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산 포도와 수입산 포도의 페놀계화합물 함량
Phenolic compounds in domestic and imported grape cultivar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52 no.3, 2020년, pp.205 - 211  

정성민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기획조정과) ,  김수진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  허윤영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산 포도 품종 'Campbell Early', 'Kyoho', 'Heukbosuk', 'Hongju Seedless (SDS)'와 수입 포도 'Crimson SDS', 'Thomson SDS'의 페놀계 화합물을 비교하기 위해 LC-MS/MS와 HPLC를 이용하여 함량을 비교하였다. 수입포도 'Crimson SDS'와 'Thompson SDS' 품종은 국내산 포도 품종보다 가벼운 과피무게(300-350 mg)와 단단한 경도(5.2-5.6 kg·f)를 가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Crimson SDS' 품종의 과피에 함유된 페놀계 화합물 함량은 다른 포도 품종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았지만, resveratrol (25-29 mg/kg), quercetin (350-380 mg/kg), myricetin (31-32 mg/kg) 함량은 'Hongju SDS' 품종과 유사하였다. Anthocyanin 함량은 포도 품종에 따라 달랐는데, 'Hongju SDS' 품종은 Delphinidin-3-glucoside의 함량이 높았고, 'Crimson SDS' 품종은 Peonidin-3-glucoside의 함량이 높았다. 페놀 화합물의 함량은 포도 부위별 다른 함량을 나타냈고, catechin, epicatechin, procyanidin B1, B2는 포도 종자에서 전형적인 화합물이었다. 과피를 함께 먹을 수 있는 포도품종은 과피에 포함된 유용한 phenolic compounds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fruit phenolics were investigated with using LC/MS and HPLC analysis in order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domestic ('Campbell Early', 'Kyoho', 'Heukbosuk', and 'Hongju SDS') and imported ('Crimson SDS' and 'Thomson SDS') grapes. In the case of fruit characteristics, imported gr...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최근 국내에서 육성한 포도 품종인 ‘Hongju SDS (홍주 씨들리스)’ 는 수입산 외국 품종에 대응하여 개발된 품종으로(Roh 등, 2018), 과피가 얇고 과육에서 잘 분리되지 않아 껍질째 먹을 수 있으며 종자가 흔적으로만 존재해 이물감 없이 과실 전체를 섭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는 새로 육성된 포도 품종과 기존에 유통 되는 국내산 포도 품종들이 가진 페놀계 화합물의 함량을 수입산 포도품종들과 비교함으로써 품종의 특성을 보다 구체화 하고 포도 품종 간의 비교를 더욱 명확히 하기 위해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 유통되는 포도의 특징은? 4배 상승하였다(KCS, 2019). 우리나라에서는 포도를 대부분 생식용으로 생산하여 소비하고 있으며 유통되는 포도는 대부분 우리나라 기후에서 재배가 용이한 품종인 ‘Campbell Early (캠벨얼리)’와 ‘Kyoho (거봉)’과 같은 미국종(Vitis labrusca) 또는 구미잡종(Vitis hybrid) 품종이다. 이들 두 품종은 모두 종자가 있는 품종이며 ‘Kyoho’ 품종의 경우 GA 처리를 통해 종자가 없는 (Seedless, 무핵, 無核) 포도를 생산하여 유통하기도 한다.
국내 종자 없는 포도 품종인 ‘Hongju SDS’과 수입 포도 품종 간의 총 가용성 담 함량에서 발생하는 차이점은 무엇인가? 국내에서 육성한 종자 없는 포도 품종인 ‘Hongju SDS’와 수입 포도 품종인 ‘Thompson SDS’, ‘Crimson SDS’을 포함한 국내유통 주요 품종인 ‘Campbell Early’, ‘Kyoho’, ‘Heukbosuk’의 과실 특성을 조사하였다(Table 1). ‘Hongju SDS’ 품종의 총 가용성 당 함량(TSS)은 18.6oBx로 수입 포도인 ‘Crimson SDS’의 22.9oBx, ‘Thompson SDS’의 20.0oBx 보다는 약간 낮게 나타났다. 식미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산 함량은 품종별로 0.
세계적으로 포도의 생산량 및 용도에 따른 유통량은? 포도는 세계적으로 778만 톤이 생산되며, 그 중 양조용이 약 443만 톤, 생식용은 약 273만 톤이 유통된다(OIV, 2019). 생식용 포도의 대부분은 자국에서 소비되지만 칠레, 페루 등 몇몇 국가에서는 주요 수출품목으로 포도가 생산되어 유통되는데, 주품종 인 ‘Red Globe’, ‘Thompson Seedless (SDS)’, ‘Flame SDS’, ‘Crimson SDS’와 같은 품종들은 당도가 높으며 저장성이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uchanan BB, Gruissem W, Jones RL.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of plants. American society of plant biologist, Rockville, Maryland, USA (2000) 

  2. Burin VM, Ferreira-Lima NE, Panceri CP, Bordignon-Luiz MT. Bioactive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Vitis vinifera and Vitis labrusca grapes: Evaluation of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Microchem. J. 114: 155-163 (2014) 

  3. Cai Y, Yu Y, Duan G, Li Y. Study on infrared-assisted extraction coupled with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for determination of catechin, epicatechin, and procyanidin B2 in grape seeds. Food Chem. 127: 1872-1877 (2011) 

  4. Carreno J, Almela L, Martinez A, Lopez JAF. Chemotaxonomy classification of red table grapes based on anthocyanin profile and external colour. Food Sci. Technol. 30: 259-265 (1997) 

  5. Castellarin S, Gaspero G. Transcriptional control of anthocyanin biosynthesis genes in extreme phenotypes for berry pigmentation of naturally occurring grapevines. BMC Plant Biol. 7: 46 (2007) 

  6. Chang EH, Jung SM, Park KS, Lim BS. Contents of phenolic compounds and trans-resveratrol in different parts of Korean new grape cutivars. Kor. J. Food Sci. Techonl. 45: 708-713 (2013) 

  7. Chang SW, Kim HJ, Song JH, Lee KY, Kim IH, Rho YT. Determination of several phenolic compounds in cultivars of grape in Korea. Korean J. Food Preserv. 18: 328-334 (2011) 

  8. Choi JY, Cho EK, Park SJ, Hur YY, Nam JC, Koh SW, Jung SM. Application of color index for red grapes (CIRG) for assessment of grape quality. Protected Hort. Plant Fac. 23: 244-249 (2014) 

  9. De Rosso M, Panighel A, Vedova AD, Gardiman M, Flamini R. Characterization of non-anthocyanic flavonoids in some hybrid red grape extracts potentially interesting for industrial uses. Molecules, 20: 18095-18106 (2015) 

  10. Devi KP, Rajavel T, Habtemariam S, Nabavi SF, Nabavi SM. Molecular mechanisms underlying anticancer effects of myricetin. Life Sci. 142: 19-25 (2015) 

  11. Gehm BD, McAndrews JM, Chien PY, Jameson JL. Resveratrol, a polyphenolic compound found in grapes and wine, is an agonist for the estrogen receptor. Proc. Natl. Acad. Sci. 94: 14138-14143 (1997) 

  12. Han F, Yang P, Wang H, Fernandes I, Mateus N, Liu Y. Digestion and absorption of red grape and wine anthocyanins through the gastrointestinal tract. Trends in Food Sci. Technol. 83: 211-224 (2019) 

  13. Iacopini P, Baldi M, Storchi P, Sebastiani L. Catechin, epicatechin, quercetin, rutin and resveratrol in red grape: Content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and interactions. J. Food Compos. Anal. 21: 589-598 (2008) 

  14. OIV (International Organization of Vine and Wine). 2019 Statistical report on world vitiviniculture. OIV, Paris, France (2019) 

  15. Jackson R, Wine Science. Academic Press. (2014) 

  16. Jang M, Cai L, Udeani GO, Slowing KV, Thomas CF, Beecher CWW, Fong HHS, Farnsworth NR, Kinghorn D, Mehta RG, Moon RC, Pezzuto JM. Cancer chemopreventive activity of resveratrol, a natural product derived from grapes. Science 275: 218-220 (1997) 

  17. Jung SM, Park KS, Roh JH, Lee SC, Park JM, Hur YY, Cho MA, Nam JC. Top-fruit production manual-grap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2) 

  18. KCS (Korea Customs Service). Trade statistics. KCS, Daejeon, Korea (2019) 

  19. Kim ES, Chang EH, Hur YY, Kim TW, Jung SM. Anthocyanin contents and composition of VlmybA1-2 and VlmybA2 genes in Vitis labrusca hybrid grape cultivars and cross seedlings. Plant Omics J. 8: 472-478 (2015) 

  20. Lee GA, Choi KC, Hwang KA. Kaempferol, a phytoestrogen, suppressed triclosan-induced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and metastatic-related behaviors of MCF-7 breast cancer cells. Environ. Toxicol. Pharmacol. 49: 48-57 (2017) 

  21. Perez-Navarro J, Izquierdo-Caas PM, Mena-Morales A, Martnez-Gascuea J, Chacn-Vozmediano JL, Garca-Romero E, Hermosn-Gutirrez I, Gmez-Alonso S, Phenolic compounds profile of different berry parts from novel Vitis vinifera L. red grape genotypes and Tempranillo using HPLC-DAD-ESI-MS/MS: A varietal differentiation tool, Food Chem. 295: 350-360 (2019) 

  22. Price SF, Breen PJ, Valladao M, Watson BT. Cluster sun exposure and quercetin in Pinot noir grape and wine. Am. J. Enol. Vitic. 46: 187-194 (1995) 

  23. Rivero-Perez MD, Muniz P, Gonzalez-Sanjose ML. Contribution of anthocyanin fraction to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wine. Food Chem. Toxicol. 46: 2815-2822 (2008) 

  24. Rodriguez-Vaquero MJ, Alberto MR, Manca-de-Nadra MC. Antibacterial effect of phenolic compounds from different wines. Food Control 18: 93101 (2007) 

  25. Roh JH, Hur YY, Jung SM, Park KS, Nam JC, Hwant HS, Im DJ, Chung KH, Yun HK. 'Hongju': A seedless table grape cultivar. HortScience 53: 1909-1910 (2018) 

  26. Sarah SL, McFaland M, Niles RM. Molecular and physiological actions of quercetin: need for clinical trials to assess its benefits in human disease. Nutr. Rev. 72: 720-734 (2014) 

  27. Singleton VL, Zaya J, Trousdale EK. Caftaric and coutaric acids in fruit of Vitis. Phytochem. 25: 2127-2133 (1986) 

  28. Sun ZJ, Chen G, Hu X, Zhang W, Liu Y, Zhu LX, Zhou Q, Zhao YF. Activation of PI3K/Akt/IKK-alpha/NF-kappaB signaling pathway is required for the apoptosis-evasion in human salivary adenoid cystic carcinoma: its inhibition by quercetin. Apoptosis, 15: 850-863 (2010) 

  29. Xia EQ, Deng GF, Guo YJ, Li HB. Biological activies of polyphenols from grapes. Int. J. Mol. Sci. 11: 622-646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