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조방법에 따른 블루베리의 품질 및 생리활성
Effects of Drying Methods on the Quality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Blueberry(Vaccinium ashei) 원문보기

한국조리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v.20 no.1, 2014년, pp.55 - 64  

박성진 (한림성심대학교 관광외식조리과) ,  최영범 (농업회사법인 (주)오'제주) ,  고정림 (농업회사법인 (주)오'제주) ,  나영아 (을지대학교 식품산업외식학과) ,  이현용 (서원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블루베리열풍건조, 순환형 감압건조 및 동결건조의 방법으로 건조제품을 제조하여 품질특성과 생리활성을 비교조사 하였다. 일반성분 중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는 성분은 건조방법과 무관하게 탄수화물(68.48~80.00%)이었으며, 다음으로 수분(13.10~27.93%), 조단백질(1.63~5.41%), 조지방(0.58~1.25%) 및 회분(0.71~1.11%) 순으로 나타났다. pH는 순환형 감압건조시료의 pH가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 갈변도의 경우 0.31~0.21의 값으로 건조 방법별로 차이가 많았다. 색도는 L값과 a값은 동결 건조한 시료가 더 높게 나타난 반면, b값의 경우 열풍, 순환형, 동결건조시료 순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열풍 건조한 시료의 비타민 C 함량은 5.6 mg/100g이었으며, 순환형 감압건조 및 동결건조 시료의 비타민 C 함량은 6.9 mg/100g, 7.1 mg/100g으로 나타났다. 안토시아닌 함량은 10.08 mg/100g, 29.41 mg/100g, 33.87 mg/100g의 함량을 나타내어 안토시아닌 함량 역시 동결건조시료에서 더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열풍건조시료의 유리당 함량이 695.5 mg/100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페놀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순환형 감압 건조 및 동결 건조가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rying methods on the quality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blueberry. Blueberries(Vaccinium ashei) were dried by hot-air ($60^{\circ}C$), cyclic low pressure ($50^{\circ}C$), and freeze drying methods. They contained hig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건조 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순환형 감압 건조 기술을 적용하여 40℃ 이하의 온도에서 건조시킴으로써 높은 온도로 건조 시 블루베리의 변형 및 영양소 파괴를 막고, 식품으로서의 효과를 유지하고, 800 hPa 이하의 기압에서 건조를 진행하여 건조시간을 단축하여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러한 감압 건조 기술의 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종래 건조 기술인 열풍 건조와 동결건조의 비교를 통하여 각각의 건조 기술을 통해 건조한 블루베리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활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품에 이용되는 건조방법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는가? 식품에 있어서의 건조는 수분함량이 많은 식품에서 수분을 제거하여 미생물 및 효소에 의한 부패나 변질을 방지하여 저장성 및 수송성을 부여함은 물론 새로운 식품개발에 있어서도 그 이용성이 확대되었다. 식품에 이용되는 건조방법으로는 천일건조를 비롯하여 열풍건조가 있으며, 건조제품의 산업화로 인하여 동결건조, 진공건조, 마이크로파, 원적외선 및 냉풍건조 등 방법이 다양화되어 이에 따른 여러 가지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Hong JH․ Lee WY2004). 천일건조는 기후의 영향을 받으며 장기간의 건조 시간이 필요하고 최종 수분함량의 조절이 어려운 문제점 뿐만 아니라 건조 도중에 산화반응이나 광화학 반응 등으로 인하여 제품의 색깔이 변색되거나 영양 성분이 파괴되어 경제적인 손실이 발생한다(Smogyi LP․ Luh BS1983).
식품의 건조방법 중 냉풍건조의 장점은 무엇인가? 동결건조는 건조된 제품의 질감, 향기 및 성분의 변화가 적고 건조식품의 재수화가 빨라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건조 시간이 느리고 비용이 많이 든다(Litvin S 등 1998). 진공건조는 색조, 풍미, 보존성, 복원성 등이 우수하지만 동결건조와 마찬가지로 비용이 많이 드는 결점이 있으며, 냉풍건조는 냉풍, 제습을 이용한 건조방법으로 피건조물의 색상, 향이나 맛을 자연 그대로 유지시키는 장점이 있으나 건조시간이 긴 단점이 있다(Christopher GJ 1997; Yang ST 1997; Son SM 등 2011).
동결건조, 열풍건조, 순환형 감압건조로 건조방법에 따른 블루베리의 갈변도를 측정한 결과, 열풍건조에서 가장 갈변도가 심한 이유는? 21의 값을 나타내었다. 특히, 열풍 건조된 블루베리의 경우 갈변도가 가장 높았으며 이는 열풍건조의 경우 비교적 고온에 장시간 노출되면서 열에 의한 갈변의 촉진이 원인이라고 사료된다. 일반적으로 가열 온도가 높고 가열시간이 길어질수록 갈변 기질물질의 감소와 갈변물질의 생성이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hung SK 등 199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p 788 

  2. Cha HS, Lee MK, Hwang JB, Park MS, Park KM (2001).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Rubus coreanus Mique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6): 1021-1025 

  3. Christopher GJ (1997). Industrial drying of food. Blackie Academic & Professional, New York, p 1-6 

  4. Chung SK, Chung YY, Jeong WS (1996) Studies on the browing inhibition of yam(Dioscorea animadoimo) during hot air dehydration. Agric Chem Biotechnol 39(5): 384-388 

  5. Connor AM, Ludy JJ, Hancock JF, Berkeimer S, Hanson EJ (2002). Changes in fruit antioxidant among blueberry cultivars during cold-temperature storage. J Agric Food Chem 50(4):893-898 

  6. Goupy P, Amiot MJ, Richard-forget F, Duprat F, Aubert S, Nicolas J (1995). Enzymatic browning of model solutions and apple phenolic extracts by apple polyphenoloxidase. J Food Sci 60(3): 497-501 

  7. Holdsworth SD (1971). Dehydration of food products. J Food Technol 6(4): 331-336 

  8. Hong JH, Lee WY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osmotic dehydrated sweet pumpkin by different drying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9): 1573-1579 

  9. Hong JH, Chung HS, U H, Youn KS (2002). Storage stability of anthocyanin pigment isolated from a wasted grape peels. Korean J of Food Preserv 9(3): 327-331 

  10. Jeong CH, Choi SG, Heo HI (2008).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sition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Korean commercial bluberry and rasberr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11): 1375-1381 

  11. Kim HK, Kee BY, Shin DB, Kwon JH (1998). Effect of roasting conditions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chicory roo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6): 1279-1284 

  12. Kim JP, Chon IJ, Cho HK, Han IH, Whang WK. 2004. The antioxidant and the antidiabetic effects of ehtanol extract from biofunctional foods prescriptions. Kor J Pharmacogn 35(1): 98-103 

  13. Kim YJ, Lee TG, Choi YW, Kim YC (2008). Effects of drying conditions on the profile of volatile terpenoid and colour of schizandra fruit (Schizandra Chinensis fructus). J Life Sci 18(8): 1066-1071 

  14. Kim HR, Seog EJ, Lee JH, Rhim JW (2007).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onion powder as influenced by drying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3): 342-347 

  15. Kwak JH, Choi GN, Park JH, Kim JH, Jeong HR, Jeong CH, Heo HJ (2010). Antioxidant and neuronal cell protective effect of purple sweet potato extract. J Agric Life Sci 44(2): 57-66 

  16. Lee KW, Kim YJ, Lee HJ, Lee CY (2003). Cocoa has more phenolic phytochemicals and a higher antioxidant capacity than teas and red wine. J Agric Food Chem 51(25): 7292-7295 

  17. Lee HH, Lee SY (2008). Cytotoxic and antioxidant effects of Taraxacum coreanum Nakai. and T. officinale WEB. extract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6(2): 79-85 

  18. Lee J, Dutst RW, Wrolstad RE (2005). Determination of total monomeric anthocyanin pigment content of fruit juices, beverages, natural colorants, and wines by the pH differential method: Collaborative Study. J AOAC Int 88(5): 1269-1278 

  19. Litvin S, Mannheim CH, Miltz J (1998). Dehydration of carrots by a combination of freeze-drying, microwave heating and vaccum drying. J Food Eng 36(1): 103-111 

  20. Lin TM, Durance TD, Scaman CH (1998). Characterization of vacuum microwave, air and freeze dried carrot slices. Food Res Int 31(2): 111-117 

  21. Magdalini AP, Andriana D, Zacharoula IL, Paul C, Dorothy K, Marigoula M, Fotini NL (2009). Effect of a polyphenol-rich wild blueberry extrat on cognitive performance of mice, brain antioxidant markers and 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Behavioural Brain research 198(2): 352-358 

  22. Martineau LC, Couture A, Spoor D, Benhaddou-Andaloussi A, Harris C, Meddah B, Leduc C, Burt A, Vuong T, Le PM, Prentki M, Bennett SA, Arnason JT, Haddad PS (2006). Anti-diabetic properties of the Canadian lowbush blueberry Vaccinium angustifolium Ait. Phytomedicine 13(9-10): 612-623 

  23. O JY, Kang NL, Kang SW, Song HY, Kim HA, Hwang EY, Jeon YJ (2010).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Blueberry.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November 12, Jeju, Korea 

  24. Oh HH, Hwang KT, Kim MY, Lee HK, Kim SZ (2008). Chemical characteristics of raspberry and blackberry fruits produced in Ko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6): 738-743 

  25. Que F, Mao L, Zhu C, Xie G (2006) Antioxidant properties of Chineses yellow wine, its concentrate and volatiles. LWT-Food Sci Technol 39: 111-117 

  26. Richmond ML, Brandao SCC, Gray JI, Markakis P, Stine CM (1981). Analysis of simple sugar and sorbitol in fruit by HPLC. J Agric Food Chem 29(1): 4-7 

  27. Smogyi LP, Luh BS (1983). Vegetable dehydration. In commercial fruit processing. 2nd ed. Luh BS, Woodroof JG, eds. AVI Pub Co., Westpost. p 387-473 

  28. Son SM, Kwon HO, Lee JH (2011)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 Capsosiphon fulvescens according to drying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11): 1582-1588 

  29. Su MS, Chien PJ (2007). Antioxidant activity, anthocyanins, and phenolics of rabbiteye blueberry(Vaccinium ashei) fluid products as affected by fermentation. Food Chem 104(1): 182-187 

  30. Westwood MN (1993). Temperate-zone pomology. Timber Press, Portland, OR, USA, p 100-101 

  31. Yang ST. (1997). Preparation of seasoned and semi-dried horse mackerel by cold air drying and quality of its product during partially frozen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29(5): 925-931 

  32. Zheng W, Wang SY (2003). Oxygen radical absorbing capacity of phenolics in blueberries, cranberries, chokeberries, and ligoberries, J Agric Food Chem 51(2): 502-5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