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확 시기가 포도 과실품질 및 페놀계 화합물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arvest Time on the Several Phenolic Compounds and Fruit Quality of Grape Cultivars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7 no.2, 2014년, pp.119 - 124  

이석호 (충청북도농업기술원 포도연구소) ,  김선국 (충청북도농업기술원 포도연구소) ,  홍의연 (충청북도농업기술원 포도연구소) ,  전성호 (경북 영천시 농업기술센터) ,  손인창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센터) ,  김대일 (충북대학교 원예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수확시기에 따른 과실품질과 폴리페놀화합물인 에피카테킨, 카테킨, 레스베라트롤, 쿼세틴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포도의 특성과 품질은 수확 시기에 관계없이 만기 수확구에서 과실특성이 향상되었고, 당도는 높고 산도는 낮았다. 명도(L)는 '캠벨얼리'와 '자옥'에서 적색도(a)는 '자옥'에서 만기 수확구에서 높았으며, 황색도(b)는 '자옥'에서 수확시기에 따라 높은 차이를 보였다. 에피카테킨 중 EC는 모두 만기 수확구에서 높았으며, '자옥' 품종은 EGC와, EC가 수확시기에 따라 함량 차이가 뚜렷하였으며, 품종에 따라 에피카테킨 조성이 달랐다. 카테킨, 레스베라스톨은 '캠벨얼리'와 'M.B.A'는 만기 수확구에서, '자옥'은 조기 수확구에서 높았으며, 쿼세틴은 '캠벨얼리'는 조기 수확구에서 '자옥'과 'M.B.A'는 만기 수확구에 높았다. 품종별로는 '캠벨얼리'가 수확시기와 관계없이 '자옥'과 'M.B.A'에 비하여 카테킨과 레스베라스톨이 높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ccomplish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arvest time on the contents of polyphenolic compounds such as epicatechin, catechin, resveratrol and quercetin in grapes (Vitis spp.). The souble solids contents were increased with harvest time delay, while the titratable acidity continuous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표 품종인 조생종은 캠벨얼리, 중생종은 자옥, 만생종은 MBA 품종을 대상으로 수확 시기에 따른 과실품질 및 페놀계 화합물 함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수확시기에 따른 과실품질과 폴리페놀화합물인 에피카테킨, 카테킨, 레스베라트롤, 쿼세틴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포도의 특성과 품질은 수확 시기에 관계없이 만기 수확구에서 과실특성이 향상되었고, 당도는 높고 산도는 낮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포도에 있는 몸에 이로운 성분은? 포도에는 안토시아닌(anthocyanin), 프로시아니딘(procyanidin), 카테킨(catechin), 쿼세틴(quercetin),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등 우리 몸에 이로운 폴리페놀(polyphenol) 성분이 풍부하게 존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생물학적 효능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Renaud & Lorgeril, 1992). 페놀계 화합물 중 항산화성이 우수한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이 동맥경화성 환자의 원인이 되는 low density lipoprotein(LDL) 산화변성을 억제하는 작용(Frankel et al.
레스베라트롤은 신체에서 어떤 기능을 하는가? 포도에는 안토시아닌(anthocyanin), 프로시아니딘(procyanidin), 카테킨(catechin), 쿼세틴(quercetin),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등 우리 몸에 이로운 폴리페놀(polyphenol) 성분이 풍부하게 존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생물학적 효능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Renaud & Lorgeril, 1992). 페놀계 화합물 중 항산화성이 우수한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이 동맥경화성 환자의 원인이 되는 low density lipoprotein(LDL) 산화변성을 억제하는 작용(Frankel et al., 1993), 발암억제 효과(Jang et al., 1997), 연명 효과(Baur et al., 2006) 등이 밝혀지면서 건강 기능성 성분이 주목받고 있다.
수확 시기는 과실품질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에서는 수확시기에 따른 과실품질과 폴리페놀화합물인 에피카테킨, 카테킨, 레스베라트롤, 쿼세틴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포도의 특성과 품질은 수확 시기에 관계없이 만기 수확구에서 과실특성이 향상되었고, 당도는 높고 산도는 낮았다. 명도(L)는 '캠벨얼리'와 '자옥'에서 적색도(a)는 '자옥'에서 만기 수확구에서 높았으며, 황색도(b)는 '자옥'에서 수확시기에 따라 높은 차이를 보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aur, J.A., K.J. Pearson, N.L. Price, H.A. Jamieson, C. Lerin, A. Kalra, V.V. Prabhu, J.S. Allard, G. Lopez-Lluch, K. Lewis. P.J. Pistell, S. Poosala, K.G. Becker, O. Boss, D. Gwinn, M. Wang, S. Ramaswamy, K.W. Fishbein, R.G. Spencer, E.G. Lakatta, D.L. Couteur, R.J. Shaw, P. Navas, P. Puigserver, D.K. Ingram, R. de Cabo and D.A. Sinclair. 2006. Resveratrol improves health and survival of mice on a high-calorie diet. Nature 444:337-342. 

  2. Chang, S.W., H.J. Kim, J.H. Song, K.Y. Lee, I.H. Kim and Y.T. Rho. 2011. Determination of several phenolic compounds in cultivars of grape in Korea. Korean J. Food Preserv. 18:328-334. 

  3. Chang, S.W., J.H. Song, N.S. Shin, K.Y. Lee and Y.T. Rho. 2009. Determination of major phenolic compounds of grape juice and wine of different geographic origins. Korean J. Food Preserv. 16:747-753. 

  4. Cho, Y.J., J.E. Kim, H.S. Chun, C.T. Kim, S.S. Kim and C.J. Kim. 2003. Contents of resveratrol in different parts of grapes. Korea J. Food Sci. Technol. 35:306-308. 

  5. Chreasy, L. and M. Coffee. 1988. Phytoalexin production potential of grape berries. J. Am. Hort. Sci. 113:230-234. 

  6. Chun, S.H. 2003. Factors affecting resveratrol content in Campbell Early grapes (Vitis spp). Ph.D Thesis, Chungbuk University, Korea. 

  7. Frankel, E.N., A.L. Waterhouse and J.E. Kinsella. 1993. Inhibition of human LDL oxidation by resveratrol. Lancet 341:1103-1104. 

  8. Fuleki, T. and F.J. Francis. 1968a. Quantitative methods for anthocyanins. 1. Extraction and determination of total anthocyanin in cranberries. J. Food Sci. 33:72-77. 

  9. Fuleki, T. and F.J. Francis. 1968b. Quantitative methods for anthocyanins. 2. Determination of total anthocyanin and degradation index for cranberry juice in cranberries. J. Food Sci. 33:78-83. 

  10. Jang, M.L., G.O. Cai, K. Udeani, V. Slowing, C.F. Thomas, C.W.W. Beecher, H.H.S. Fong, N.R. Farnsworth, A.D. Kinghorn, R.G. Mehta, R.C. Moon and J.M. Pezzuto. 1997. Cancer chemopreventive activity of resveratrol, a natural product derived from grapes. Science 275:218-220. 

  11. Lacopini, P., M. Baldi, P. Storchi and I. Sebastiani. 2008. Catechin, epicatechin, quercetin, rutin and resverastrol in red grape: content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and interactions. J. Food Comp. Anal. 21:589-598. 

  12. Lee, S.H., J.W. Lee, Y.S. Lee, S.K. Kim, K.E. Hong, H.H. Kim and D.I. Kim. 2013. Effect of fruit load control and $GA_3$ thidiazuron and forchlorfenuron application on the fruit quality in Pione grapes. Korean J. Intl. Agri. 25:177-183. 

  13. Lee, S.H., J.W. Lee, H.J. Kim, Y.H. Kim, K.Y. Lee, U.D. Shin and H.H. Kim. 2010. Effect of girdling on the fruit quality and harvest date of the Shigyoku grapes. J. Korean Plant Res. 23:228-232. 

  14. Nishikawa, Y., S. Tomimori, K. Wada and H. Kondo. 2011. Effect of cultivation practices on resveratrol content in grape berry skins. Hort. Res. Japan 10:249-253. 

  15. Orea, J.M., C. Montero, J.B. Jimenez and A.G. Urena. 2001. Analysis of trans-resveratrol by laser desortion coupled with resonant ionization spectrometry. Application to trans-resveratrol content in vine leaves and grape skin. Anal. Chem. 73:5921-5929. 

  16. Park, J.S. 2013. Growing process and technology of grapes. Industry & Academy Collaboration Group for Chungbuk Grapes. Adcastle. pp. 92-93. 

  17. Renaud, S. and M. de Lorgeril. 1992. Wine, alcohol, platelets, and the French paradox for coronary heart disease. Lancet 339:1523-1526. 

  18. Ru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03. Analysis standard of agricultural test and research. RDA. pp. 527-531. 

  19. Takayanagi, T., T. Okuda, Y. Mine and K. Yokotsuka. 2004. Induction of resveratrol biosynthesis in skins of three grape cultivars by ultraviolet irradiation. J. Japan Soc. Hort. Sci. 73:193-199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