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 관련 사회적 문제(socio-scientific issue)와 관련된 논증적 글쓰기를 통해 알아본 예비교사들의 논증구조 발달 분석
An Analysis on argumentation structure development of preservice teachers through argumentative writing on earth science related SSI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7 no.1, 2014년, pp.11 - 23  

위수민 (한국교원대학교) ,  윤지영 (한국교원대학교) ,  임성만 (한국교원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gree of argumentation structure development and factors of development of preservice teachers through SSI related argumentative writing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16 preservice teachers that students taking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theory class 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SI는 과학적 논증활동 주제로 많이 사용되는 이유는? , 2005). SSI는 과학 전문가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의 관심이 요구되고 있는 문제로(Flower et al., 2009), 기존의 STS 교육에서 놓치고 있던 과학의 윤리적 측면에 대한 고려를 강조하고 있다(Zeidler et al., 2005).
SSI란? , 2005). SSI는 사회와 과학의 상호 의존적 관계를 포함하고 있는 문제를 말한다(Zeidler et al., 2005).
현행 과학 교과의 목표는? 현행 과학 교과의 목표는 학생들로 하여금 과학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탐구능력을 배양하고, 과학적인 태도를 함양함과 동시에 과학, 기술, 사회의관계를 인식하도록 만드는 것이다(MEST, 2009). 이중에서 학생들이 과학과 사회와의 관계를 인식하는것은 과학적 소양 중 하나인 과학의 본성을 이해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bi-El-Mona, I., & Abd-El-Khalick, F. (2006). Argumentative discourse in a high school chemistry classroom.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6(8), 349-361. 

  2. Bell, P., & Linn, M. C. (2000). Scientific arguments as learning artifacts: Designing for learning for the Web with KI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2(8), 797-817. 

  3. Colaizzi, P. E. (1978),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 it existential phenomen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4. Flower, S. R., Zeidler, D. L., & Sadler, T. D. (2009). Moral sensitivity in the context of socioscientific issues in high school science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1(2), 279-296. 

  5. Holliday, W. G., Yore, L. D., & Alvermann, D. E. (1994). The reading-science learning-writing connection: Breakthroughs, barriers, and promis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9), 877-893. 

  6. Keys, C. W. (1999). Revitalizing instruction in science genes: connecting knowledge production with writing to learn in science. Science Education, 83, 115-130. 

  7. Gragson, D. E., & Hagen, J. P. (2010). Developing technical writing skills in the physical chemistry laboratory: A progressive approach employing peer review.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87(1), 62-55. 

  8. Lee Hyun-ju, & Chang Hyun-sook(2007). The Comparison of State-level U.S. Science Curricula with Science Teachers' Perception Regarding Teaching Socioscientiifc Issues(SSI).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10(1), 189-209. 

  9. Maloney, J., & Simon, S. (2006). Mapping children's discussions of evidence in science to assess collaboration and argument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8(15), 1817-1841. 

  10.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2009). Korean 2009 Revision Science Curriculum.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11. National Research Council[NRC],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12. Newton, p., Driver, R., & Osborn, J. (1999). The plaace of argumentation in the pedagogy of school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5), 553-576. 

  13. Ochsner, R., & Fowler, J. (2004). Playing devil's advocate: Evaluating the literature of the WAC/WID movement.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7492), 117-140. 

  14. O'Donnell, A. M. & King, A. (Eds.) (1998). Cognitive perspectives on peer learning. Mahwah, NJ: Erlbaum. 

  15. Osborne, J., Erduran, S., & Simon, S. (2004). Enhancing the quality of argumentation in school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10), 994-1020. 

  16. Rivard, L. P., & Straw, S. B. (2000). The effect of talk and writing on learning science: An exploratory study. Science Education, 84, 566-593. 

  17. Sadler, T.D., & Zeidler, D.L. (2005a). Patterns of informal reasoning in the context of socioscientific decision mak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2, 112-138. 

  18. Song Yun-mi, Yang Il-ho, Kim Ju-yeon, & Choi, Hyun-dong(2011). A Study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Science Writ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1(5), 788-800. 

  19. Wee Soo-meen, & Lim Sung-man(2013). Awareness and Eductional Needs Concerning SSI of Korea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Related to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in Korea, 37(2), 294-309. 

  20. Zeidler, D. L., Sadler, T. D., Simmons, M. L. & Howes, E. V. (2005). Beyond STS: A research-based framework for sosioscientific issues education. Science Education, 89(3), 357-37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