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동체 단위 수학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함께 만들어가는 수학교사 연수'를 중심으로-
Designing and implementing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of multi-tiered teacher community: Joint collaboration between teachers and PD program developer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v.53 no.2, 2014년, pp.201 - 217  

권오남 (서울대학교) ,  박정숙 (태릉고등학교) ,  박지현 (반포고등학교) ,  조형미 (서울대학교 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has an intention of developing a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We proposed an alternative mathematics teacher training model based on the situated learning theory, community of practice, and reflective practitioner. The developed mathematics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상황인지론에서 가장 핵심적인 요소는? 상황인지론에서 가장 핵심적인 요소는 사회적 상호작용이며, 학습자는 특정한 신념과 행동이 포함되어 있는 실천공동체(community of practice) 속에 참여함으로써 학습하게 된다. 실천공동체의 개념은 Lave와 Wenger(1991)가 처음 소개하였으며, 공동의 실무를 공유하는 비공식적인 형태로 구성된 사람들의 모임으로 정의되고 있다.
상황인지론의 핵심 아이디어는? 상황인지론은 1990년대 말 여러 연구자들(Anderson, Reder, & Simon, 1996, 1997; Greeno et al, 1997)에 의해 논의되기 시작하였으며, 핵심 아이디어는 지식과 생각 그리고 학습을 교육에서 ‘상황적 관점(Greeno et al, 1997; Greeno, Collins, & Resnick, 1996)’으로 인식하는 것이다. Lave와 Wenger(1991)는 인간의 사고를 설명하는데 있어 맥락과 상황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으며, 어떻게 사고하고, 무엇을 사고하는가는 그것이 이루어지는 상황과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새로운 변화를 위한 수학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이와 관련하여, 수학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도 새로운 변화를 위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수학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여 새로운 정책 제언을 하거나(박경미 외, 2010; 이환철, 2012; 이환철, 장미숙, 2012) 국내․외 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분석 함으로써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거나(권나영 외, 2012; 이경화 2012; 이경화 외, 2012), 평가문항, 융 복합교육 등의 특정 교육내용에 대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하여 분석하는(주미경 외, 2013; 최지선, 2013) 등의 연구가 이루어졌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들은 교육 실제와 다소 분리된 이론적 분석이나 정책 제안에 그치거나, 실제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일지라도 일회적이거나 단기간 연수를 설정하는 한계가 있어, 교사 실행 측면에 있어서 이론과 실천을 접목 함으로써 지속적인 교사 전문성 발달이 보장될 수 있는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는 부재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권나영, 이은정, 박미미, 박진형 (2012). 수학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고찰: 국외 수학교사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 사례를 바탕으로, 수학교육학연구 22(3), 387-400. Kwon, N. Y., Lee, E., Park, M., & Park, J. (2012). A study of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mathematics teachers: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in foreign countrie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2(3), 287-400. 

  2. 김진희, 최원준, 심준석 (2010). 내러티브를 활용한 수업비평: 교사 배움 공동체 사례, 중등교육연구 58(3), 333-355. Kim, J. H., Choi, W. J., & Shim, J. S. (2010). Narrative inquiry in class criticism: case of community of teacher Learning practice. Secondary Institute of Education, 58(3), 333-355. 

  3. 박경미, 정영옥, 김화경, 김동원, 최수일, 최지선 (2010). 우리나라 초?중등학교 수학교육 발전방안 기획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10-20. Park, K. M., Chung, Y., Kim H., Choi, S., & Choi, J. S. (2010). A research on the developmental plan for mathematics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KOFAC 2010-20. 

  4. 박선미 (2010). 예비교사교육 방법으로서 '행위 중 반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사회과교육 49(3), 39-52. Park, S. (2010). The Critical Analysis of the Reflection in Action as a Method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Social Studies Education, 49(3), 39-52. 

  5. 서경혜 (2005). 반성과 실천: 교사의 전문성 개발에 대한 소고, 교육과정연구 23(2), 285-310. Seo, K. H. (2005). Reflection and Practice: O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3(2), 285-310. 

  6. 서경혜 (2013). 교사학습에 교사공동체의 실천적 지식, 27(1), 121-148. Seo, K. H. (2010). Teacher Community's Practical Knowledge.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7(1), 121-148. 

  7. 서경혜 (2013). 교사학습에 대한 공동체적 접근, 교육과학연구 44(3), 161-190. Seo, K. H. (2013). A Community Approach to Teacher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44(3), 161-190. 

  8. 이경화 (2012). 수학교사 전문성 개발 체제(PDS) 구축 방안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Lee K. H. (2012). A study on PDS model for mathematics teacher. MOE. 

  9. 이경화, 나귀수, 권나영, 김동원, 이환철, 이동환, 고은성, 박민선, 박미미, 이은정, 조진우, 박진형 (2012). 한국형 수학교사 전문성 개발 체제(PDS) 모델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2(4), 581-602. Lee, K. H., Na, G. S., Kwon. N, Y., Kim, D., Lee, H. D., Lee, D. H., Ko, E. S., Park, M. S., Park, M., Lee, E. J., Cho, J. W., & Park, J. H. (2012). A Preliminary Study on Designing PDS Model for Korean Mathematics Teacher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2(4), 581-602. 

  10. 이준기, 이태경, 하민수 (2013). 교사들의 아이디어 융합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역지대의 진화과정 탐색: 자율적 학습공동체 'STEAM 교사 연구회' 사례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5), 1055-1086. Lee, J. K., Lee. T. K., & Ha, M. (2013). Exploring the evolution patterns if trading zones appearing in the convergence of teachers' ideas: The case study of a learning community of teaching volunteers 'STEAM teacher commun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3(3), 1055-1086. 

  11. 이환철 (2012). 수학교육 관련 교사 연수 현황 분석을 통한 정책 방안 모색. 한국과학창의재단. Lee, H. C. (2012). On the analysis and policy alternatives of an in-service teacher training on mathematics education. KOFAC. 

  12. 이환철, 장미숙 (2012). 수학교육 관련 교사 연수 현황 분석을 통한 정책 방안 모색,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5(1), 171-182. Lee, H. C., & Jang, M. S. (2012). On the analysis and policy alternatives of an in-service teacher training on mathematics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15(1), 171-182. 

  13. 주미경, 문종은, 박모라 (2013). 중등 교사의 융복합교육 연수 만족도 및 요구 조사, 교과교육학연구 27(2), 521-547. Ju, M. K., Moon, J. E., & Park, M. (2013). Secondary School Teacher's Satisfaction with and Demand for an In-service Program for Yungbokhap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Instruction, 27(2), 521-547. 

  14. 최지선 (2013). 선택형 평가 문항 제작 전문성 향상 연수 프로그램 효과 제고에 대한 사례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3(2), 193-212. Choi, J. S.. (2013). A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a mathematics teacher"s training program focused on the construction of test item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3(2), 199-212. 

  15. Anderson, J. R., Reder, L. M., & Simon, H. A. (1996). Situated learning and education. Educational Researcher, 25(4), 5?11. 

  16. Anderson, J. R., Reder, L. M., & Simon, H. A. (1997). Situated versus cognitive perspectives: Form versus substance. Educational Researcher, 26(1), 18?21. 

  17. Ball, D.L. & Cohen, D. K. (1999). Developing practice, developing practitioners: toward a practice-based theory of professional development. In L. Darling-Hammond & G. Skyes (Eds.), Teaching as the learning professional: Handbook of policy and practice. (pp. 3-32). San Francisco: Jossey-Bass. 

  18. Brown, J. S., Collins, A., & Duguid, P. (1989). Situated cognition and the culture of learning. Educational Researcher, 18(1), 32-42. 

  19. Brown, T., Heywood, D., Solomon, Y., & Zagorianakos, A. (2013). Experiencing the space we share: rethinking subjectivity and objetivity. ZDM-the International Journal on Mathematics Education, 45(4), 561-572. 

  20. Cobb, P. & Bowers, J. (1999). Cognitive and Situated Learning Perspectives in Theory and Practice. Educational Researcher, 28(2), 4-15. 

  21. Cochran-Smith, M. & Lytle, S. L. (1993). Inside outside: Teacher research and knowledge. NY: Teachers College Press. 

  22. Doyle, J. (1991). Rational belief revision (preliminary report). In Fikes, E. and Sandewall, E. (Eds.), Proceedings of the Second Conference on Principles of Knowledge Representation and Reasoning (163-174), San Mateo, CA. Morgan Kaufmann. 

  23. Goos, M. (2013). Sociocultural perspectives in research on and with mathematics teachers: a zone theory approach. ZDM-the International Journal on Mathematics Education, 45(4), 521-533. 

  24. Greenberg, J., & Baron, R.A. (2000). Behavior in organizations, 7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Hall. 

  25. Greeno, J. G., & the Middle-school Mathematics through Applications Project Group (1997). Theories and practices of thinking and learning to think. American Journal of Education, 106, 85-126. 

  26. Greeno, J. G., Collins, A., & Resnick, L. B. (1996). Cognition and learning. In D. Berliner & R. Calfee (Eds.), Handbook of educational psychology (pp. 15-46). New York: Macmillan. 

  27. Hargreaves, A. (2000). Four ages of professionalism and professional learning. Teachers and Teaching:Theory and Practice, 6(2), 151-182. 

  28. Lave, J. (1996). Teaching, as learning, in practice. Mind, Culture, and Activity, 3(3), 149-164. 

  29. Lave, J., & Wenger, E. (1991). Situated learning: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30. Potari, D. (2013). The relationship of theory and practice in mathematics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an activity theory perspective. ZDM-the International Journal on Mathematics Education, 45(4), 507-519. 

  31. Putnam, R. T. & Borko, H. (2000) What do new views of knowledge and thinking have to say about research on teacher learning? Educational Researcher, 29(1), 4-15. 

  32. Schon, D. A. (1983). The reflective practitioner: How professionals think in action. New York: Basic Books. 

  33. Schon, D. A. (1987). Educating the reflective practitioner.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34. Shulman, L. S., & Shulman, J. H. (2004). How and what teachers learn: A shifting perspectiv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6(2), 257-271. 

  35. Simon, M. (2013). Promoting fundamental change in mathematics teaching: a theoretical, methodological, and empirical approach to the problem. ZDM-the International Journal on Mathematics Education, 45(4), 573-582 

  36. Skott, J. (2013). The relationship of theory and practice in mathematics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an activity theory perspective. ZDM-the International Journal on Mathematics Education, 45(4), 547-559. 

  37. Wenger, E. (2007). 실천공동체 COP[Communities of practice : learning, meaning, and identity] . (배을규, 손민호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1998년에 출판).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