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두 종양의 자기공명 영상소견
MR Findings of Papillary Neoplasms of the Breast 원문보기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gnetic resonance in medicine, v.18 no.1, 2014년, pp.43 - 51  

조예슬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성모병원 영상의학과) ,  김성헌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성모병원 영상의학과) ,  강봉주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성모병원 영상의학과) ,  최병길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성모병원 영상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유방암을 진단 받은 환자의 자기공명영상에서 추가적으로 발견된 유두상 병변의 자기공명영상 소견과 수술적 절제 후 상향화 비율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본원에서 유방암 진단된 환자의 수술 전 자기공명영상 1729건에서 지표 종양 외에 악성 의심 조영증강을 보인 병변 중 초음파 유도하 핵생검에서 유두 종양으로 진단된 21명의 환자의 22개 병변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수술적 절제를 시행한 병변은 핵생검 결과와 절제 생검 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이 병변들의 자기공명영상 소견을 BI-RADS MRI lexicon에 따라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특징을 알아보았다. 결과 : 자기공명영상에서는 종괴 8예, 비종괴 7예, 초점 7예로 관찰되었고 초점으로 나타난 병변은 병리 조직에서 모두 (100%) 양성 병변으로 진단되었고, 역동적 조영증강 검사에서 고원형과 세척형 양상을 보였다. 양성 유두종 1예 (11.1%), 비정형요소를 가진 유두 종양 3예 (100%), 유두 종양 3예 (60%)가 수술적 절제 후 관상피내암, 침윤성 관상피암, 침윤성 소엽암 등으로 상향화되었다. 결론 : 초음파 유도하 핵생검에서 유두상 병변으로 진단된 병변들의 자기공명영상 소견은 양성과 악성을 예측하기에 특징적인 차이점을 보이지 않아 영상소견만으로 양성과 악성을 구분할 수 없으며 다수에서 수술적 절제 후 조직학적 상향화를 보여 (41.2%, 7/17) 반드시 수술적 절제를 통한 확진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o review MR imaging finding of papillary lesion identified as additional suspicious lesion on MR image in women with biopsy-proven breast cancer and to evaluate upgrading rates after subsequent surgical histopathological diagnosis. Materials and Methods: Among 1729 preoperative MR image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유방암을 진단 받은 환자의 병기평가를 위해 시행한 자기공명영상에서 추가적으로 발견되어 조직검사로 유두종양으로 진단된 병변의 자기공명영상 소견과, 악성과 양성을 구분할 수 있는 특징적 소견이 있는지를 분석하고,이 병변의 수술적 절제 후 상향화 비율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a. Axial fat saturated contrast-enhanced T1-weighted image shows a focus (arrow) in the left subareolar portion. b.
  • Axial fat saturated contrast-enhanced T1-weighted image shows a focus (arrow) in the left subareolar portion. b. The kinetic curve shows early rapid enhancement and delayed washout pattern. This lesion is categorized as BI-RADS 4A, low suspicion of malignancy.
  • Axial fat saturated contrast-enhanced T1-weighted image shows a 48 mm sized, clumped, segmental non mass enhancement at the right breast. c. The kinetic curve shows delayed plateau pattern. This lesion is categorized as BI-RADS 4B, intermediate suspicion of malignancy.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위험 병변이란 무엇인가? 고위험 병변 혹은 경계성 병변은 현재는 양성 질환이지만 앞으로 유방암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은 양성 질환을 말한다. 병변 자체가 양성에서 악성까지 병리적 스펙트럼을 이루는 질환이며, 경피적 조직검사 결과가 저평가 혹은 위음성일 가능성이 있다.
유두상 병변이 악성의 전구병변으로 여겨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유두상 병변은 양성 유두종 (benign papilloma)에서 유두상 암종 (papillary carcinoma)에 이르는 질환 군이다(3-6). 유두종내에 비정형 관상피증식증을 포함한 유두종은비정형성이 동반되어 있지 않은 양성 유두종에 비해 동측유방에 약 7.5배의 악성위험도가 증가하므로 악성의 전구병변으로 여겨진다. 이 경우엔 반드시 수술적 절제가 필요하다.
고위험 병변에는 어떤 질병들이 있는가?  1988년 Cancer Committee of the College of American Pathologists는 양성유방질환의 위험도에 대해 발표하였고 이를 통해 주기적인 추적관찰 또는 수술적 절제 등의 향후 치료방법을 선택할 수 있게 하였다.고위험 병변으로는 비정형 관상피증식증 (atypical ductal hyperplasia), 소엽성 종양 (lobular neoplasia), 유두상병변 (papillary lesion), 방사상 반흔 (radial scar), 편평관상피 비정형 (flat epithelial atypia), 점액류양 종양(mucocele-like lesion) 등이 알려져 있다 (1, 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Georgian-Smith D, Lawton TJ. Variations in physician recommendations for surgery after diagnosis of a high-risk lesion on breast core needle biopsy. AJR Am J Roentgenol 2012;198:256-263 

  2. Masood S, Rosa M. Borderline breast lesions: diagnostic challenges and clinical implications. Adv Anat Pathol 2011;18:190-198 

  3. Brookes MJ, Bourke AG. Radiological appearances of papillary breast lesions. Clin Radiol 2008;63:1265-1273 

  4. Eiada R, Chong J, Kulkarni S, Goldberg F, Muradali D. Papillary lesions of the breast: MRI, ultrasound, and mammographic appearances. AJR Am J Roentgenol 2012;198:264-271 

  5. Kil WH, Cho EY, Kim JH, Nam SJ, Yang JH. Is surgical excision necessary in benign papillary lesions initially diagnosed at core biopsy? Breast 2008;17:258-262 

  6. Muttarak M, Lerttumnongtum P, Chaiwun B, Peh WC. Spectrum of papillary lesions of the breast: clinical, imaging, and pathologic correlation. AJR Am J Roentgenol 2008;191:700-707 

  7. Tominaga J, Hama H, Kimura N, Takahashi S.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intraductal papillomas of the breast. J Comput Assist Tomogr 2011;35:153-157 

  8. Chang JM, Moon WK, Cho N, et al. Risk of carcinoma after subsequent excision of benign papilloma initially diagnosed with an ultrasound (US)-guided 14-gauge core needle biopsy: a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Eur Radiol 2010;20:1093-1100 

  9. Ballesio L, Maggi C, Savelli S, et al. Role of breast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in patients with unilateral nipple discharge: preliminary study. Radiol Med 2008;113:249-264 

  10. Bhattarai N, Kanemaki Y, Kurihara Y, Nakajima Y, Fukuda M, Maeda I. Intraductal papilloma: features on MR ductography using a microscopic coil. AJR Am J Roentgenol 2006;186:44-47 

  11. Daniel BL, Gardner RW, Birdwell RL, Nowels KW, Johnson D.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intraductal papilloma of the breast. Magn Reson Imaging 2003;21:887-892 

  12. Francis A, England D, Rowlands D, Bradley S. Breast papilloma: mammogram, ultrasound and MRI appearances. Breast 2002;11:394-397 

  13. Kurz KD, Roy S, Saleh A, Diallo-Danebrock R, Skaane P. MRI features of intraductal papilloma of the breast: sheep in wolf's clothing? Acta Radiol 2011;52:264-272 

  14. Rovno HD, Siegelman ES, Reynolds C, Orel SG, Schnall MD. Solitary intraductal papilloma: findings at MR imaging and MR galactography. AJR Am J Roentgenol 1999;172:151-155 

  15. Zhu Y, Zhang S, Liu P, Lu H, Xu Y, Yang WT. Solitary intraductal papillomas of the breast: MRI features and differentiation from small invasive ductal carcinomas. AJR Am J Roentgenol 2012;199:936-942 

  16. Radiology ACo. Illustrated breast imaging reporting and data system (BI-RADS). 3rd ed. Reston, Va. American College of Radiology 1998 

  17. Park VY, Kim MJ, Kim EK, Moon HJ. Second-look US: how to find breast lesions with a suspicious MR imaging appearance. Radiographics 2013;33:1361-1375 

  18. Brennan SB, Corben A, Liberman L, et al. Papilloma diagnosed at MRI-guided vacuum-assisted breast biopsy: is surgical excision still warranted? AJR Am J Roentgenol 2012;199:W512-519 

  19. Baltzer PA, Benndorf M, Dietzel M, Gajda M, Runnebaum IB, Kaiser WA. False-positive findings at contrast-enhanced breast MRI: a BI-RADS descriptor study. AJR Am J Roentgenol 2010;194:1658-1663 

  20. Liberman L, Mason G, Morris EA, Dershaw DD. Does size matter?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MRI-detected breast lesions as a function of lesion size. AJR Am J Roentgenol 2006;186:426-430 

  21. Tozaki M, Igarashi T, Fukuda K. Positiv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s of BI-RADS-MRI descriptors for focal breast masses. Magn Reson Med Sci 2006;5:7-15 

  22. Liberman L, Bracero N, Vuolo MA, et al. Percutaneous largecore biopsy of papillary breast lesions. AJR Am J Roentgenol 1999;172:331-337 

  23. Rosen EL, Bentley RC, Baker JA, Soo MS. Imaging-guided core needle biopsy of papillary lesions of the breast. AJR Am J Roentgenol 2002;179:1185-1192 

  24. Mercado CL, Hamele-Bena D, Oken SM, Singer CI, Cangiarella J. Papillary lesions of the breast at percutaneous core-needle biopsy. Radiology 2006;238:801-808 

  25. Jacobs TW, Connolly JL, Schnitt SJ. Nonmalignant lesions in breast core needle biopsies: to excise or not to excise? Am J Surg Pathol 2002;26:1095-1110 

  26. Puglisi F, Zuiani C, Bazzocchi M, et al. Role of mammography, ultrasound and large core biopsy in the diagnostic evaluation of papillary breast lesions. Oncology 2003;65:311-315 

  27. Drew PJ, Chatterjee S, Turnbull LW, et al. Dynamic contrast enhanc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the breast is superior to triple assessment for the pre-operative detection of multifocal breast cancer. Ann Surg Oncol 1999;6:599-603 

  28. Liberman L, Morris EA, Dershaw DD, Abramson AF, Tan LK. MR imaging of the ipsilateral breast in women with percutaneously proven breast cancer. AJR Am J Roentgenol 2003;180:901-910 

  29. Liberman L, Morris EA, Kim CM, et al. MR imaging findings in the contralateral breast of women with recently diagnosed breast cancer. AJR Am J Roentgenol 2003;180:333-341 

  30. Fischer U, Kopka L, Grabbe E. Breast carcinoma: effect of preoperative contrast-enhanced MR imaging on the therapeutic approach. Radiology 1999;213:881-888 

  31. Abe H, Schmidt RA, Shah RN, et al. MR-directed ("Second- Look") ultrasound examination for breast lesions detected initially on MRI: MR and sonographic findings. AJR Am J Roentgenol 2010;194:370-3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