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편지를 활용한 가족관계 증진 프로그램이 말기 암 환자의 가족기능, 죽음 불안, 우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etter on the Family Functioning, Fear of Death, and Depression among the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원문보기

재활간호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v.17 no.1, 2014년, pp.18 - 26  

이선자 (충북대학교병원) ,  김인자 (대전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improve the family functioning, fear of death and depression among the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the effects of letter as an independent nursing intervention were identified. Method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 and post test design was used. Subjects were 60 patients and the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끝으로 말기 암 환자에게 연구를 시행할 때 주의할 점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를 진행하는 동안 대조군에게 중재를 하지 않음으로써 윤리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연구가 끝난 후 원하는 대상자에게 가족 간에 편지쓰기를 동일한 방법으로 시행하였다.
  • 무엇보다 편지 쓰기는 특별한 교육이 필요 없고, 기간이 많이 필요하지 않아 여명이 많이 남지 않은 말기 암 환자에게 적절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편지를 이용하여 가족들의 의사소통을 증진시켜 가족기능을 향상시키면 말기 암 환자의 죽음 불안과 우울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가족들의 안녕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여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가족기능을 강화시켜 말기 암 환자들의 가장 큰 정서적 문제인 죽음 불안과 우울을 감소시키고자 편지를 활용한 가족관계 증진 간호중재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편지를 활용한 가족관계 증진 간호중재는 말기 암 환자들의 가족기능을 유의하게 증진시키고 죽음 불안과 우울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편지를 이용한 가족관계 증진중재가 가족 기능을 증진시켜 말기 암 환자의 죽음 불안을 완화시키고 우울을 감소시키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 끝으로 말기 암 환자에게 연구를 시행할 때 주의할 점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를 진행하는 동안 대조군에게 중재를 하지 않음으로써 윤리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연구가 끝난 후 원하는 대상자에게 가족 간에 편지쓰기를 동일한 방법으로 시행하였다. 두 번째는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대상자들에게 자가보고 설문지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는 일이 쉽지 않았다.

가설 설정

  • • 가설 1: 편지를 이용한 가족관계 증진 중재를 받은 실험군과 받지 않은 대조군의 가족기능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 • 가설 2: 편지를 이용한 가족관계 증진 중재를 받은 실험군과 받지 않은 대조군의 죽음 불안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 • 가설 3: 편지를 이용한 가족관계 증진 중재를 받은 실험군과 받지 않은 대조군의 우울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 • 가설 3: 편지를 이용한 가족관계 증진 중재를 받은 실험군과 받지 않은 대조군의 우울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 • 가설 1: 편지를 이용한 가족관계 증진 중재를 받은 실험군과 받지 않은 대조군의 가족기능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족 기능을 증진시키는데 가장 기본적인 요소는 무엇인가? 가족 기능이 좋은 가족들은 환자를 사랑으로 돌보고, 존중하며, 가치감을 갖게 해준다(Cobb, 1976). 가족 기능을 증진시키는데 가장 기본적인 요소는 가족 간의 의사소통으로 가족 간의 의사소통은 사랑, 감사, 용서를 증진시켜 가족기능을 강화하여 암 환자에게 유익하다 (Lim & Ashing-Giwa, 2013; Prince-Paul & Exline, 2010).
의사소통이란 무엇인가? 가족 상호간 “의사소통한다”는 의미는 “사회적 측면에서 언어적 행동과 비언어적 행동을 한다”는 뜻이다. 의사소통이란 유기체들이 기호를 통하여 서로 정보나 메시지를 전달하고 수신해서 서로 공통된 의미를 수립하고 나아가서는 서로의 행동에 영향을 끼치는 과정 및 행동이다(Yu, Kim, & Kim, 2013). 가족의 의사소통은 서로에게 영향을 준다는 측면에서 상호 교류적이며, 그것을 통해 서로의 감정과 생각 그리고 느낌 등을 나누며 서로에게 영향을 준다(Yu et al.
말기 암 환자들의 간호에서 가족기능을 회복시켜 죽음 불안과 우울을 감소시키는 간호 중재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그런데 암 환자들은 입원이라는 환경 요인으로 가족들이 함께 있을 수 있는 시간이 줄어들면서 일어나는 가족 간의 부적절한 의사소통으로 가족 기능이 떨어지고 있다(Satir & Jackson, 1961). 특히 말기 암 환자는 치료가 길어지면서 신체적, 정서적, 심리적, 경제적 부담감이나 가족들이 아무 것도 해줄 수 없다는 좌절감으로 가족 간의 표현이 적어지고 이는 가족 기능 변화로 나타나 암 환자들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죽음 불안과 우울을 악화시킨다. 따라서 말기 암 환자들의 간호에서 가족기능을 회복시켜 죽음 불안과 우울을 감소시키는 간호 중재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lanee, S., & Russo, P. (2012). Suicide in men with testis cancer. European Journal of Cancer Care (Engl). 21 (6), 817-821. http://dx.doi.org/10.1111/j.1365-2354.2012.01366.x 

  2. Ando, M., Morita, T., Akechi, T., & Okamoto, T. (2010). Efficacy of short-term life-review interviews on the spiritual wellbeing of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Pain Symptom Management, 39 (6), 993-1002. http://dx.doi.org/ 10.1016/j.jpainsymman 

  3. Chang, S. Y., & Koh, H. J. (2008). Effects of aromatherapy hand massage on anxiety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Keimyung Journal of Nursing Science, 12 (1), 49-58. 

  4. Cobb, S. (1976).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metric Medicine, 38 (5), 300-314. 

  5. Cohen, J. (2000).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6. Collett, L. J., & Lester, D. (1969). The fear of death and the fear of dying. The Journal of Psychology, 72 (2), 179-181. 

  7. Epstein, N. B., Baldwin, L. M., & Bishop, D. S. (1983). The Mc-Master family assessment device.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9 (2), 171-180. 

  8. Jun, Y. P. (2008). The scheme of revitalizing the communication by reading and writing lett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Seoul. 

  9. Ki, B. S. (1996).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5 (2), 298-305. 

  10. Kim, H. J., & Suh, J. E. (2012). Influences on family functioning: A meta-analysis. Journal of Korean Family Therapy, 20 (3), 457-486. 

  11. Kim, Y. J. (2008). A study on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y member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2. Kim, Y. J., Kim, J. Y., Choi, I. R., Kim, M. W., & Rhodes, V. (2000). The index of nausea, vomiting, and retching (Korean translation). Journal of Adult Health Nursing, 2 (2), 278-285. 

  13. Kolva, E., Rosenfeld, B., Pessin, H., Breitbart, W., & Brescia, R. (2011). Anxiety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Journal of Pain Symptom Management, 42 (5), 691-701. http://dx.doi.org/10.1016/j.jpainsymman.2011.01.013 

  14. Lim, J. W., & Ashing-Giwa, K. T. (2013). Is family functioning and communication associated wit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r Chinese-and Korean-American breast cancer survivors? Quality of Life Research, 22 (6), 1319-1329. http://dx.doi.org/10.1007/s11136-012-0247-y 

  15. Mallinger, J. B., Griggs, J. J., & Shields, C. G. (2006). Family communication and mental health after breast cancer. European Journal of Cancer Care, 15 (4), 355-361. 

  16. Martino, M. L., Freda, M. F., & Camera, F. (2013). Effects of guided written disclosure protocol on mood states and psychological symptoms among parents of off-therapy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childre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8 (6), 727-36. http://dx.doi.org/10.1177/1359105312462434 

  17. McDaniel, J. S., Musselma, D. L., Porter, M. R., Reed, D. A., & Nemeroff, C. B. (1995). Depression in patients with cancer: Diagnosis, biology, and treatment.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52, 89-99. 

  18. McLean, L. M., Jones, J. M., Rydall, A. C., Walsh, A., Esplen, M. J., Zimmermann, C., et al. (2008). A couples intervention for patients facing advanced cancer and their spouse caregivers: Outcomes of a pilot study. Psychooncology, 17 (11), 1152-6. http://dx.doi.org/10.1002/pon.1319 

  19. Mendoza, T. R., Wang, X. S., Cleeland, C. S., Morrissey, M., Johnson, B. A., Wendt, J. K., et al. (1999). The rapid assessment of fatigue severity in cancer patients. American Cancer Society, 85 (5), 1186-1196. 

  20. Miller, I. W., Ryan, C. E., Keitner, G. I., Bishop, D. S., & Epstein, N. B. (2000). The McMaster approach to families: Theory, assessment, treatment and research. Journal of Family Therapy, 22, 168-189. 

  21. Park, S. Y. (2004). Change of quality of life, depression and family support according to the process of treatment in breast cancer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University, Daejeon. 

  22. Prince-Paul, M., & Exline, J. J. (2010). Personal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messages at the end of life. Nursing Clinics of North America, 45 (3), 449-463. http://dx.doi.org/10.1016/j.cnur.2010.03.008 

  23. Rhodes, V. A. (1997). Criteria for assessment of nausea, vomiting, and retching. Oncology Nursing Forum, 24 (7), 13-19. 

  24. Satir, V., & Jackson, D. D. (1961). A method of analysis of a family interview. Archives General Psychiatry, 5, 321-339. 

  25. Suh, H. K. (1987). Attitude toward death of Korean and American elderly. Journal of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7 (1), 39-60. 

  26. Suhail, K., & Akram, S. (2002). Correlates of death anxiety in Parkistan. Death Studies, 26, 39-50. 

  27. Svavarsdottir, E. K., & Sigurdardottir, A. O. (2013). Benefits of a brief therapeutic conversation intervention for familie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active cancer treatment. Oncology Nursing Forum, 40 (5), E346-57. http://dx.doi.org/10.1188/13.ONF.E346-E357 

  28. Yesavage, J. A., Brink, T. L., Rose, T. L., Huang, V., Adey, M., & Leirer, V. O. (198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eriatric depression screening scale: A preliminary report. Journal of Psychiatry Research, 17 (1), 37-49. 

  29. Yu, H. O. (2004). Death anxiety among the middle aged and the elderly focused on afterlife and the readiness to death.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30. Yu, Y. J., Kim, S. O., & Kim, K. S. (2013). Family relationships. Seoul: Kyomoons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