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거환경개선사업으로 인한 거주자들의 주거안정 변화: 공동주택건설방식을 중심으로
The Change of Dweller's Residents Stability on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s: Focused on Apartment Housing Construction Method 원문보기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5 no.2, 2014년, pp.69 - 79  

김홍주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김주진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주거환경개선사업의 원주민 재정착보다 포괄적인 사업의 공공성 측면인 주거안정에 초점을 둔 것으로, 주거환경개선사업이 사업 전 후시점의 거주자(지구거주자, 재입주자, 신규입주자)의 주거안정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주거환경개선사업의 시행이전 지구, 시행완료된 준공지구에서 각각 다른 유형의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항목은 주거환경개선사업에 대한 주민인식과 주거안정 관련한 개별주택 내부의 물리적 환경 측면, 주거비용측면, 개별주택의 외부 주거환경 측면을 조사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주거환경개선 사업으로 인해 입주자들은 보다 젊은 층, 고학력, 고소득계층으로 변화하지만 가구구성과 장애여부, 직업구성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둘째, 주거환경 개선사업이 주거안정에 미친 영향을 보면 지구거자는 향후 주택의 물리적 여건과 주거외부환경은 양호해지나 주거비용에 대한 부담을 많이 호소하였다. 재입주자의 경우 주택면적과 방수는 증가하여 물리적 여건은 양호해지고 주거비용측면에서 비용증가, 주거외부환경은 양호해지는 형태를 보였다. 신규입주자는 주택의 물리적 여건인 주택면적이나 방수의 변화는 차이가 없고 주거비용은 상승, 외부환경은 양호해지는 형태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REIP) which has started in 1989 and continued with 3rd government-supporting project in 2013 has lots of policy changes and related studies. However, the related researches have focused on residents resettlement into the project site, this paper is more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주거환경개선사업 시행 전·후 거주자는 사업시행 당시의 거주자와 준공이후 재입주한 거주자, 그리고 타지역에서 새롭게 이주한 신규입주자로 구분가능하다. 기존에 주거환경개선사업에 대한 연구는 사업시행단계의 거주자에 대한 연구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본 연구는 사업완료단계까지 포함한 거주자를 대상으로 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기존연구의 맥락에서 주거환경개선사업이 거주자들의 주거안정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지에 초점을 두되, 거주자의 대상을 기존의 연구와 다른 관점에서 접근해 보고자 하였다. 주거환경개선사업은 장시간이 소요되므로 사업후에는 당초 원주민들이 재정착하는 경우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어 사업완료 후의 거주자는 당초 사업지구에 거주했던 원주민들과 타지역에서 새롭게 입주한 사람들로 구성된다.
  • 이를 보면 주거환경개선사업을 주거안정이라는 측면에서 바라본 연구는 많지 않은 점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존연구의 원주민들 재정착에서 한걸음 확장하여 주거환경개선사업을 주거안정이라는 측면에서 다루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주거환경개선사업의 공공성 측면을 포괄적으로 다루고자 한 것으로, 사업지구내 기존거주자와 신규입주자들의 주거안정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한 연구로서 기존의 원주민 재정착연구보다 거주자 범위를 포괄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다만 추적조사의 한계로 사업시행이전지구 거주자들 중에서 타지역으로 이주한 경우를 조사하지 못한 점과 이들을 포함한 주거환경개선사업의 주거안정 효과를 종합하지 못한 한계점을 갖는다.
  • 본 연구는 주거환경개선사업이 시행되면서 나타나는 여러 유형의 거주자 입장에서 주거안정 변화를 분석하였다. 주거환경개선사업 시행이전지구의 지구거주자와 준공이후의 재입주자, 신규입주자의 측면에서 다루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주거환경개선사업의 사업시행 전·후를 기준으로 각각 다른 유형의 거주자의 주거안정 변화를 통해 주거안정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다.
  • 본 장에서는 거주자들의 주거안정변화의 분석을 통해 거주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주거안정이라는 개념으로 주거환경개선사업을 다룬 연구는 많지 않은데, 봉인식(2010)은 경기도의 주거안정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 주거수준, 주거안정, 주거환경으로 구분하고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주거환경개선사업의 주거안정 대상주체를 기존연구의 원주민에서 사업완료 후 타지역에서 온 입주민들까지를 포함한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한다. 이를 통해 주거환경개선사업과 관련된 거주자들이 사업의 전후로 주거안정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는 도시정비법에서 명시하는 사업목적인 물리적 주거환경개선 뿐만 아니라 신규주택공급 측면의 효과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주거환경개선사업의 사업시행 전·후를 기준으로 각각 다른 유형의 거주자의 주거안정 변화를 통해 주거안정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주거환경개선사업이 이루고자 하는 노후불량주거지의 개선을 통한 주거안정에 대하여 사업시행이전의 주민들과 준공 후 재정착한 주민, 타지역에서 입주한 주민들의 입장에서 각각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비교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거환경개선사업의 긍정적 역할은 무엇인가요? 임시조치법은 10년간 한시적으로 시행되다가 2002년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이하 도시정비법)’이 제정되어 일반사업화되었다. 주거환경개선사업은 공공사업으로 노후불량 주거환경의 질적 개선, 기성시가지내 부족한 주택공급 확대 등 일부 긍정적인 역할을 해왔지만, 원주민의 재정착률 저조와 주거불안의 가중 등 주택문제를 비롯한 사회적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거환경개선사업은 지방 중소도시에 산재한 노후․불량주거지의 환경개선을 위한 주요 정비수단의 역할을 해왔다.
주거환경개선사업이란 무엇인가요? 주거환경개선사업은 1989년 ‘도시 저소득 주민의 주거환경개선을 위한 임시조치법’ 제정으로 도입되었고, “경제적으로 영세한 주민이 집단으로 거주하는 지역으로서 정비기반시설이 극히 열악하고 노후불량건축물이 과도하게 밀집한 지역의 기반시설의 정비, 노후주택의 개량과 신축 등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공공정비사업이다. 임시조치법은 10년간 한시적으로 시행되다가 2002년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이하 도시정비법)’이 제정되어 일반사업화되었다.
연구에서 설문대상을 입주자의 특성에 따라 세형태로 구분하였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먼저 설문대상자는 사업시행이전지구의 “지구거주자”와 준공지구의 재정착원주민인 “재입주자”, 타지역에서 신규로 입주한 “신규입주자”로 구분하였다. 입주자를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한 이유는 주거환경개선사업의 시행부터 입주까지의 과정을 보면 지구내 거주자들이 정비사업을 계기로 재정착할 수도 있고 타지역으로 이주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또한 사업준공 이후 새롭게 공급되는 주택으로 신규입주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따라서 주거환경개선사업 시행 전․후 거주자는 사업시행 당시의 거주자와 준공이후 재입주한 거주자, 그리고 타지역에서 새롭게 이주한 신규입주자로 구분가능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고혜진, 이근복, 황희연(2009), "농어촌주거환경개선사업의 시행결과에 대한 인식차이 분석 : 청원군 공무원과 주민의 의견을 토대로", 농촌계획, 16(3) : 23-32. 

  2. 국가인권위원회(2005), 개발사업지역 세입자 등 주거빈곤층 주거권 보장 개선방안을 위한 실태조사. 

  3. 국토연구원(2005), 주거환경개선사업의 원주민 재정착 제고방안 연구. 

  4. 국토해양부(2010),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사업 여행. 

  5. 김윤이(2007), "개발사업지역 세입자 주거대책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도시와 빈곤, 85 : 94-116. 

  6. 김윤이(2011), "주거취약계층 주거지원사업의 현황과 개선 방향", 도시와 빈곤, 90 : 61-80. 

  7. 김형배, 김혜천(2009),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에서의 원주민 현지 재정착 요인의 특성에 관한 기초연구", 지역개발연구, 41(2) : 55-67. 

  8. 김호철(2002), "주거환경개선사업의 사후평가에 관한 연구 : 공동주택건설방식을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15(1) : 53-67. 

  9. 대한주택공사(2004),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 주민의 주거안정 대책에 관한 연구. 

  10.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2013), 3단계 주거환경개선사업의 새로운 패러다임 및 운영방안, 국토교통부. 

  11. 박정은, 최병선(2004),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 지정기준항목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9(1) : 179-190. 

  12. 배웅규, 서수정, 이창호, 임정민(2009), "사회적 재정비를 위한 거점확산형 주거환경개선사업 도입방안 연구", 국토연구, 60 : 3-28. 

  13. 봉인식(2010), 경기도 뉴타운 주거안정지수 개발연구, 경기개발연구원. 

  14. 서울특별시(2007), 뉴타운사업에 따른 원주민 재정착률 제고 방안. 

  15. 장영희, 박은철(2008), 뉴타운사업의 단계적 시행방안 연구. 

  16. 진미윤(2004),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의 주민민원 실태분석과 개선방안", 국토계획, 39(4) : 65-79. 

  17. 최광룡, 하규수(2012), "서울시 주거환경개선사업 정책의 실효성에 관한 연구 : 수혜자와 공급자의 인식비교",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4(4) : 169-184. 

  18. 한국토지주택공사(2010), 도시재생사업업무편람. 

  19. 한국토지주택공사(2010), 주거환경개선사업 업무편람. 

  20. 홍인옥(2002), "주거환경개선사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모색", 도시와 빈곤, 57 : 98-11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