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임계 공정을 이용한 폴리에틸렌옥사이드/클레이 나노복합체 제조
Fabrication of poly(ethylene oxide)/clay nanocomposites using supercritical fluid process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31 no.1, 2014년, pp.143 - 150  

김용렬 (대진대학교 화학공학과) ,  정현택 (호주 울릉공 대학교, 지능형 고분자연구 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낮은 표면장력, 높은 확산계수, 가스와 같은 낮은 점도, 그리고 액체와 유사한 밀도를 갖는 초임계 유체의 장점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물질의 합성이나 응용 공정에 초임계 유체를 이용하고 있다. 초임계 유체를 이용하여 복합체 제조 시 기존의 용융공정에 비해서 분자들의 움직임이 활발하게 이루어 질 수 있어서 물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클레이가 고농도로 함유된 마스터 배치를 쉽게 제조할 수 있으며, 기존의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복합체를 제조할 때보다 잔존 용매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폴리에틸렌옥사이드/클레이 나노복합체를 제조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목적은 초임계 상태에서 분자들의 활발한 움직임을 기대할 수 있으므로 고분자가 용해되고 클레이 층상으로 효과적으로 삽입되어 복합체의 열적 특성 및 다른 여러 가지 물성을 증가시키는 데 있다. 복합체 제조 후 XRD, TGA, 그리고 DSC를 이용하여 복합체의 특성을 분석 했다. 그 결과 용융방법으로 제조한 복합체보다 열 안정성이 향상되었으며, 클레이 층상 거리도 더 많이 벌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supercritical fluid process has been widely used in material synthesis and processing due to their remarkable properties such as high diffusivity, low viscosity, and low surface tension.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is the most attractive solvent owing to their characteristics including n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초임계 공정을 이용하여 나노복합체를 제조하는 연구는 미국의 노스캐롤라이나 대학의 초임계 전문가들이 나노복합체를 제조해 본 논문 이외에는 연구가 발표된 적이 거의 없다[15-18]. 본 연구에서는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폴리에틸렌 옥사이드를 용해시킨 후 초임계 상태에서의 활발한 분자 운동으로 인해 나노 크기의 클레이 판상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기대하며 나노복합체를 제조하여 보았다. 또한, 폴리에틸렌옥사이드/클레이 복합체를 제조함에 있어서 초임계 공정의 장점을 확인하기 위해서 용융공정으로 복합체를 제조하여 그 물성을 비교해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나노복합체 소재란 무엇인가? 나노복합체 소재는 기존 마이크로 소재의 한계를 극복하며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신소재로 나노기술과 고분자 공학이 결합되어 탄생된 미래형 신소재로서, 클레이나 탄소재료 등의 물질을 수지 중에 3차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나노미터 스케일이 되도록 분산시켜 만든 복합체이다. 나노복합체의 최대 특징은 분산상의 함량이 매우 낮음에도 불구하고 분산상의 크기가 매우 미세하여 입자의 전 표면적이 상대적으로 크며 입자 간 거리가 극히 짧다는 점이다.
나노복합체의 최대 특징은 무엇인가? 나노복합체 소재는 기존 마이크로 소재의 한계를 극복하며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신소재로 나노기술과 고분자 공학이 결합되어 탄생된 미래형 신소재로서, 클레이나 탄소재료 등의 물질을 수지 중에 3차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나노미터 스케일이 되도록 분산시켜 만든 복합체이다. 나노복합체의 최대 특징은 분산상의 함량이 매우 낮음에도 불구하고 분산상의 크기가 매우 미세하여 입자의 전 표면적이 상대적으로 크며 입자 간 거리가 극히 짧다는 점이다. 이러한 결과 연속상, 즉 매트릭스와 입자 사이 또 입자와 입자 사이의 상호 작용이 현저히 증대되고, 이로부터 계면에너지의 현저한 증가를 얻게 된다.
초임계 공정에서 사용되는 유체 중 이산화탄소의 장점은 무엇인가? 또한, 최근에는 초임계 반응의 영역이 넓혀져 많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4-9]. 초임계 유체 중 이산화탄소는 친환경적이며, 가격이 저렴하고, 불연소성이라는 장점을 꼽을 수 있다[10]. 게다가 낮은 점도와 표면 장력이 zero인 점으로 인하여 기존의 액체 용매 사용 시 나타나던 문제점이 나타나지 않게 되었다. 이러한 독특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고분자의 블랜드 등 여러 가지 연구가 진행 중이며 앞으로도 무한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분야로 대두되고 있다[11-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 Usuki, A. Koiwai, Y. Kojima, M. Kawasumi, A. Okada, T. Kurauchi, and O. Kamigaito, Interaction of nylon 6-clay surfac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nylon 6-clay hybrid, J. Appl. Polym. Sci., 55, 119 (1995). 

  2. K. Yano, A. Usuki, A. Okada, T. Kurauchi, and O. Kamigaito, Synthesis and properties of polyimide-clay hybrid, J. Polym. Sci.; Part A: Polym. Chem., 31, 2493 (1993). 

  3. M. A. Osman, V. Mittal, M. Morbidelli, and U. W. Suter, Polyurethane adhesive nanocomposites as gas permeation barrier, Macromolecules, 36, 9851 (2003). 

  4. T. J. Pinnavaia, Science, "Intercalated Clay Catalysts", 220, 365 (1983). 

  5. P. B. Messersmith and E. P. Giannelis, Polymer-layered silicate nanocomposites: in situ intercalative polymerization of $\varepsilon$ -caprolactone in layered silicates, Chem,. Mater., 5, 1064 (1993). 

  6. E. P. Giannelis, Polymer Layered Silicate Nanocomposites, Adv. Mater., 8, 29 (1996). 

  7. J. W. Gilman, Flammability and thermal stability studies of polymer layered-silicate (clay) nanocomposites, Appl. Clay. Sci., 15, 31 (1999). 

  8. T. J. Pinnavaia and G. W. Beall, Polymer-Clay Nanocomposites, John Wiley & Sons Ltd., Chichester, England, (2001). 

  9. Y. Imai, S. Nishimura, E. Abe, H. Tateyama, A. Abiko, A. Yamaguchi, T. Aoyama, and H. Taguchi, High-Modulus Poly(ethylene terephthalate)/expandable fluorine mica nanocomposites with a novel reactive compatibilizer, Chem. Mater., 14, 477 (2002). 

  10. G. Lagaly, Introduction: from clay mineral- polymer interactions to clay mineral-polymer nanocomposites, Appl. Clay. Sci., 15, 1 (1999). 

  11. R. K. Bharadwaj, Modeling the barrier properties of polymer-layered silicate nanocomposites, Macromolecules, 34, 9189 (2001). 

  12. Y. Li and H. Ishida, 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Study of the Assembly of Hexadecylamine Molecules in the Nanoscale Confined Space of Silicate Galleries, Chem. Mater., 14, 1398 (2002). 

  13. X. Li, T. Kang, W.-J. Jo, J.-K. Lee, and C.-S. Ha,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butyleneterephthalate)/Organoclay Nanocomposites, Macromol. Rapid. Commun., 22, 1306 (2001). 

  14. Thomas, J. P. Intercalated Clay Catalysts, Science, 220, 4595 (1983). 

  15. G. Theng, Formation and properties of clay-polymer complexes, Elsevier B.V., (2012). 

  16. J. H. Park, W. N. Kim, H. S. Kye, S. S. Lee, M. Park, J. Kim and S. Lim, Disordering of clay layers in the nylon 6 / clay nanocomposites prepared by anionic polymerization, Macromolecular Res., 13(5), 367 (2005). 

  17. M. Wang and T. Pinavaia, Clay-Polymer Nanocomposites Formed from Acidic Derivatives of Montmorillonite and an Epoxy Resin, J. Chem. Mater., 6, 468 (1994). 

  18. P. B. Messermith and E. P. Giannelis,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Layered Silicate-Epoxy Nanocomposites, Chem. Mater., 6, 1719 (1994). 

  19. Qian Zhao, Edward T. Samulski. Supercritical $CO_{2}$ -Mediated Intercalation of PEO in Clay, Macromolecules, 36, 6967-6969, (2003). 

  20. T. Lan, P. D. Kaviratana, and T. Pinavaia, Mechanism of Clay Tactoid Exfoliation in Epoxy-Clay Nanocomposites, J. Chem. Mater., 7, 2144 (1995). 

  21. S.D. Burnside, P. Emmanuel and P. Giannelis, Synthesis and properties of new poly(dimethylsiloxane) nanocomposites, Chem. Mater., 7, 1597 (19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