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부산지역은 낙동강 하구에 위치하여 퇴적층, 매립층 등이 매우 잘 발달되어 있어 지진이 발생한다면 이러한 지층 등에서 증폭현상이 나타나 모래층과 성토층 및 매립지반에 액상화 발생 가능성이 매우 커진다. 만약 액상화가 발생한다면 지진에 의한 피해는 크게 가중되어 막대한 피해를 야기 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지진 발생 시 항만시설의 1차 보호구조물인 부산항 신항 방파제의 안정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국내 내진설계기준과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을 바탕으로 인공지진과 국내에 널리 사용되는 장주기 지진파와 단주기 지진파인 포함하여 지진규모 5.6~7.9 수준의 지진 13개 등을 사용하여 첫 번째로 여러 제시된 액상화 평가방법을 이용하여 방파제 하부 치환모래층의 액상화 발생 가능성을 검토하여 안정성을 평가하고, 두 번째 지진규모에 따른 지진에너지와 가속도 응답스펙트럼에 대한 특성분석을 수행하여 설계기준에 근접하는 지진파 제시하며, 세 번째 제시된 지진파를 이용하여 방파제의 동적 안정성을 검토하기 위해 유한요소해석을 실시하여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인하고, Geotextile에 발생하는 변위 및 인장력의 변화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방파제 하부 치환모래층에 대한 액상화 발생가능성과 방파제의 동적수평변위 및 Geotextile의 변화는 하부지반(치환모래층)에 의해 매우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usan is located at the mouth of Nakdong River and if an earthquake occurs, it is very likely that the damage by the earthquake will be worse as liquefaction can happen in the sand layer, builtup soil, and landfill ground due to amplification in the lower sedimentary layer that is well developed i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내진설계기준연구와 항만 및 어항설계기준을 이용하여 인공지진과 대표적인 장주기 및 단주기 지진파인 Hachinohe 지진파와 Ofunato 지진파 등을 포함한 14개의 지진파를 이용하여 부산항 신항 서방파제 일부구간에 대하여 액상화 발생 가능성을 평가하고 또한 언급된 지진파에 대하여 지진규모에 따른 지진에너지를 파악하고 가속도 응답스펙트럼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여 설계기준에 제시된 가속도 표준 설계응답스펙트럼에 근접하는 지진파를 파악한 후 이를 이용하여 방파제 하부 모래치환층의 N치 변화에 따른 동적 안정성과 Geotextile의 변위와 인장력의 변화 등을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지진규모별 방파제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설계지진규모 6.5의 붕괴방지수준에 대한 액상화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방파제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동해석을 수행하여 방파제 구조물의 최대 수평변위 및 Geotextile 의 변위 및 인장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이에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산에서 액상화 현상으로 인한 지진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이유는? 낙동강 하구에 위치한 부산지역은 매우 잘 발달된 퇴적층 및 매립층에 의해 지진이 발생한다면 이러한 지층 등에서 증폭현상이 발생하여 모래 퇴적층과 성토 및 매립지반에 액상화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아진다. 이러한 지층에서 액상화 현상이 일어난다면 지진 피해를 더욱 더 크게 가중시켜 막대한 피해를 야기하게 된다.
방파제 구조물의 Geotextile 인장력 평균 감소율 결과는 어떠한가? 54%, N=25일 때 평균 50.23%이며 인장력의 평균 감소율은 N=15일 때 평균 15.87%, N=25일 때 평균 23.28%로 나타났다.
방파제 구조물의 Geotextile 평균 최대 수평 변위 감소율 결과는 어떠한가? (5) Geotextile의 평균 최대 수평변위 감소율은 N=5을 기준으로, N=15일 때 평균 43.54%, N=25일 때 평균 50.23%이며 인장력의 평균 감소율은 N=15일 때 평균 15.87%, N=25일 때 평균 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Blake, T. F. (1996), Personal Communication from T. L. Youd. 

  2. Busan Port Construction Office (2007), A Basis Reinforcement Construction Investigation Services Soil Survey Report for Breakwater in Busan new port, Busan Regional Maritime Affairs and Port Administration. 

  3. Busan Port Construction Office (2009), A Detailed Design Research and Experiment Report for Breakwater in Busan new port, Busan Regional Maritime Affairs and Port Administration. 

  4. Eurocode 8: Design of structures for earthquake resistance - Part 5: Foundations, retaining structures and geotechnical aspects. EN 1998-5:2010(E). 

  5. Kim Soo-Il (1998), "Assessment and Remediation for Liquefaction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1998, No.3, pp.3-30. 

  6. Park Keun-Bo, Sim Jae-Uk, Cha Seung-Hun, Kim Soo-Il (2008), "A Study on the Dynamic Lateral Displacements of Caisson Quay Walls in Moderate Earthquake Regions",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24, No.8, pp.137-148. 

  7. Robertson, P. K., Woeller, D. J. and Finn, W. D. L. (1992). "Seismic Cone Penetration Test for Evaluating Liquefaction Potential Under Cyclic Loading", Canadian Geotechnical Journal, Ottawa, Canada, Vol.29, pp.686-695. 

  8. Seed, H. B. and Idriss, I. M. (1971). "Simplified Procedure for Evaluating Soil Liquefaction Potential", Journal of the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 Division, ASCE, Vol.97, No. SM9, pp.1249-1273. 

  9. Seed, H. B., Tokimatsu, K., Harder, L. F., and Chung, R. M. (1985). "Influence of SPT Procedures in Soil Liquefaction Resistance Evaluations", Journal of Geotechnical Engineering, ASCE, Vol.111, No.12, pp.1016-1032. 

  10.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1999), A Study on Seismic Design Criteria. 

  11. Yoon Yong-Jun (2002), A Comparative Study on the Evaluation Methodologies of Liquefaction Potential, Master's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12. Youd, T. L. and Seed, I. M. (2001), "Liquefaction Resistance of Soil: Summary Report from the 1996 NCEER and 1998 NCEER/NSF Workshops on Evaluation of Liquefaction Resistance of Soils," Journal of Geotechnical Engineering, ASCE, Vol.127, No.4, pp.297-3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