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별 국내 자생 엉겅퀴 추출물의 항균 활성
Comparison of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Domestic Cirsium japonicum Collected from Different Regions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30 no.3, 2014년, pp.278 - 283  

장미란 (덕성여자대학교 식물자원연구소) ,  박혜진 (덕성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홍은영 (CJ제일제당(주)) ,  김건희 (덕성여자대학교 식물자원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Cirsium japonicum from extracts five regions(Chungnam, Gyeonggi, Gangwon, Jeju and Jeonnam) extract against six food-borne pathogenes(Bacillus cereus, Bacillus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Salmonella enterica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자생 지역에 따른 활성에 대한 연구도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팀은 선행연구를 통하여 엉겅퀴가 자생하는 환경에 따라 생리활성물질의 함량이 다름을 확인하였고, 이와 관련하여 항균 효과의 차이가 있을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하여 본 연구를 통하여 자생 지역별 엉겅퀴의 항균활성능력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 한편, 항균활성 측정 시 배지의 상태(broth와 agar)에 따른 균의 생육 상태나 시료의 확산정도가 다르며, broth dilution 방법에 의한 항균력 검증에는 시료가 지닌 고유의 색이 MIC를 결정하는 탁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항균 효과는 하나의 assay만으로 결정하기에 무리가 있어, 탁도(O.D.)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agar diffusion 방법으로 항균력을 측정하여 엉겅퀴 추출물의 항균활성의 근거를 확인하고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엉겅퀴의 지상부와 지하부를 일컫는 이름은? 엉겅퀴속(Cirsium genus) 식물은 예로부터 어린 순을 식용으로 하고 성숙한 것은 약용으로 이용해왔으며, 우리 나라 전역의 산과 들에 자생하는 국화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전체에 흰 털과 더불어 거미줄 같은 털이 있으며 잎은 결각상의 톱니와 더불어 가시가 있다(Lee CB 2006). 동의보감에 의하면 어혈을 풀리게 하는 등 혈을 보하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고(Shim MK 2010), 한방에서는 엉겅퀴의 지상부와 지하부를 대계라 부르며 뿌리는 가을철에 채취한 후 말려서 경혈, 지혈, 토혈, 혈뇨, 대하, 간염 및 고혈압 등의 치료에 사용되어 왔다(Ishida H 등 1987). 엉겅퀴속 식물에는 apigenin, luteolin, myricetin, kaemferol, pectolinarin, 5,7-dihydroxy-6,4'-dimethoxyflavone, hispidulin7-neo-hesperioside flavonoid 등의 생리활성이 우수한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화합물이 풍부하여 항미생물, 항산화, 항돌연변이원성 및 항암활성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이 많이 포함되어 있음이 밝혀졌다(Lee HK 등 2003, Kim SJ 와 Kim GH 2003, Chung MS와 Kim GH 2010).
엉겅퀴속 식물에 함유된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화합물은? 동의보감에 의하면 어혈을 풀리게 하는 등 혈을 보하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고(Shim MK 2010), 한방에서는 엉겅퀴의 지상부와 지하부를 대계라 부르며 뿌리는 가을철에 채취한 후 말려서 경혈, 지혈, 토혈, 혈뇨, 대하, 간염 및 고혈압 등의 치료에 사용되어 왔다(Ishida H 등 1987). 엉겅퀴속 식물에는 apigenin, luteolin, myricetin, kaemferol, pectolinarin, 5,7-dihydroxy-6,4'-dimethoxyflavone, hispidulin7-neo-hesperioside flavonoid 등의 생리활성이 우수한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화합물이 풍부하여 항미생물, 항산화, 항돌연변이원성 및 항암활성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이 많이 포함되어 있음이 밝혀졌다(Lee HK 등 2003, Kim SJ 와 Kim GH 2003, Chung MS와 Kim GH 2010).
엉겅퀴속 식물에 대해 동의보감에서 보고한 내용은? 엉겅퀴속(Cirsium genus) 식물은 예로부터 어린 순을 식용으로 하고 성숙한 것은 약용으로 이용해왔으며, 우리 나라 전역의 산과 들에 자생하는 국화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전체에 흰 털과 더불어 거미줄 같은 털이 있으며 잎은 결각상의 톱니와 더불어 가시가 있다(Lee CB 2006). 동의보감에 의하면 어혈을 풀리게 하는 등 혈을 보하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고(Shim MK 2010), 한방에서는 엉겅퀴의 지상부와 지하부를 대계라 부르며 뿌리는 가을철에 채취한 후 말려서 경혈, 지혈, 토혈, 혈뇨, 대하, 간염 및 고혈압 등의 치료에 사용되어 왔다(Ishida H 등 1987). 엉겅퀴속 식물에는 apigenin, luteolin, myricetin, kaemferol, pectolinarin, 5,7-dihydroxy-6,4'-dimethoxyflavone, hispidulin7-neo-hesperioside flavonoid 등의 생리활성이 우수한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화합물이 풍부하여 항미생물, 항산화, 항돌연변이원성 및 항암활성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이 많이 포함되어 있음이 밝혀졌다(Lee HK 등 2003, Kim SJ 와 Kim GH 2003, Chung MS와 Kim GH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ylka W, Matlawska I, Pilewski NA. 2004. Natural flavonoids as antimicrobial agents. J American Nutraceutical 7(2):24-31 

  2. Cho MG, Chang CS, Chae YA. 2002. Variation of volatile composition in the leaf of Zamthoxylum schinifolim siebold et Zucc. & Zanthoxylum poperitum DC.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0(3):162-166 

  3. Chung MS, Kim GH. 2010. Effects of Elsholtzia splendens and Cirsium japonicum on premenstrual syndrome. Nutr Res Pract 4(4):290-294 

  4. Cushine TP, Lamb AJ. 2005. Antimicrobial activity of flavonoids. Antimicrob Agent 26:343-356 

  5. Ishida, H, Umino, T, Tosugee T. 1987. Studies on antihemmorhagic substance in herbs classified hemostatics in Chinese medicine. VII. On the antihehorhagic principle in Cirsium japonicum DC. Chem Pharm Bull 35:861-864 

  6. Jang M, Seo J, Lee JH, Kim GH. 2010. Antibacterial activities of essential oil from Zanthoxlum schinifolium against foodborne pathogens. Korean J Food Cook Sci 26(2):206-213 

  7. Jang M, Hong E, Jung JH, Kim GH. 2012. Antioxidative components and activity of domestic Cirsium japonicum extract. J Korean Soc Food Nutr 41(6):739-744 

  8. KFDA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11. Available from: http://fm.kfda.go.kr/ 

  9. Kim EM, Won SI. 2009. Functional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from different organs of native Cirsium and Carduus Genera. Korean J Food Cook Sci 25(4):406-414 

  10. Kim SJ, Kim GH. 2003. Identification for flavones in different parts of Cirsium japonicum. J Food Sci Nutr 8:330-335 

  11. Kim SJ, Kim SY Kim JA, Park IS, Yu KY, Chung CH, Shim JS, Jang SI, Jeong SI. 2012. Inhibitory effect of Cirsium japonicum root or flower extract on hepatic stellate cells activation. Kor J Pharmacogn 43(1):27-31 

  12. Lee CB. 2006. Wonsaek Korean illustrated plant book. Hyangmoon. Seoul. p 275 

  13. Lee DS, Kim KS, Li B, Choi HG, Keo S, Jun KY, Park JH, Kim YC. 2012. Anti-inflammatory effect of the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70% ethanolic extract in RAW264.7 cells by heme oxygenase-1 expression. Kor J Pharmacogn 43(1):39-45 

  14. Lee HK, Kim JS, Kim NY, Kim MJ, Park SU, Yu CY. 2003. Antioxidant, antimutagenicity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extracts from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KITAMURA.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1:53-61 

  15. Lee HY, Jeong EJ, Jeon SY, Cho MS, Cho WJ, Kim HD, Cha YJ. 2008. Comparison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Domestic Onions Harvested in Various Reg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12):1609-1614 

  16. Lim SS, Lee JH. 1997. Effect of Artemisia princeps var Orentalis and Circium japonicum var Ussuriense on cardiovascula system of hyperlipidemic rat. Korean J Nutr 30(3):244-251 

  17. Mok JY, Kang HJ, Cho JK, Jeon IH, Kim HS, Park JM, Jeong SI, Shim JS, Jang SI. 2011.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xtracts from different organs of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Korean J Herbology 26:39-47 

  18. Orhan DD, Ozcelik B, Ozgen S, Ergun F. 2010. Antibacterial, antifungal, and antiviral activities of some flavonoids. Microbiol Res 165(6):496-504 

  19. Shim MK. 2010. Junghwa herbal medicine. Younglim. Seoul. pp 214-218 

  20. Sung WY, Yoon GR, Jang SM. 2000. Comparison of effective consitituents of Korean Paeony roots(Paeoniae radix) cultivated in different region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7(3):297-30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