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예비 초등 교사들의 과학 모델 평가 기준
Criteria for Evaluating Scientific Models Used by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4 no.2, 2014년, pp.135 - 146  

오필석 (경인교육대학교) ,  이정숙 (연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의 목적은 예비 초등 교사들이 여러 가지 전기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모델을 개발하고 선택하는 과정에서 동원하는 모델 평가 기준들을 탐색하는 것이었다. 한 교육대학교에서 과학교육 강좌를 수강하는 30명의 3학년 학생들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들을 위한 수업은 표현적, 실험적, 평가적 모델링을 포함하는 순환적 계열에 따라 조직되었다. 예비 교사들에게 다섯 개의 전기회로를 차례로 제공하고, 그것을 설명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고 동료들 간의 토론을 통해 점차 모델을 개선해 가도록 하였다. 예비 교사들의 모델링 활동을 모두 녹음 또는 녹화하였고, 모델 평가 기준의 분석틀을 이용하여 녹음 또는 녹화된 것과 전사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모델을 개발 개선하는 상황과 모델을 선택하는 상황에 동원되는 모델 평가 기준의 유형과 빈도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경험적 기준과 이론적 기준이 두 상황에서 모두 주된 평가 준거의 역할을 하였지만, 예비 교사들이 여러 가지 대안적인 모델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상황에서 좀 더 다양한 평가 기준들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가 과학 교육과 과학 교육 연구에 시사하는 점들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evaluation criteria that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employ as they evaluate and select models to explain electric circuits. Thirty junior students in a university of education have participated in the study as a part of the science education course in whi...

Keyword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생들에게 과학적으로 타당한 모델을 구성하려면 교사들에게 어떤 역할이 요구되는가? 본 연구에서 모든 예비 교사들이 과학적인 모델에 이르지는 못했던 것은 무엇보다 연구의 목적이 다양한 모델 평가 기준들을 탐색하는 데 있었고 그에 따라 예비 교사들의 모델링 활동에 강사가 개입하는 것을 최소화 하였다는 데 가장 큰 이유가 있다. 하지만, Campbell et al. (2012)의 연구에 따르면, 학생들이 과학적으로 타당한 모델을 구성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관련 과학 지식을 지속적으로 상기시키고 도전적인 질문과 응답의 교환을 통해 과학적인 아이디어를 이해하게 하는 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다. 따라서 참여자들이 주도적으로 모델 중심의과학 탐구를 진행하는 중에도 모델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되는 ‘개념적 자원(conceptual resources)’(Oh & Oh, 2013; Parnafes, 2012)을 소개하고 이미 잘 확립된 과학 이론에 비추어 모델을 평가·개선하게하는 활동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모델 활용이나 모델링이 과학교육에서 중시되는 이유는? 그런데 이러한 경향이 대두되는 까닭은 단순히 모델이 과학 지식을 얻는 데 도움이 되는 학습의 매개체라는 데 있지 않다. 과학 교육에서 모델 활용이나 모델링이 중요시되는 까닭은 그것이 과학적 탐구를 수행하는 데 꼭 필요한 실천 행위(practice) 중의 하나이며, 학교의 과학 교육은 그러한 과학자적인 실천 행위를 반영하여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2012). 즉, 과학적 탐구는 현상을 기술하거나 설명, 예측하기 위하여 모델을 창안하여 사용하는 모델링 활동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활동은 학교의 과학 프로그램을 조직하는 데에도 핵심적인 원리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논증 또는 논증 활동을 통해 결과적으로 무엇을 알 수 있는가? 또, 보다 최근에 Böttcher & Meisert (2011)는 과학에서의 논증 활동을 모델에 관한 비판적인 평가 과정이라고 하면서 이 과정에서 모델의 설득력이나 적절성 등에 대한 근거가 제시되고 논의된다고 하였다. 더 나아가Passmore & Svoboda(2012)는 모델링이 본질적으로 논증적 활동이라고 주장하였다. 즉, 모델 창안의 동기가 되는 질문을 형성하는 단계로부터 경쟁하는 모델들을 평가하는 단계에 이르기까지 모든 모델링 단계에서 개인은 자기 자신이나 다른 사람들이 모델에 관해 납득하고 확신할 수 있게 하는 활동에 참여한다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bi-El-Mona, I., & Abd-El-Khalick, F. (2011). Perceptions of the nature and 'goodness' of argument among college students, science teachers, and scientis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3(4), 573-605. 

  2. Berland, L. K., & Reiser, B. J. (2008). Making sense of argumentation and explanation. Science Education, 93, 26-55. 

  3. Braaten, M., & Windschitl, M. (2011). Working toward a stronger conceptualization of scientific explanation for science education. Science Education, 95, 639-669. 

  4. Brewer, W., Chinn, C. A., & Samarapungavan, A. (1998). Explanation in scientists and children. Minds and Machines, 8, 119-136. 

  5. Bottcher, F., & Meisert, A. (2011). Argumentation in science education: A model-based framework. Science & Education, 20, 103-140. 

  6. Campbell, T., Oh, P. S., & Neilson, D. (2012). Discursive modes and their pedagogical functions in model-based inquiry (MBI) classroom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4(15), 2393-2419. 

  7. Campbell, T., Oh, P. S., & Neilson, D. (2013). Reification of five types of modeling pedagogies with model-based inquiry (MBI) modules for high school science classrooms. In M. S. Khine & I. M. Saleh (Eds.), Approaches and strategies in next generation science learning (pp. 106-126). Hershey, PA: IGI Global. 

  8. Cagagnetto, A. (2010). Argument to foster scientific literacy: A review of argument interventions in K-12 science context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336-371. 

  9. Cavagnetto, A. (2011, September). The multiple faces of argument in school science. Science Scope, 35(1), 34-37. 

  10. Chauvire, C. (2005). Peirce, Popper, abduction, and the idea of a logic of discovery. Semiotica, 153(1-4), 209-221. 

  11. Clark, D. B., & Sengupta, P. (2013). Argumentation and modeling: Integrating the products and practices of science to improve science education. In M. S. Khine & I. M. Saleh (Eds.), Approaches and strategies in next generation science learning (pp. 85-105). Hershey, PA: IGI Global. 

  12. Driver, R., Newton, P., & Osborne, J. (2000). Establishing the norms of scientific argumentation in classrooms. Science Education, 84(3), 287-312. 

  13. Hodson, D. (2001). Inclusion without assimilation: Science education from an anthropological and metacognitive perspective. Canadian Journal of Science, Mathematics and Technology Education, 1(2), 161-182. 

  14. Kordig, C. R. (1978). Discovery and justification. Philosophy of Science, 45, 110-117. 

  15. Kuhn, T. (1974). Objectivity, value judgment, and theory choice. In T. Kuhn, The essential tension: Selected studies in the scientific traditon and change (pp. 320-339). Chicago, IL: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6. Lee, S., Kim, C.-J., Choe, S.-U., Yoo, J., Park, H., Kang, H., & Kim, H.-B. (2012). Exploring the patterns of group model development about blood flow in the heart and reasoning process by small group interac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2(5), 805-822. 

  17. McDermott. L. C., Shaffer. P. S., & The Physics Education Group at the University of Washington (2002). Tutorials in introductory physics. Upper Saddler River, NJ: Prentice-Hall. 

  18.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2).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Committee on a Conceptual Framework for New K-12 Science Education Standards. Board on Science Education, Division of Behavioral and Social Sciences and Education.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19. Nelson, M. M., & Davis, E. A. (2012).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evaluations of elementary students' scientific models: An aspec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scientific model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4(12), 1931-1959. 

  20. Nielsen, J. A. (2013). Dialectical features of students' argumentation: A critical review of argumentation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43(1), 371-393. 

  21. Oh, P. S., & Oh, S. J. (2011a). A study on the processes of elaborating hypotheses in abductive inquiry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1(1), 128-142. 

  22. Oh, P. S., & Oh, S. J. (2011b). What teachers of science need to know about models: An over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3(8), 1109-1130. 

  23. Oh, P. S., & Oh, S. J. (2013, September). Modeling sunspots: How Korean high school students used two types of modeling in their study of the Sun. The Science Teacher, 80(6), 51-56. 

  24. Osborne, J. F., & Patterson, A. (2011). Scientific argument and explanation: A necessary distinction? Science Education, 95, 627-638. 

  25. Passmore, C. M., & Svoboda, J. (2012). Exploring opportunities for argumentation in modeling classroom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4(10), 1535-1554. 

  26. Parnafes, O. (2012). Developing explanations and developing understanding: Students explains the phases of the moon using visual representations. Cognition and Instruction, 30(4), 359-403. 

  27. Pluta, W. J., Chinn, C. A., & Duncan, R. G. (2011). Learners' epistemic criteria for good scientific model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8(5), 486-511. 

  28. Samarapungavan, A. (1992). Children's judgments in theory choice tasks: Scientific rationality in childhood. Cognition, 45, 1-32. 

  29. Sampson, V., Grooms, J., & Walker, J. (2011). Argument-driven inquiry as a way to help students learn how to participate in scientific argumentation and craft written arguments: An exploratory study. Science Education, 95, 217-257. 

  30. Sutton, C. (1996). The scientific model as a form of speech. In G. Welford, J. Osborne, & P. Scott (Ed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in Europe: Current issues and themes (pp. 143-152). London, UK: The Falmer Press. 

  31. Thagard, P. (1978). The best explanation: Criteria for theory choice. The Journal of Philosophy, 75(2), 76-92. 

  32. Thagard, P. (2012). The cognitive science of science: Explanation, discovery, and conceptual change. Cambridge, MA: The MIT Press. 

  33. Toulmin, S. E. (2003). The uses of argument.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