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문화 가정 아동을 위한 방과후 요리활동 프로그램의 만족도 및 효과
The Effect and Satisfaction Level of After-school Cooking Activities for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30 no.5, 2015년, pp.491 - 501  

윤선혜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전통식생활문화전공) ,  박신진 (연세대학교 심바이오틱 라이프텍 연구원) ,  진소연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전통식생활문화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satisfaction level and effects of after-school program cooking activities in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 total of 135 children of general and multicultural families from 3th to 6th grades and their 11 teachers were surveyed, and 75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un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일반아동과 다문화 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요리 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하고, 이를 통하여 다문화 가정 아동을 위한 요리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아동과 교사를 대상으로 프로그램의 만족도를 조사하고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2008; Jeon 2010)는 꾸준히 수행되고 있으나 이를 실제적으로 아동에게 적용한 프로그램 개설은 부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가정 아동들의 요리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를 살펴보고, 실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문화 가정 아동들은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는가? 특히 언어의 장벽은 한국의 문화를 이해하는데 커다란 장애요인이 되고 있으며, 이는 자녀들에게까지 그 영향을 미친다. 또한 다문화 가정 아동들은 한국인과 다르게 생긴 외모, 언어소통의 어려움, 혼혈이라는 차별에 대한 상처, 정체성의 혼란, 미래에 대한 막연함에 대한 심리적 위축, 고립 되어 있는 감정 등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Min 2005).
최근 다문화 가정이 증가하는 이유는? 최근 한국사회는 외국인 노동자의 유입과 국제결혼의 증가로 인해 다문화 가정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한국인의 외국인과의 결혼비중은 2004년 이후 10% 이상 계속 유지되면서 그동안 우리사회에서 주를 이루었던 단일 문화 가족에서 다문화가족(다문화가정)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가족이 생겨나고 있다(Park 2008).
Yang(2010)에 의하면 아동들의 요리활동은 학습적으로 어떤 장점이 있는가? 2008). 또한 아동들은 요리활동을 통하여 통합적인 학습 경험을 하게 된다. 요리종류의 선택에서 재료의 구입, 재료의 탐색, 음식 만들기, 맛보기, 치우기의 전 과정 뿐 아니라 사후 활동을 통해서 다양한 학습 효과를 얻을 수 있다(Yang 2010). 요리 활동 시의 상호작용은 아동의 사회적 능력을 기르고, 도와주기나 나누어주기와 같은 친사회적 행동을 격려한다(Herr & Morse 1982; Cosgrove 199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ae KY. 2008. Development of integrative food science experiments for elementary students. Master's degree thesis, Busan National University, Korea, pp 89-98 

  2. Baik EY. 2008. Study on the dietary living of multicultural youth. Master's degree thesis, Dongguk University, Korea, pp 23-24 

  3. Cho HJ. 2005. The effects of cooking activities on preschoolchildren's mathematical concepts and attitudes. Master's degree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Korea, pp 1-51 

  4. Chung ES. 1999. The effect of cooking activity program on the child's science conception and nutrition knowledge conception. Master's degree thesis, Myongji University, Korea, pp 1-55 

  5. Cosgrove MS. 1991. Cooking in the classroom: The door way of nutrition. Young Children, 46(3):43-46 

  6. Dahl K. 1998. Why cooking in the curriculum?. Young Children, 53(1):81-83 

  7. Garen H. 1977. Cooking in the curricula. Young Children, 32(2):60-69 

  8. Han YH, Shin WS, Kim JN. 2011. Influential factor on Korean dietary life and eating behaviour of marriage immigrants. Com. Korean Stud., 19(1):115-158 

  9. Herr J, Morse W. 1982. Food for thought: Nutrition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Young Children, 38(1):3-17 

  10. Jeon YM. 2010. A study on the interest and satisfaction of parents on the effects of cooking programs for children according to the type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Korean J. Culin. Res., 16(1):137-151 

  11. Kim JE, Kim JM, Seo SH. 2011. Nutrition education for female immigra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using a multicultural approach: In-depth interviews with female immigrants and nutrition education professionals. Korean J. Nutr., 44(4):312-325 

  12. Kim JH, Jeon SK, Lee MJ. 2010. A study of integrated dietary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extbook and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 J. Korean Pract. Arts Edu., 23(3):23-42 

  13. Kim JM, Lee NH. 2009. Analysis of the dietary life of immigrant wom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Daegu area. J. Korean Diet. Assoc., 15(4):405-418 

  14. Kim SH, Kim HY, Lyu JE, Chung HW, Hwang JY. 2009. Dietary Intakes and eating behaviors of Vietnamese female Immigrants to Korea through Marriage and Korean Spouses and Correlations of Their Diets. Korean J. Community Nutr., 14(1):22-30 

  15. Kim YJ. 2014. A study on dietary life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focused on the elementary schools in the Daegugyeongbuk area. Korean Edu. Inq., 32(2) :155-174 

  16. Kim YS. 2004. A study on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needs of after school child guidance program: focused on community welfare center in Ansan City. Master's degree thesis, Sun Moon University, Korea, pp 73-81 

  17. Klefstad J. 1995. Cooking and eating with children. Young Children, 50(6):32-33 

  18. Ko MJ. 2006. A research on current situation of the children's cooking activities and teacher's understanding. Master's degree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Korea, pp 5-10 

  19. Lee JS. 2012. The factors for Korean dietary life adaptation of female immigra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bus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6):807-815 

  20. Lee SY. 2010. A Study on the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in seoul elementary schools. Master's degree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Korea, pp 5-7 

  21. Lee YM, Lee MJ, Kim SY. 2005.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through discretional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focused on improving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habits. J. Korean Diet. Assoc., 11(3):331-340 

  22. Min AK. 2005. Group art therapy for the children of migrant workers with depression. Master's degree thesis, Myongji University, Korea, pp 8-21 

  23. Noh JE. 2009. Development research of short term concentration curriculum for multicultural children-Focus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Multicult. Edu. Stud., 2(2):111-137 

  24. Oh MS. 2011. Realities and challenges of education for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Preliminary results from interviews of six multicultural families. Multicult. Edu. Stud., 6(4):43-77 

  25. Park HN, Jeong HS, Joo NM. 2008. Research on the educational effect and satisfaction of cooking activity for children. J. Korean Soc. Food Cult., 23(4):55-461 

  26. Park SJ. 2008. A effectiveness of a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improving school life adaptation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Focusing on self esteem and social improvement. Master's degree thesis, Sangmyung University, Korea, pp 1-2 

  27. Park YI. 2009. A Study on multi-cultural family wives adapting to Korean cuisine and dietary patterns. Master's degree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Korea, pp 13-116 

  28. Yang JH. 2010. The Effectiveness of after-school program in practical arts education on the change of disabled children toward dietary attitude. J. Elem. Edu., 23(1):163-182 

  29. Yoon SJ, Kim HS. 2010. Meal practice and perceptions of traditional food cultur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J. Korean Soc. Food Cult., 25(5):558-56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