acids packaging on the quality of aster scaber during storage (in Korean). Korean J. Food Sci. Technol., 29(1):57-64 

  25. Park BH, Cho HS.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ied noodles made with dioscorea japonica Flour Powder. Korean J. Food Cookey Sci., 22(2):173-180 

  26. Park BH, Cho HS, Bae KY.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ied noodles made with lotus Root Powder. Korean J. Food Cookey Sci., 24(5):593-600 

  27. Park BH, Jeon ER, Kim SD, Cho HS.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 added with lotus Leaf Powder. Korean J. Food Culture, 25(2):225-231 

  28. Park BH, Yoo JY, Cho HS.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ied noodle with added lagocephalus lunaris Powder. Korean J. Food Culture, 28(3):312-319 

  29. Park ID.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ejakgwas with added ligularia fischeri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3(5):605-612 

  30. Park ID, Cho HS.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ied noodle with loquat leaf powder. Korean J. Food Culture, 26(6):709-716 

  31. Park JA, Kim MK. 1999. Effect of Korean native plang diet on lipid metabolism, antioxidative capacity and cadmium detoxification in rats. Korean J. Nutr., 32(3):353-368 

  32. Park SI, Cho EJ.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 added with chlorella extract. Korean J. Food Cookey Sci., 17(2):120-1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