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세종특별자치시 중학생의 학교급식 만족도와 식습관 조사
Study on the Satisfaction for School Food Service and Dietary Habit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7 no.3, 2014년, pp.369 - 382  

나정아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  이제혁 (공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명희 (공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fundamental information on satisfaction for school food service and dietary habit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Generally, the subjects had a high satisfaction level for school food service. The boys had comparatively more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세종특별자치시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교급식 만족도와 아침 결식, 간식 섭취와 관련한 식습관과의 상관성에 대해 분석하여 세종특별자치시 중학생들의 바람직한 식행동 정립을 위한 기초자료 및 학교급식의 질적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세종특별자치시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학교급식 만족도와 아침식사 여부 조사, 간식 섭취빈도 조사를 통해 중학생의 바람직한 식행동 정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기의 역할은? 청소년기는 소아에서 성인으로의 이행기로서, 이 시기의 균형 잡힌 영양 공급은 신체 및 정서적 성장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우리나라 청소년의 경우, 과중한 학업과 입시에 대한 부담으로 식생활이 불규칙하여 폭식과 결식이 많고, 자신이 선택하여 먹는 기호식품의 양이 늘어남에 따라 청량음료, 가공식품, 편의식품에 지나친 의존 등 영양섭취 불균형이 두드러지는 경우가 많다.
청소년기의 아침식사가 제공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영양섭취는 아침, 점심, 저녁식사와 간식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특히 청소년의 경우는 아침식사를 통한 영양섭취가 효과적인 학업 및 원활한 신체활동에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Bae AY 2009). 청소년기의 아침식사는 하루의 일과를 시작하는 기본 에너지원을 제공하며, 이로 인해 섭취 흡수된 포도당은 뇌신경세포 활동의 주 에너지원으로 작용하여 학업의 스트레스와 신체 활동이 왕성한 청소년들에게 중요한 영양소를 제공한다(Gu 등 2000). 아침식사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이미 우리나라뿐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다.
우리나라에서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문제점은? 청소년기는 소아에서 성인으로의 이행기로서, 이 시기의 균형 잡힌 영양 공급은 신체 및 정서적 성장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우리나라 청소년의 경우, 과중한 학업과 입시에 대한 부담으로 식생활이 불규칙하여 폭식과 결식이 많고, 자신이 선택하여 먹는 기호식품의 양이 늘어남에 따라 청량음료, 가공식품, 편의식품에 지나친 의존 등 영양섭취 불균형이 두드러지는 경우가 많다. 그로 인하여 남녀 학생 모두 결식률이 높고, 편의식품 선호로 영양의 불균형을 가져오며, 동물성 지방 및 단백질의 섭취 편중으로 비만, 불량한 식습관이 유발된다. 아동 및 청소년기의 잘못된 식습관은 쉽게 교정되기 어렵기 때문에, 가정과 학교에서 영양교육을 통해 올바른 식습관의 형성을 돕고, 영양적으로 균형 잡힌 식생활을 실천이 필요하다(Mo 등 199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ae AY. 2009. Relationship between schoolworks abd breakfast intake of middle school students. MS Thesis, DongA Unin. Busan. Korea 

  2. Bae JE. 2012.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attitude about reducing leftover food at school food servic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ome area of Chungnam. MS Thesis, Kongju Natl. Univ. Yesan. Korea 

  3. Chin KH. 2013. A study on middle school student's foodservice satisfaction and related factors in Seoul area. MS Thesis, Gachon Univ. Seoul. Korea 

  4. Cho EA. 2010. A study on the snack consumption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ocused on Siheung-si, Gyeounggi-do. MS Thesis, Sunchoen Natl. Univ. Sunchoen. Korea 

  5. Cho KS, Im BS, Kim SE, Kim GW. 2005. A survey on consumption behaviors of the fast-foods in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Human Ecol 14:313-319 

  6. Cho SU. 2010. Research on the dietary habits and satisfaction of school meals of high school students in the Chunnam area. MS Thesis, Kongju Natl. Univ. Yesan. Korea 

  7. Choe JS, Chun HK, Chung GJ, Nam HJ. 2003. Relations between the dietary habit and academic achievement, subjective health judgement, physical status of high school stud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627-635 

  8. Choi JY, Lee SS. 2009. Relation between dietary habit and nutrition knowledge, an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ider (ADHD)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n J Nutr 42:682-690 

  9. Derelian D. 1997. Breakfast the most important meal of the day. J Korean Dietetic Assoc 3:211-211 

  10. Farley MA, Smith PD, Mahoney AW, West DW, Post JR. 1987. Adult dietary characteristics affecting iron intake: A comparison based on iron density. J Am Dietetic Assoc 87:184-189 

  11. Gu JO, Shin DM, Kim JY, Kim SK. 2000. Biochemical nitritional status of serum lipid, protein, and blood glucose in school children. Fall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Nutrition. pp.67-67 

  12. Ha JS. 1994. Eating behavior's effect on health condition and a degree of study accomplishment. MS Thesis, Hanyang Univ. Seoul. Korea 

  13. Jeon JH. 2009. The association of dietary habits with self-regulared learning ability and acadmic achievement in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repeaters. MS Thesis, Kyunghee Univ. Seoul. Korea 

  14. Ju MO. 2012. A survey on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breakfast behavior on Ulsan area. MS Thesis, Kyungnam Univ. Changwon. Korea 

  15. Jung WJ. 2008. A survey o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and preference for school meals focused on the Daegu area. MS Thesis, Yeungnam Univ. Daegu. Korea 

  16. Kang KM. 2009. A thesis substted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MS Thesis, Jeju Natl. Univ. Jeju. Korea 

  17. Kim HJ. 2007. According to the numbe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ating breakfast intake, nutrition knowledge, and school meals satisfaction study. MS Thesis, Kosin Univ. Busan. Korea 

  18. Kim HJ. 2009.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intake state of milk, along with satisfaction degree about school milk servic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MS Thesis, Kyungwon Univ. Seoul. Korea 

  19. Kim HJ. 2012. The effects of school food service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dietary lif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ome area of Chungnam. MS Thesis, Kongju Natl. Univ. Yesan. Korea 

  20. Kim HS. 2009. A survey study on protein foods intake frequency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in high school students. MS Thesis, Korea Natl. Univ. Edu. Seoul. Korea 

  21. Kim HY. 2013. A study of eating habits comparativ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ome urban and rural. MS Thesis, Kongju Natl. Univ. Yesan. Korea 

  22. Kim YJ. 2000. Comparisons of food preference, food habit and dietary attitude of children receiving school food service at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in nam Jeju gun region. MS Thesis, Daegu Univ. Daegu. Korea 

  23. Lee OJ. 2011. A study on the dietary habits and satisfaction on the food servic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gi-do area. MS Thesis, Inha Univ. Inchoen. Korea 

  24. Mo SM, Kim JH, Kim BH, Kim HK, Son SM, Choi HM. 1993. A study on food ecology according to obesity index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a high socioeconomic apartment complex in Seoul. Korean J Food Culture 8:275-287 

  25. Moon SS, Lee YS. 2009. Comparison of dietary habits, exercise, recognized body shapes and weight control between obesity and underweight of adolescents. Korean J Human Ecology 18:1337-1348 

  26. Nicklas TA, Bao W, Webber LS, Berenson GS. 1993. Breakfast consumption affects adequacy of total daily intake in children. J Am Diet Assoc 93:886-891 

  27. Park KM. 2009.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eating behaviors for breakfast abd snack in Seoul. MS Thesis, Konkuk Univ. Seoul. Korea 

  28. Park MH. 2008.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fast-food preference to dietary behavior in rural students. MS Thesis, Kangwon Natl. Univ. Chunchoen. Korea 

  29. Park YK. 2006. A study in feeling of satisfaction on school food system of high school students. MS Thesis, Nambu Univ. Gwangju. Korea 

  30. Seo MH. 2009. The study on male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 eating habits and preferences for snacks. MS Thesis, Kunkuk Univ. Seoul. Korea 

  31. Son DM. 2010. Effects of dietary habits and food service satisfaction according to breakfast skipp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Chungnam area. MS Thesis, Kongju Natl. Univ. Yesan. Korea 

  32. Song YM. 2007. Snacking pattern and it's related factor specially with smoking behaviour of high school students in Chungnam & Daejeon area. MS Thesis, Chungnam Natl. Univ. Daejeon. Korea 

  33. WHO Recommended Definition of Obesity. 2000. Technical Report 894. Geneva, WHO 

  34. Yong HY. 2002. A study on the satisfaction level and food preference on school lunch focused on elementary school in Seoul. MS Thesis, Seoul Natl. Univ. Edu. Seoul.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