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의 방과후교실 이용 여부에 따른 사회성과 자아존중감의 차이 및 영향요인 분석
Differences and Effect of After-School Class Experiences on Elementary Students' Sociality and Self-Esteem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2 no.5, 2014년, pp.45 - 56  

박경남 (한세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현재의 방과후교실이 아동의 사회성 및 자아존중감 발달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입장에서 방과후 교실을 이용하는 아동과 이용하고 있지 않은 아동의 사회성 및 자아존중감을 비교, 분석하여 그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첫째, 방과후교실을 이용하는 아동과 이용하지 않는 아동의 사회성에 관한 차이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방과후 교실을 이용하고 있는 아동이 이용하고 있지 않은 아동보다 사회성이 약간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둘째, 아동의 방과후교실 이용 여부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에 관하여 분석한 결과, 방과후교실을 이용하고 있는 아동이 이용하고 있지 않는 아동보다 자아존중감이 더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방과후교실을 이용하는 아동의 사회성이나 자아존중감이 이용하지 않은 아동에 비해 낮다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 볼 때, 방과후교실을 이용하는 아동의 사회성이나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여러 가지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방과후교실이 아동의 안전한 보호와 지도 등 본래의 목적과 더불어 지속적으로 아동의 사회성과 자아존중감을 높여주고 유지시켜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도입이 시행되어야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takes the position that present after-school classes affect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sociality and self-esteem, and aims at comparing, analyzing and grasping the differences in sociality and self-esteem of the children who attend after-school classes and those of the children who d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들은 방과후 아동지도의 실태와 프로그램의 만족도,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어 학령기 아동의 주요 발달과업인 사회성과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는 미약한 실정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자는 방과후교실을 이용하는 아동과 이용하지 않는 아동의 사회성과 자아존중감의 차이와 방과후교실 이용여부가 사회성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하여 이를 통해 아동의 건전한 사회적, 정서적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사회성과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과후교실의 운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 그리하여 본 연구자는 방과후교실을 이용하는 아동과 이용하지 않는 아동의 사회성과 자아존중감의 차이와 방과후교실 이용여부가 사회성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하여 이를 통해 아동의 건전한 사회적, 정서적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사회성과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과후교실의 운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 이와 같은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초등학교 2, 3학년 아동 중에서 방과후교실을 이용하는 아동과 이용하지 않는 아동을 대상으로 집단 간의 비교를 통해 사회성과 자아존중감의 수준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연구 과제를 발견하였다는 것에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후속 연구는 같은 조건에서의 비교가 가능한 사회성과 자아존중감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아 구체적인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해 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방과후 성인 보호가 없는 아동을 무엇이라 지칭하는가? 즉방과후(after school)란 학교가 파한 후의 시간을 의미하 는데, 학교가 끝난 후부터 부모가 퇴근할 때까지의 시간 동안 자기의 일을 스스로 알아서 해결해야 하는 위험한 상황에 놓이게 되는 것이다. 방과후 성인 보호가 없는 아동을 “자기보호(self care child)아동”, 혹은 “열쇠목걸이 아동(the latchkey children)”이라 하는데, 부모나 성인의 보호 없이 가정이나 학교 운동장에서 혹은 거리에서 스스로 자신을 보호해야 하는 아동을 말한다[38]. 이들은 유해환경에 노출될 우려가 높아 안전사고의 발생과 정서적 불안정으로 문제행동을 보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방과후교실의 사회성과 자아존중감의 향상을 위해 제언한 것은? 첫째, 취업여성의 증가와 사회의 유해한 환경으로 부터의 안전한 보호와 교육 등 여러 가지 요인들로 인하여 학령기 아동의 방과후 시간을 사회적 국가적 책임으로 인식하여 여러 형태로 방과후교실이 운영되고 있는 가운 데, 본 연구에서는 방과후교실을 이용하는 아동의 사회 성이나 자아존중감이 이용하지 않는 아동에 비해 낮다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 볼 때, 지금 현재의 방과후교실은 아동의 사회성이나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 하였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방과후교실을 이용하는 아동의 사회성이나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여러 가지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보여진다. 둘째, 방과후교실이 아동의 안전한 보호와 지도 등 본래의 목적과 더불어 지속적으로 아동의 사회성과 자아존 중감을 높여주고 유지시켜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도입이 시행되어야 하겠다. 즉, 아동의 욕구를 충분히 고려하여 아동의 발달적 특성을 고려한 프로그램을 통해 자신의 존재 의미를 찾고 긍정적인 자아존중감과 더불어 사회성 발달에 역점을 두는 질 높은 프로그램과 풍부한 여러 가지 활동이 제공되어야 하겠다. 셋째, 앞서 본 연구에서 살펴보았듯이 아동들의 사회 성이나 자아존중감의 발달이 아동 개인의 내적인 문제가 아닌 아동이 속한 가정의 환경과 사회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고려 할 때, 우리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다양한 가족 기능의 문제와 가족정책을 포함하고 있는 종합적인 접근 방법으로써의 접근이 요구되며 중앙정 부와 지방정부 차원의 공식적인 관리와 재정적인 지원 등, 사회나 국가의 종합적인 노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본다.
산업화에 따른 현대사회의 두드러진 특징에는 무엇이 있나요? 최근 우리나라는 기혼여성들의 경제활동의 증가, 핵가족 및 이혼의 증가 등으로 가족의 해체, 가족의 자녀양육 기능의 약화, 빈곤계층의 증가현상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산업화에 따른 현대사회의 두드러진 특징들이다. 또한 가장의 실직과 부도로 생활의 불안정에 시달리면서 여성이 경제활동을 책임져야 하는 상황, 그리고 여성의 사회활동을 촉진시키는 직업의 전문화와 여성의 고학력 화는 기존의 여성들의 몫인 육아문제를 개인의 문제만이 아닌 사회나 국가의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Soon-jeong Goh, Relationship of Children's Attachment and Ego-resiliency with Sociality, Master's dissertation, Handong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ndong Global University, 2005. 

  2. Chang-sook Gong, Introduction to After-school childcare, Taeyoung Publishing Co, 2007. 

  3. Dong-young Gwak, Current Status of After-School Childcare and Development Plans, Master's dissertation, Sangji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2002. 

  4. Hyo-jeong Kwon, Effects of Group Activities on The Self-Esteem and Social Ability of the Children inLow-Income Class, Master's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Daegu University, 2001. 

  5. Dong-hwan Kim, A Research Analysis for the Development and Feasibility of a Sound Sociality Test, Ph. D.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Sejong University, 1992. 

  6. Mae-hee Kim, Jeong-eun Yoo, Nam-jeong Lee, Su-yeon Cho, Kuk-seon Han, After-school Childcare, The Community, 2008. 

  7. So-yeon Kim, A Study of the Effect of the Family Environment on the Self-Esteem of Children of Single Parents, Master's dissertation, Ehw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Ehwa Women's University, 2002. 

  8. Yeon-jin Kim, Sang-hee Lee, Understanding on Children's Welfare, Taeyoung Publishing Co, 2007. 

  9. Young-jo Kim, Parents' Wishes for After-school Childcare and the Needs of Children, Master's dissertation, Sangju Graduate School of Industry, Sangju National University, 2006. 

  10. Ok-cheon Kim, A Study of Interpersonal Problem-Solving Ability Among Latchkey Children, Master's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Kyunghee University, 1993. 

  11. Chun-ran Kim, Effects of Group Play onChildren in Their Development of Soicality, Master's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Jeonbuk National University. 2001. 

  12. Ho-sook Kim, Effect of Self-expression Training Program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on Their Self-esteem and Self-expression, Master's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ongik University, 2005. 

  13. Ho-young Song, Effect of Group After-school Childcare Program on Their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Master's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Buddihism, Donggkuk University, 2000. 

  14. Kyung-soo Shin, Effects of the Application of a Group Counseling Program on the Self-esteem and Personal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ster's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nkuk University 2000. 

  15. Jae Shin, A Study of the Current Status of After-school Childcare Classes and Development Plans, Master's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and Welfare, Kwangwoon University 2006. 

  16. Seung-won Shim, Relationship among the Children's Perceived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Aggression, Master's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Ehwa Women's University, 2000. 

  17. Kyung-jun Oh, Effects of a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on the Enhancement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s Self-Esteem and Sociality, Master's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0. 

  18. Hyo-soon Yoo, Development of Children, Changji Publishing Co., 1992. 

  19. Hyang-mi Yoon, A Study of the Effectsof After School Programs on Improving the Self-Esteem of Children of Poor Families, Ph. D.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Wonkwang University, 2007. 

  20. Ok Lee, Direction of the After-school Childcare Program Should Pursu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Lower Grades, International Academic Conference of Samsung Children's Development Center, Samsung Children's Development Center, 1994. 

  21. Eun-kyung Lee, Effect of Assertiveness Training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steem and Sociality, Master's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2. 

  22. Ji-eun Le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and the Attachment and Socialityof Their Children , Master's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ogang University, 2000 

  23. Yoon-hyok Lim, BehavioralCharacteristics of Culturally Deprived Children In terms of Emotions, Vo. 13, No. 3 , Studies on Pedagogy, 1999. 

  24. Bum-mo Jeong, Introduction of a Personality tes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Upper Grades, Korean Testing Center, Seoul, 1971. 

  25. Seung-min Jeong, Effects of Perceived Special Support and the Self-Conceptof Children on their Social Competence, Master's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Sookmyeong Women's University, 2005. 

  26. Ye-ri Jeong, A Study of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 of Children in After-school Class, Master's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Baekseok University, 2006. 

  27. Won-sik Jeong, Instruction for the Diagnostic Test regarding a Child's Home Background, Seoul K.T.C, 1984. 

  28. Hye-in Jeong, A study of the Impact of Parents' Unemployment On the Self Esteem of the AdolescentChildren, Master's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Ehwa Women's University, 1998. 

  29. Seong-bok Cho, A study of a Developmental Plan for After-school Programs from the Viewpoint of Social Welfare, Master's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Gangnam University, 2002. 

  30. Moung-Hee Choi, A study of Self-esteem of the Children in After-school Class, Master's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Hanil University &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 2004. 

  31. Young-hee Choi, A Study of Group Play Learning Program of Children on Their Socilaity, Master's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yeonggi University, 1999. 

  32. Yoon-jeong Choi, Effects of a Group Art Therapy-based Self-portrait on Self-esteem of Children from Low Income Households, Master's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Wonkwang University, 2005. 

  33. Moung- Hee Han, A Study of the Self-Protection Status of School-Age Children, Master's dissertation, Sookmyeong Women's University, 1993. 

  34. Seong-shim Han, Hyang-ran Lee, Jeong-ah Lee, Yoon-jeong Shin, Hyun-joo Sohn, After-School Childcare, Taeyoung Publishing Co., 2009. 

  35. Seoil University Education Center for Childcare Teacher, Textbooks for Complementary Education for After-School Class Teachers, pp. 171-172, 2004. 

  36. Cooley,C,H.. Human Nature and the Social Order, New work: Scribner, 1902. 

  37. Coopersmith, S..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San Francisco: W. H. Freeman, 1967. 

  38. Dichtel(1986). The Primary Latchkey Chid: 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tudy. Doctoral Dissertation,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39. Erickson, E. H. (1950). Childhood and Society N. Y. : Norton 

  40. Halpern, R.(1992).The Role of After-School Program in the Lives of Inner City Children. N.Y. : Praeger. 

  41. Mead, G..Mind, Self and Society,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34. 

  42. Musson, S.(1994). Assessing School-Age Child Care:Theory and Practice. Canada: Addison- Wesley Publishers. 

  43. Zill, H. L.(1983). American Children: Happy, Healthy, and Insecure. N.Y. : Doubleday/ Anchor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