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간정보의 교육분야 활용을 위한 전략연구
Strategic Plan for Application of Geo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 Field of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v.22 no.2, 2014년, pp.19 - 29  

강영옥 (Department Social Studies, Ewha Womans University) ,  조나혜 (Department Social Studies, Ewha Womans University) ,  강애띠 (Department Social Studies, Ewha Womans University) ,  박지영 (Department Social Studies, Ewha Womans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오웹의 발전은 공간정보가 과거 일부 전문가만이 사용할 수 있었던 것에 반해 일반인들도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 놓았다. 교육현장에서도 이러한 공간정보 기술과 관련 자료들을 보다 쉽게 창의적으로 활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외국의 경우 구글을 비롯하여 국가적 차원의 공공기관에서 기 구축한 공간자료들을 교육목적에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관련 사이트를 구축하고 활용사례를 제시하며,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 중 고등학교 수준에서 공간정보를 교육에 활용하여 융합적이고 창의적이며, 탐구중심의 교육이 이뤄질 수 있도록 그 기반을 마련하고 이를 활성화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학교현장의 환경변화와 교육 분야에서 공간정보 활용에 대한 연구들을 조사하고, 해외의 공간정보기반 교육 사이트 분석 및 국내 공간정보분야 현황분석을 토대로 공간정보기반 교육을 위한 전략을 제시하였다. 전략은 구체적으로 첫째, 수업모듈 구축, 둘째, 학습용 데이터베이스 구축, 셋째, 공간정보기반 수업모듈 저작환경 구축, 넷째, 공간정보기반 교육 활성화를 위한 지원서비스 부분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Geoweb is continuously developing, today it is possible for the public to utilize geo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whereas only a few experts could apply this technology in the past. The examples that utilize the geo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creatively in the field of education have been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첫째는 공간정보기반 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별도의 웹사이트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공간정보기반 교육용 웹사이트는 일반 사용자에게는 수업모듈, 학습자료 등의 콘텐츠를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장이 되며, 서비스 관리자에게는 사이트 관리의 편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간정보 기반 교육 웹 사이트의 주요기능은 수업모듈 뷰어를 통해 각종 공간정보 융합 수업모듈 자료를 제공하고, 수업모듈 제작에 필요한 각종 학습자료 및 공간정보 데이터를 제공하며, 수업모듈활용, 데이터활용, 수업모듈 저작에 대한 각종 튜토리얼을 제공하고, 온라인 및 오프라인 교육에 대한 안내를 제공하는 관문역할을 한다.
  • 둘째, 해외 수업모듈 소개 및 번역작업은 해외에서 얼마나 다양한 분야의 다양한 내용들이 수업에 활용되고 있는지를 참고할 수 있도록 하며, 궁극적으로는 공간정보의 활용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앞선 사이트 분석에서 소개한 바와 같이 현재 6개 사이트에서 약 1960여개의 수업모듈이 제공되고 있는데 전체적으로는 주제 및 내용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고 하이퍼링크를 통해 정보를 탐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교육과 공간정보의 융합을 통해 교육의 흥미를 유발하고, 초고교에서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략계획 수립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학교현장의 환경변화와 교육 분야에서 공간정보 활용에 대한 연구들을 조사하고, 해외의 공간정보기반 교육 사이트 및 국내 공간정보분야 현황분석을 토대로 공간정보기반 교육을 위한 전략을 제시하였다.
  • 이를 위해 학교현장의 환경변화와 교육 분야에서 공간정보 활용에 대한 연구들을 조사하고, 해외의 공간정보기반 교육 사이트 및 국내 공간정보분야 현황분석을 토대로 공간정보기반 교육을 위한 전략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공간정보 기반의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과제를 제안하고자 한다.
  • 특히 이 부분은 현장학습으로 수행할 활동을 기획하는 내용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현장에서 어떤 내용을 어떻게 학습하도록 할 것인가에 대한 내용기획이 매우 중요한 부분이기도 한다. 모바일 현장체험학습 모듈도 궁극적으로는 교사들이 필요에 따라 모바일 현장학습 프로그램을 제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것은 그 가능성과 이러한 현장체험 학습 프로그램을 교사의 요구에 따라 어떻게 쉽게 제작할 수 있는지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것에 목적이 있다. 모바일 현장체험학습 모듈의 대상지역 및 주제는 현장체험학습에 용이하고,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하며, 교과 융합의 성격이 강한 5개를 선별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초 · 중 · 고등학교 수준에서 공간정보를 교육에 활용하여 융합적이고 창의적이며, 탐구중심의 교육이 이뤄질 수 있도록 그 기반을 마련하고 이를 활성화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데 목적이 있다.
  • 수업모듈이란, 공간정보와 다양한 교과목을 융합하여 한 차시 당 활용할 수 있는 콘텐츠를 의미한다. 수업모듈 구축의 목적은 향후 교사나 학생, 그 외 사용자들이 기 구축된 수업모듈을 수업시간에 활용하는 것 뿐 아니라 사용자들이 수업모듈을 개발하여 수업에 사용할 수 있도록 예시를 보여주고자 함에도 목적이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 수업모듈 부분의 전략은 첫째, 수업에서 공간정보가 활용되는 유형별로 가장 효과성이 높을 것으로 예견되는 주제를 도출하여 수업모듈로 연차적으로 구축하고, 둘째, 해외 수업모듈을 소개하며, 셋째, 현장학습에도 공간정보가 활용될 수 있도록 몇 개 사례지역에 대해 공간정보기반 현장학습용 어플리케이션 구축을 내용으로 한다.

가설 설정

  • ii) 배운 내용을 요약하거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 더 세부적으로 학습할 때 도움이 되는 유형으로 지형에 대한 소개나 구글 문학작품 여행의 수업모듈이라 할 수 있다. iii) 하나의 주제에 대한 커리큘럼이 20~40시간에 해당하는 수업모듈 형태이다. 하나의 주제를 한 학기동안 체계적으로 배울 수 있도록 상세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구글어스, 위성사진, 실험, 읽기자료 등 다양한 자료를 분석하여 활동지에 기록하고, 학생들이 자료를 통해 탐색을 하고 대안을 찾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간정보기반의 교육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지원서비스는 무엇인가? 공간정보기반의 교육 활성화를 위해서는 크게 네 개 분야의 지원서비스가 필요할 것으로 도출되었다. 첫째는 공간정보기반 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별도의 웹사이트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공간정보기반 교육용 웹사이트는 일반 사용자에게는 수업모듈, 학습자료 등의 콘텐츠를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장이 되며, 서비스 관리자에게는 사이트 관리의 편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간정보 기반 교육 웹 사이트의 주요기능은 수업모듈 뷰어를 통해 각종 공간정보 융합 수업모듈 자료를 제공하고, 수업모듈 제작에 필요한 각종 학습자료 및 공간정보 데이터를 제공하며, 수업모듈활용, 데이터활용, 수업모듈 저작에 대한 각종 튜토리얼을 제공하고, 온라인 및 오프라인 교육에 대한 안내를 제공하는 관문역할을 한다. 두번째는 수업모듈에 대한 활용 설명서, 툴(tool)에 관한 설명서, 데이터 활용 설명서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튜토리얼을 제작하여 제공하도록 한다. 수업모듈 제작을 위한 툴에 관한 설명서, 그리고 수업모듈을 제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활용법에 대한 설명서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참여를 활성화 할 수 있고, 다양하고 개성이 있는 수업모듈을 만들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다. 셋째, 온라인 및 오프라인 교육에 대한 안내를 제공하도록 한다. 온라인 교육은 수업모듈에 대한 교육 및 사용자가 활용하기 어려운 툴에 관한 교육, 데이터 활용법에 관한 교육을 실시한다. 그리고 오프라인 교육은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별도의 교육을 실시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교사 대상 오프라인 교육의 경우, 연 2회 방학기간을 이용하여 교육을 시행하고, 컨퍼런스 및 경진대회를 개최하여 참여를 촉진하도록 한다.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도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과 경진대회 등으로 나누어 개최하도록 하며, 시상과 장학금을 지급함으로써 사용자 참여를 더욱 활성화 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용자 참여 활성화를 위한 기타 지원서비스로 다양한 기술, 교육, 예산 지원이 필요하며, 개인 자료 공유를 위해 사용자 개인이 보유하고 있는 사진이나 동영상, 데이터 등을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서비스가 필요하다. 개인이 자신의 자료를 기증한 경우, 홈페이지 내에서 사용가능한 교육 포인트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제작한 자료를 공유할 수 있는 장과 평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수업모듈이란? 수업모듈이란, 공간정보와 다양한 교과목을 융합하여 한 차시 당 활용할 수 있는 콘텐츠를 의미한다. 수업모듈 구축의 목적은 향후 교사나 학생, 그 외 사용자들이 기 구축된 수업모듈을 수업시간에 활용하는 것 뿐 아니라 사용자들이 수업모듈을 개발하여 수업에 사용할 수 있도록 예시를 보여주고자 함에도 목적이 있다.
수업모듈 구축의 목적은 무엇인가? 수업모듈이란, 공간정보와 다양한 교과목을 융합하여 한 차시 당 활용할 수 있는 콘텐츠를 의미한다. 수업모듈 구축의 목적은 향후 교사나 학생, 그 외 사용자들이 기 구축된 수업모듈을 수업시간에 활용하는 것 뿐 아니라 사용자들이 수업모듈을 개발하여 수업에 사용할 수 있도록 예시를 보여주고자 함에도 목적이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 수업모듈 부분의 전략은 첫째, 수업에서 공간정보가 활용되는 유형별로 가장 효과성이 높을 것으로 예견되는 주제를 도출하여 수업모듈로 연차적으로 구축하고, 둘째, 해외 수업모듈을 소개하며, 셋째, 현장학습에도 공간정보가 활용될 수 있도록 몇 개 사례지역에 대해 공간정보기반 현장학습용 어플리케이션 구축을 내용으로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ndrew M. C; Janice M; Stephen R. Y. 2007, GIS Pedagogy: Web-based Learning and Student Achievement, Journal of Geography in Higher Education, 31(2):225-239. 

  2. Bodzin, A. M; Cirucci, L. 2009, Integrating geospatial technologies to examine urban land use change: A design partnership, Journal of Geography, 108(4-5):186-197. 

  3. Chun, B. A. 2011, Effect of GIS-integrated lessons on spatial thinking abilities and geographical skills,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5(6):820-844. 

  4. Doering, A; Veletsianos, G; Scharber, C. 2008, Coming of Age: Research and Pedagogy on Geospatial Technologies within K-12 Social Studies Education in Digital Geography, Ed. Andrew J. M.; Marsha A., Information Age Publishing Inc. 

  5. Drake, S. M. 1993, Planning integrated curriculum,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ASCD). 

  6. Goodchild, M. F. 2007, Citizens as Sensors: The World Of Volunteered Geography. Workshop on Volunteered Geographic Information. pp.1-15. 

  7. Han, K. S. 2012, Evaluating Effectiveness of V-World in Teaching Capital Region in Korean Geography Class of High School, Kyungpook University. 

  8. Harris, T. M; Rouse, L. J; Bergeron, S. J. 2010, The Geospatial Web and local geographical education, International Research in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Education. 19(1):63-66. 

  9. Hong, H. J. 2012, Demand Survey Analysis of Digital Textbook, Korea Textbook, Research Foundation. 

  10. Jacobs, H. H. 1989,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Design and implementation, ASCD. 

  11. Kang, Y. O. 2008, A Trend of Web 2.0 and its Effect on the Field of Geography,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3(3):375-391. 

  12. Kim, S. J. 2011, A study on geography class using Google Earth,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M. A. Thesis. 

  13. Kim, H. S. 2010, A Study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velopment of the learning Module for the Selection of the 'Most Appropriate location' by Using the Google-Earth and the Problem-Solving Process for the Problem Pattern of the learning Module, Ewha Womans University, M. A. Thesis. 

  14. Kim, J. H; Kim, S. R; Kim, J. Y. 2007, Development of Integrated Currirulum for Holistic Growth of Children,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for the Korea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111-115. 

  15. Kim, N. S. 2006,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using WebGIS in the High School Geography Stud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12(2):281-290. 

  16. Krygier, J and D. Wood. 2005, Making Maps: A Visual Guide to Map Design for GIS, The Guilford Press. 303pp. 

  17. Kwon, D. H. 2012, Classroom application of satellite pictures in the topography unit of Korean Geography,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Photo-Geographers, 22(2):1-10. 

  18. Lee, H. K. 2008, A Study on Contents of Map Education Using the Google Map API Mashup, Ewha Womans University, M. A. Thesis. 

  19. Lee, J. S. 2011, Using a mashup of the content development of geographical education, Korea University, M. A. Thesis. 

  20. Lee, J. W. 2011, Designing and Assessing Geography Teaching Modules Using Geospatial Technologies,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19(3):381-398. 

  21. Lee, S. J; Kang, Y. O. 2010,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Geographic education website Based on the Google Earth, Journal of Korea Information Society, 18(2):13-24. 

  22. Patterson, T. C. 2007, Google Earth as (Not Just) Geography Education Tool. Journal of Geography, 106(4):145-152. 

  23. Tanner, D ; Tanner, L. N. 1980, Curriculum development: Theory into practice, Macmillan Pubs. 

  24. Turner, A. J. 2006. Introduction to Neogeography, O'reilly Short Cuts, 1-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