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충동성 및 정신건강이 휴대전화 중독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lf Esteem, Impulsive Behavior and Mental Health on Cellular Phone Addiction of Adolescen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4 no.6, 2014년, pp.200 - 210  

이혜순 (한남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청소년의 휴대전화 중독군과 비중독군의 자아존중감, 충동성 및 정신건강을 파악하고, 휴대전화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중학생 239명으로,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program을 사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chi}^2$-test, Fisher's exact test, t-test,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휴대전화 중독군과 비중독군의 일반적 특성에서 차이를 보인 변수는 학년, 성별 사용기간, 구입동기, 문자메세지 이용횟수/1일, 용도, 요금, 통화상대이다. 둘째, 휴대전화 중독군이 비중독군보다 자아존중감은 낮고, 충동성과 정신건강 점수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휴대전화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아존중감, 무계획충동성, 정신건강 총점, 학년, 성별, 사용기간, 문자메시지 횟수/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휴대전화 중독에 자아존중감, 충동성 및 정신건강의 역할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과 청소년의 휴대전화 중독예방을 위한 중재방안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esteem, impulsive behavior and mental health among adolescents who were cellular phone addiction and those who were not.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 from the sample of 239 middle schoo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휴대전화 중독군과 비중독군의 자아존중감, 충동성 및 정신건강을 파악하고, 휴대전화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을 파악하였다. 특히 충동성 및 정신건강의 어떤 하부요인이 휴대전화 중독에 더 중요한 요인인지 파악함으로써 휴대전화 중독적 사용 집단이 보이는 다양한 특성을 고려한 휴대전화 중독 예방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청소년의 휴대전화 중독군과 비중독군의 자아존중감, 충동성 및 정신건강을 파악하고, 휴대전화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청소년의 휴대전화 중독에 자아존중감, 충동성 및 정신건강의 역할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과 청소년의 휴대전화 중독예방을 위한 중재방안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있다.
  •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자아존중감, 충동성, 정신건강이 휴대전화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복합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휴대전화 중독군과 비중독군의 자아존중감, 충동성 및 정신건강을 파악하고, 휴대전화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을 파악하였다. 특히 충동성 및 정신건강의 어떤 하부요인이 휴대전화 중독에 더 중요한 요인인지 파악함으로써 휴대전화 중독적 사용 집단이 보이는 다양한 특성을 고려한 휴대전화 중독 예방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휴대전화를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어떠한 문제가 발생하는가? 2%가 소지하고 있을 정도로[1], 의사소통을 위한 필수품으로 인식되어 있으며[2], 친구관계를 유지하고 문화를 공유하기 위해 휴대 전화를 소유하고 사용에 몰입하는 경향이 있다[3]. 그러나 휴대전화를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휴대전화에서 나오는 전자파로 인한 뇌 조직 손상과 뇌종양의 위험이 있고[4], 성장기 휴대전화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 청력 이상, 두통, 우울 등의 피해가 성인보다 심각하다[5].
자아존중감이 낮은 사람은 어떠한 경향을 나타내는가? 자아존중감은 휴대전화 중독에 영향요인으로[14], 자아존중감이 높은 경우에 휴대전화 중독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15]. 반면 자아존중감이 낮은 사람은 불면증, 두통 등의 증상을 나타내고[16], 대인관계를 맺는 능력의 저하로 휴대전화와 같은 매체에 집중하게 되며[15], 나아가 휴대전화에 병적으로 몰입하는 중독 현상을 나타낸다[17]. 이와 같이 자아존중감은 휴대전화 중독의 위험을 낮추는 보호요인으로 보고되고 있다[11].
본 연구에서 휴대 전화 중독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휴대전화 중독 측정 도구는 어떻게 이루어졌는가? 휴대 전화 중독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Young[27] 의 인터넷 중독 도구(Internet Addiction Test)를 기초로 장혜진[25]이 국내 청소년을 대상으로 개발한 휴대전화 중독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구성내용은 강박적․금단 행동(10문항), 비통제적 행동(7문항), 의존적 행동(3문항)으로 3개 하위영역, 총 20문항으로 이루어졌다. 응답자들은 휴대전화를 사용하면서 나타나는 증상의 정도를 표시하게 되어 있으며, 각 문항은 ‘그렇지 않다’(1점), ‘가끔 그렇다’(2점), ‘그렇다’(3점), ‘자주 그렇다’(4점), ‘매우 그렇다’(5점)의 5점 척도로, 최저 20점에서 최고 100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휴대전화 중독 수준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최은숙, 중소도시 청소년의 휴대전화 중독의 원인과 실태 : 포천시 중.고등학생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2. 송은주, "고등학생의 휴대폰 사용실태와 정신건강과의 관계", 한국간호과학회 정신간호학회, 제15권, 제3호, pp.37-48, 2006. 

  3. K. Kamibeppu and H. Sugiura, "Impact of the mobile phone on junior high-school students' friendships in the Tokyo metropolitan area," Cyberpsychology & Behavior, Vol.8, pp.121-130, 2005. 

  4. L. Hardell, M. Carlberg, F. Soderqvist, K. H. Mild, and L. L. Morgan, "Long-term use of cellular phones and brain tumours: Increased risk associated with use for 10 years," Occup Environ Med, Vol.64, pp.626-632, 2007. 

  5. M. Dimonte and G. Ricchiuto, "Mobile phone and young people: A survey pilot study to explore the controversial aspects of a new social phenomenon," Minerva Pediatrica, Vol.58, pp.357-363, 2006. 

  6. 이진영, 청소년의 휴대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환경적 변인과 개인심리적 변인 탐색,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7. 양심영, 고등학교 청소년의 휴대폰 중독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2002. 

  8. A. Bianchi and J. G. Phillips, "Psychological predictors of problem mobile phone use," Cyberpsychology & Behaviors, Vol.8, pp.39-51, 2005. 

  9. 여성가족부, 2013년 청소년통계, 통계청, 2013. 

  10.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11인터넷 중독 실태조사,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12. 

  11. 구현영, "중학생을 위한 휴대전화 중독 예방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아동간호학회, 제17권, 제2호, pp.91-99, 2011. 

  12. 정봉현,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3. 이계원,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14. 신홍식, 고교생의 휴대폰 중독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15. 김정남,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학교적응, 정신건강이 휴대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6. 곽민주, 이희숙, "청소년의 휴대폰 이용실태와 중독적 이용", 생활과학연구논총, 제13권, 제1호, pp.183-205, 2009. 

  17. 우형진, "휴대폰 이용자의 자아성향이 휴대폰 중독 구성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자존감, 자기효능감, 자기통제력 변인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21권, 제2호, pp.391-427, 2007. 

  18. N. L. Pott and B. L. Mandleco, Pediatric nursing: Caring for children and their families, Delmar, 2002. 

  19. 금창민, 중.고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 (proneness)'과 정신건강문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20. M. R. Bruchinal, J. E. Roberts, S. A. Zeisel, and S. J. Rowley, "Social risk and protective factors for African American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and adjustment during the transition to middle school," Dev Psychol, Vol.44, pp.286-292, 2008. 

  21. S. C. Cho, Y. C. Hong, J. W. Kim, S. Park, M. H. Park, and J. Hur, "Association between urine cotinine levels, continuous performance test variables, an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learning disability symptoms in school-aged children," Psychol Med, Vol.43, No.1, pp.209-219, 2013. 

  22. 권재환, "충동성, 공격성과 게임중독의 관계에서 대인관계기술의 매개모형검증: 중고등학교급별 비교",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제15권, 제10호, pp.87-98, 2010. 

  23. 김정숙, 휴대폰 과다사용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우울, 충동성,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24. H. Ringeisen, C. E. Casanueva, M. Urato, and L. F. Stambaugh, "Mental health service use during the transition to adulthood for adolescents reported to the child welfare system," Psychiatric Services, Vol.60, pp.1084-1091, 2009. 

  25. 장혜진, 휴대폰 중독적 사용집단 청소년들의 심리적 특성 : 자기개념, 애착, 자기 통제력, 충동성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26. J. Cohen,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 (2nd ed.), Lawrence Eribaum Associates, 1988. 

  27. K. S. Young, "Psychology of computer use: Addictive use of the internet: A case that breaks the stereotype," Psychol Rep, Vol.79, pp.899-902, 1996. 

  28. M. Rosenberg,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29. 전병재,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연세논총, 제11권, pp.107-129, 1974. 

  30. E. S. Barratt and R. White, "Impulsiveness and anxiety related of medical students' performance and attitudes,"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Vol.44, pp.604-607, 1969. 

  31. 이현수, 충동성 검사 실시 요강, 한국가이던스, 1992. 

  32. L. R. Derogatis, SCL-90-R: Administration, scoring & procedures manual-II for the revised version and other instruments of the psychopathology rating scale series, Clinic Psychometric Research, 1983. 

  33. 김재환,김광일, "간이신경진단검사(SCL-90-R)의 한국판 표집화연구 III", 정신건강연구, 제2권, pp.278-311, 1984. 

  34. 구현영, 박현숙, "청소년의 휴대전화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아동간호학회, 제16권, 제1호, pp.56-65, 2010. 

  35. 이혜순, "청소년의 가족기능, 충동성, 스트레스 수준이 집단따돌림 유형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2호, pp.319-329, 2014. 

  36. 장성화, 박영진, "휴대폰 중독 수준에 따른 청소년들의 정신건강, 자기통제력, 자아존중감의 관계 연구", 한국교육논단, 제8권, 제3호, pp.25-41, 2009. 

  37. 노현숙,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문제행동 관련성 연구,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38. 백승숙, 교사-학생 관계와 자아존중감, 정신건강, 학업성취도와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39. 이해정, 김명수, 손현경, 안숙희, 김정순, 김영혜, "중학생의 휴대폰 중독적 사용에 대한 인구사회적.심리적 변인들의 판별예측력", 대한간호학회지, 제37권, 제6호, pp.957-965, 2007. 

  40. 김종수, "범죄청소년의 성격차원 성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10호, pp.268-277, 2008. 

  41. 정순복, 김수진, "일 도시 중학생의 가족기능과 정신건강과의 관계연구", 대한간호학회정신간호학회, 제10권, 제3호, pp.352-367, 2001. 

  42. 서울시소아청소년정신보건센터, 2006 서울시 소아청소년 건강조사, 서울시소아청소년정신보건센터, 2006. 

  43. 고충숙, "청소년의 휴대폰 중독적 사용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 문화포럼, 제30권, pp.8-36, 2012. 

  44. K. H. Kim, E. J. Ryu, M. Y. Chon, E. J. Yeun, S. Y. Choi, and J. S. Seo, "Internet addiction in Korean adolescents and its relation to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questionnaire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Vol.43, No.2, pp.185-192, 2006. 

  45. 정문균, 고등학생의 휴대폰 이용과 생활양식의 관계에 대한 연구, 목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