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학교도서관교육의 정책적 현안과 과제
Political Issue and Problem of School Library Education in Korea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8 no.1, 2014년, pp.299 - 328  

박주현 (광주 신가초등학교) ,  이명규 (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이 연구는 학교도서관교육과정이 정상적으로 운영되고 학교도서관이 교육성과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현안과 과제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학교도서관교육과 관련된 법과 주요 정책을 살펴보고 학교도서관교육의 행태와 성과에 관한 선행 연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인적자원의 전문성 향상, 교육과정 개선, 장학 및 지원체계 정비, 관련법 개정을 정책적 과제로 설정하고 추진방향과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resent issues and problems in producing educational performance of school library and to manage school library education ordinarily. For this purpose, after searching the principle and main policies related to school library education, we analyzed the previou...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도서관은 어떤 곳인가? 학생들에게 올바른 지(知)·정(情)·의(意)를 가르쳐 창의인성인재를 육성하고, 꿈과 끼를 살리는 행복교육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독서교육, 정보활용교육과 같은 학교도서관교육1)이 필요하다. “학교도서관은 인간관계나 정서적인 문제를 도울 수 있는 가장 좋은 학교이고, 다양한 탐구 활동과 프로젝트 활동 등을 통해 스스로 배워 갈 수 있는 힘을 길러 주기에 최적한 곳”이며, “지성이 자라는 공간이자 자아를 발견하고 성장해 가는 곳”이라고 말하는 학교장들의 언급(전국학교도서관담당교사 서울모임 2012, 15-16, 126-128)은 학교도서관이 학생들의 인성을 함양시키고 학습능력을 향상시키는 공간임을 의미한다. “책을 읽으면서 나와 다른 사람의 인생을 알고, 공감대를 형성할 수도 있는 독서만큼 이해력과 사고력을 키워주는 것은 없다”는 아침 독서 창시자의 발언(신우성 2009, 255-256)은 독서교육이 인성과 창의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의미한다.
학교도서관교육이 필요한 이유는? 학생들에게 올바른 지(知)·정(情)·의(意)를 가르쳐 창의인성인재를 육성하고, 꿈과 끼를 살리는 행복교육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독서교육, 정보활용교육과 같은 학교도서관교육1)이 필요하다. “학교도서관은 인간관계나 정서적인 문제를 도울 수 있는 가장 좋은 학교이고, 다양한 탐구 활동과 프로젝트 활동 등을 통해 스스로 배워 갈 수 있는 힘을 길러 주기에 최적한 곳”이며, “지성이 자라는 공간이자 자아를 발견하고 성장해 가는 곳”이라고 말하는 학교장들의 언급(전국학교도서관담당교사 서울모임 2012, 15-16, 126-128)은 학교도서관이 학생들의 인성을 함양시키고 학습능력을 향상시키는 공간임을 의미한다.
국내에서 사서 교직과정을 이수할 수 있는 학과 현황은? 사서교사 2급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사범대의 문헌정보교육과를 졸업하거나 일반대학의 문헌정보학과에서 교직과정을 이수하고 졸업해야 한다. 사서교사 학부 양성기관으로 2013년 기준 문헌정보교육과는 1개 대학에 문헌정보학과4)는 30개 대학에 설치되어 있다(교육부 2013). 문제는 교직과정을 두는 대학교 문헌정보학과에서 사서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을 운영하지 않는 데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강대중, 염시창. 2013. PISA 2009 읽기성취도 데이터를 활용한 학교효과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7(2): 323-345.(Kang, Dae jung and Yum, Si chang. 2013. "An Analysis of School Effects Based on Reading Achievement Data from PISA 2009." Journal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2): 323-345.) 

  2. 곽철완. 2009. 학교도서관 진흥 사업에 대한 만족도와 효과분석. 서울: 교육과학기술부.(Kwak, Chul-Wan. 2009. satisfaction and benefit analysis on School Library Promotion Project. Seou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3. 교육과학기술부. 2013. 2013년도 교원자격검정 실무편람. 서울: 교육과학기술부.(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3. 2013 Practical Manual of teacher qualification. Seou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4. 교육과학기술부. 2012.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서울: 교육과학기술부.(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2. National Curriculum Frameworks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Seou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 교육과학기술부. 2011. 초.중등 독서활성화 방안. 서울: 교육과학기술부.(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The reading activation plans i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eou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 교육과학기술부. 2010. 초.중.고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해설. [online] [cited 2014. 1. 2.]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0. National Curriculum Guide for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Curriculum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online] [cited 2014. 1. 2.] ) 

  7. 교육과학기술부. 2008. 학교도서관 진흥 기본계획. 서울: 교육과학기술부.(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8. Master Plan for School Library Promotion. Seou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8. 교육부. 2013. 2013 교원양성기관 현황. [online] [cited 2014. 1. 2.] (Ministry of Education. 2013. 2013 Status of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online] [cited 2014. 1. 2.] ) 

  9. 교육인적자원부. 2002. 학교도서관 활성화 종합방안. 서울: 교육인적자원부.(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2. The School Library Revitalization Project. Seoul: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10. 국가법령정보센터. [online] [cited 2013. 9. 1.]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online] [cited 2013. 9. 1.] .) 

  11. 김대석. 2011. 학교 교육과정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PISA 2009 한국의 읽기영역에서 교과 및 교과외 활동과 성취도 등과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29(4): 161-185.(Kim, Dae-Seok. 2011. "Relationship between curricular &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students achievements."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9(4): 161-185.) 

  12. 김성준. 2012. 한국학교도서관협의회의 전략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2): 203-225.(Kim, Sung-Jun. 2012. "A Study on the Strategic Plan of Korea School Library Associatio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3(2): 203-225.) 

  13. 김성준. 2011. 학교도서관의 정보활용교육을 위한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과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3): 271-292.(Kim, Sung-Jun. 2011.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Literacy Textbook, School Library and Information Literacy." Th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3): 271-292.) 

  14. 김용하 외. 2011. OECD 국가의 복지지표 비교 연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Kim, Yong ha et al. 2011. Comparative study of the welfare indicators in OECD countries. Seoul: Korean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5. 대검찰청. 통계자료 범죄분석. [online] [cited 2013. 10. 5.] (Supreme Prosecutor's Office. Analysis of Crime Statistics. [online] [cited 2013. 10. 5.] ) 

  16.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08.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서울: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2008. The Comprehensive Library Advancement Plan(2009-2013). Seoul: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17. 송기호. 2011. 시.도교육청 수준의 독서 및 도서관 통합 장학 체계 구축 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3): 49-68.(Song, Gi Ho. 2011. "A Study on Building Integrated Supervision Organizations of Reading and Libraries Under City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5(3): 49-68.) 

  18. 신우성. 2009. 미국처럼 쓰고, 일본처럼 읽어라. 서울: 어문학사.(Shin, Sung Woo. 2009. Read like Japan and Write down like the United States. Seoul: Oumoonhaksa.) 

  19.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013.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 국제비교연구 조사결과보고서. 서울: 한국방정환재단. [online] [cited 2013. 10. 2.] (Institute for Social Development Studies Yonsei University. 2013. The Survey report for Korean children Well-Being index and Its international Comparison with other OECD Countries. Seoul: Korea Foundation Bang Jeong Hwan. [online] [cited 2013. 10. 2.] ) 

  20. 옥현진, 김경희. 2011. PISA 2009 읽기 영역 결과 분석 연구. 국어교육, 134: 383-407.(Ok, Hyoun Jin and Kim, Kyung Hee. 2011. "An Analysis of the Result of Reading Literacy in PISA 2009."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134: 383-407.) 

  21. 이병기. 2012.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PISA)의 독서영역과 AASL의 21세기 학습자 기준 비교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3): 196-216.(Lee, Byeong-Ki. 2012. "The Comparative Analysis of PISA Reading Domain and AASL Standards for the 21st-Century Learn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3(3): 196-216.) 

  22. 이병기. 2009. 미국 학교도서관 기준 관련 문서 21세기 학습자를 위한 기준의 구조와 내용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3): 203-223.(Lee, Byeong-Ki. 2009. "Study on the Structure and Contents Analysis of America New School Library Standards Sets Standards for the 21st-Century Learner."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0(3): 203-223.) 

  23. 이지연. 2009. 학교도서관 이용과 학업 능력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 서울: 교육과학기술부.(Lee, Jee-Yeon. 2009.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School library use and academic skills. Seou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4. 전국학교도서관담당교사 서울모임. 2012. 북미 학교도서관을 가다. 서울: 우리교육.(The National School Library Teacher Meeting of Seoul. 2012. Go to school Library in North America. Seoul: Urigyoyuk.) 

  25. 통계청, 여성가족부. 2012. 2012 청소년 통계. [online] [cited 2013. 9. 27.]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2. 2012 Youth Statistics. [online] [cited 2013. 9. 27.] ) 

  26. 통계청. 2011. 사회조사보고서. [online] [cited 2013. 9. 29.]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1. Social Research Report. [online] [cited 2013. 9. 29.] ) 

  27. 한국교육개발원. 2012. 2012 한국의 교육지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Korea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2012. 2012 educational indicators in Korea. Seoul: Korea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28.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2. 2011년 국민독서실태조사. 서울: 문화체육관광부.(Korea Culture and Tourism Institute. 2012. 2011 National Reading Survey. Seoul: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9. 한국정보화진흥원. 2012. 인터넷중독 실태조사.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2. 2012 internet addiction situation Survey. Seoul: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30. 한국중고생 책상 앞에는 오래 앉아 있지만 ${\cdots}$ . 2008. 동아일보. 10월 31일. 제15면. http://news.donga.com/3/all/20081031/8651245/1, 한국중고생 책상 앞에는 오래 앉아 있지만 ${\cdots}$ 학습 효율성 OECD 30국중 24위. [online] [cited 2013. 9. 27.] (Korean Secondary School Students has long been sitting at the desk. but ${\cdots}$ . 2008. the Dong-A Daily News. October 31. article 15 side. http://news.donga.com/3/all/20081031/8651245/1, Korean secondary school students has long been sitting at the desk. but ${\cdots}$ 24th countries in the efficiency of learning in OECD 30. [online] [cited 2013. 9. 27.] ) 

  31. 한국출판연구소. 2010. 2010년 국민 독서실태 조사. 서울: 문화체육관광부.(Korean Publishing Research Institute. 2010. 2010 National Reading Survey. Seoul: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32. 한국출판연구소. 2009. 2011년 국민독서실태조사. 서울: 문화체육관광부.(Korean Publishing Research Institute. 2009. 2009 National Reading Survey. Seoul: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33. 한국출판연구소. 2008. 국민독서실태조사. 서울: 문화체육관광부.(Korean Publishing Research Institute. 2008. National Reading Survey. Seoul: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34. 한국학교도서관연구회. 2013. 사서교사 업무 관련 정책 제안서. [online] [cited 2013. 10. 6.] (Korea School Library Research Society. 2013. Policy Proposal for Teacher Librarian Job Tasks. [online] [cited 2013. 10. 6.] ) 

  35. Lance, K. C., Hamilton-Pennell, C., Rodney, M. J., Petersen, L. and Sitter, C. 1999. Information Empowered: The School Librarian as an Agent of Academic Achievement in Alaska Schools. Alaska State Library. [online] [cited 2013. 11. 7.] 

  36. Lance, K. C., Rodney, M. J. and Hamilton-Pennell, C. 2000. Measuring up to Standards: The Impact of School Library Programs & Information Literacy in Pennsylvania Schools. Greensburg, PA: Pennsylvania Citizens for Better Libraries. 재인용: 이지연. 2009. 학교도서관 이용과 학업 능력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37. NCES(National Center for Education Statistics). 2004. School Library Media Centers: Selected Results From the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of 2002 (ELS:2002). [online] [cited 2014. 1. 2.] 

  38. OECD PISA. [online] [cited 2013. 9. 2.] 

  39. OECD PISA. [online] [cited 2013. 9. 2.] 

  40. Lee In-Hoi and Kim Min-Hee. 2013. International Comparisons of Reading Literacy in PISA 2009. 교육종합연구, 11(1): 1-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