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중년여성의 식습관이 인지된 건강관련 체력에 미치는 영향 -창원지역을 중심으로-
The Impacts of Dietary Habits on Self-perceived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in Middle-aged Women -Focused on Changwon Provinc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6, 2014년, pp.916 - 925  

이혜진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경혜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45~60세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인지된 건강관련 체력 수준에 따라 대상자를 분류하여 그룹 간에 식습관 및 생활습관을 비교하고, 식습관이 인지된 건강관련 체력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사 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48.5세로 인지된 건강관련 체력 수준이 '높음' 군의 제지방량이 유의적으로 더 많았다(P<0.05). 혈중지질성분 중에서는 중성지방만이 체력 수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는데, 인지된 건강관련 체력 수준이 '낮음' 군에서 유의적으로 더 높았다(P<0.05). 생활습관 특성을 분석한 결과 인지된 건강관련 체력 수준이 '높음' 군에서 활력 수준(P<0.001), 주관적인 건강상태(P<0.001), 정기적인 건강검진 여부(P<0.05), 규칙적인 운동 실천(P<0.05) 항목 모두 유의적으로 높았다. 평상시 식습관에 있어서도 인지된 건강관련 체력 수준이 '높음' 군의 식습관 평균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개별 항목에서도 '일정한 식사 시간(P<0.05)', '일정한 식사량(P<0.05)', '식사 시 즐거움(P<0.01)', '단백질 섭취 빈도(P<0.05)', '채소 섭취 빈도(P<0.01)', '식욕', '적정한 에너지 섭취(P<0.05)' 항목의 점수가 인지된 건강관련 체력 수준이 '높음' 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또한 식습관은 교란 인자를 보정한 회귀분석 결과에서도 인지된 건강관련 체력과 유의적인 양의 상관성(P<0.001)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평상시 바람직한 식습관이 인지된 건강관련 체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중년 여성의 체력 향상을 위해 건강한 식습관의 실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를 위해 중년 여성의 식생활에 관심을 갖고 올바른 식생활을 실천할 수 있도록 관련 프로그램과 교육의 기회가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식습관이 인지된 건강관련 체력과 유의적인 관계가 있다는 결과는 그 자체로 의미가 있다고 생각되나 18개 식습관 문항의 평균점수를 독립변수로 처리하여 회귀분석 하였으므로 개별 식습관이 체력수준에 미치는 영향은 보지 못한 연구의 한계점이 있어 추후 분석이 더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dietary and lifestyle habits in middle-aged women based on their self-perceived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SPF) level as well as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and lifestyle habits on SPF. The study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High' gro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45~60세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인지된 건강관련 체력 수준에 따라 대상자를 분류하여 식습관 및 생활습관을 비교하고, 체력의 결정요인들 가운데 식습관이 인지된 건강관련 체력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중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인지된 건강관련 체력 수준에 따라 대상자를 분류하여 이에 따른 식습관 및 생활습관에 차이가 있는지 평가하고, 식습관이 인지된 건강관련 체력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인지된 건강관련 체력 수준에 따라 식습관과 일부 생활습관에 차이가 있었으며, 이들 간에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40대 이후 중년기에 건강을 유지하고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서 무엇을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인가? 40대 이후 중년기에 접어들면서 노화의 한 과정으로 급격한 체력 저하를 경험하게 되는데, 건강을 유지하고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근력,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유연성 등의 건강관련 체력요소를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1). 특히 여성의 경우 남성에 비해 선천적인 근골격계 수준이 낮고 연령 증가에 따른 소멸 비율도 크기 때문에 체력 관리가 더욱 중요하다(2).
체력의 정의는 무엇인가? 특히 여성의 경우 남성에 비해 선천적인 근골격계 수준이 낮고 연령 증가에 따른 소멸 비율도 크기 때문에 체력 관리가 더욱 중요하다(2). 체력의 개념은 학자들의 견해, 사회문화적인 배경과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는데 여러 가지 체력의 개념을 종합해 보면, 체력이란 인간이 생명을 유지하고 활동하는 데에 기초가 되는 모든 능력의 총화로 정의할 수 있다(3). 체력은 운동 수행 능력의 향상을 유도하는 운동관련 체력과 건강한 생활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심폐지구력,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등의 건강관련 체력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4,5), 최근 비만, 동맥경화, 심장병, 당뇨병 등과 같은 만성질환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면서 운동관련 체력보다 건강관련 체력이 강조되는 추세가 확산되고 있다.
자신의 인지된 건강관련 체력 수준의 평가는 객관적인 체력을 평가하는데 신뢰할 수 있는 지표이며, 특히 시간적, 경제적, 공간적인 측면에서 경제적인 자료로 활용가치가 높다고 볼 수 있는 근거는? 건강관련 체력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전문기관을 방문하여 정밀한 측정 장비를 이용하여 생리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이 신뢰성이 높겠지만 체력 평가 과정에 대한 시간적, 경제적 부담 등의 여러 가지 제한점이 뒤따르게 되면서 인지된 건강관련 체력 수준을 평가하는 방법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9). 인지된 건강관련 체력 수준이란 스스로 추정되는 자신의 체력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로 실제 체력 수준과 반드시 일치한다고 볼 수는 없지만 여러 선행연구들을 통해 실제 건강관련 체력 수준을 충분히 반영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0,11). 인지된 건강관련 체력은 실제 객관적인 체력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건강관련 체력의 세부 구성 요소인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에 대한 인지된 수준과 객관적인 측정 간에도 높은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10,12).즉 자신의 인지된 건강관련 체력 수준의 평가는 객관적인 체력을 평가하는데 신뢰할 수 있는 지표이며, 특히 시간적, 경제적, 공간적인 측면에서 경제적인 자료로 활용가치가 높다고 볼 수 있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Kim JH, Jin YS, Park JT, Jee YS, Kim KS, Lee H, Bae KT. 1999.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related physical fitness and self-perceived health status. J Korean Soc Health Educ Promot 16: 83-100. 

  2.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1. The survey of national physical fitness.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Seoul, Korea. p 189. 

  3. Pate RR. 1988. The evolving definition of physical fitness. Quest 40: 174-179. 

  4. Bouchard C, Shephard RJ. 1994. Physical activity, fitness, and health: the model and key concepts. In Physical Activity, Fitness, and Health: International Proceedings and Consensus Statement. Bouchard C, Shephard RJ, Stephens T, eds. Human Kinetics Publishers, Champaign, IL, USA. p 77-88. 

  5. Caspersen CJ, Powell KE, Christenson GM. 1985. Physical activity, exercise, and physical fitness: definitions and distinctions for health-related research. Public Health Rep 100:126-131. 

  6. Blair SN, Kohl HW 3rd, Barlow CE, Paffenbarger RS Jr, Gibbons LW, Macera CA. 1995. Changes in physical fitness and all-cause mortality. A prospective study of healthy and unhealthy men. JAMA 273: 1093-1098. 

  7. Blair SN, Kohl HW 3rd, Paffenbarger RS Jr, Clark DG, Cooper KH, Gibbons LW. 1989. Physical fitness and allcause mortality. A prospective study of healthy men and women. JAMA 262: 2395-2401. 

  8. Kim KE, Park WB, Oh MK, Kang EK, Lim JY, Yang EJ, Lim JY, Paik NJ. 2010. The effect of physical performance and physical activity on quality of life in old people: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n health and aging. J Korean Geriatr Soc 14: 212-220. 

  9. Bae YJ, Leem EJ, Lee DT. 2005.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perceived and actual health related fitness levels in college students. JKSSPE 44: 517-526. 

  10. Okano G, Miyake H, Mori M. 2003.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as a determinant of self-perceived health and fitness in middle-aged male employees. J Occup Health 45: 286-292. 

  11. Rahmani-Nia F, Damitchi A, Azizi M, Hoseini R. 2011. Associations between self-perceived and measured physical fitness of male college students. World Appl Sci J 14: 1331-1338. 

  12. Marsh HW, Redmayne RS. 1994. A multidimensional physical self-concept and its relations to multiple components of physical fitness. JSEP 16: 43-55. 

  13. Ferreira FS. 2013.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fitness and nutritional status in a Portuguese sample of school adolescents. J Obes Weight Loss Ther 3(5): 1-6. 

  14. Blair SN, Cheng Y, Holder JS. 2001. Is physical activity or physical fitness more important in defining health benefits? Med Sci Sports Exerc 33: 379-399. 

  15. Bae SH. 2007. Relations among health behaviors, health symptoms and physical fitness of people in the same community.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18: 211-222. 

  16. Lee HS, Lee JW, Kim JM, Chang N. 2010.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and excercise program on body composition and dietary intakes, blood lipid and physical fitness in obese women (2). Korean J Nutr 43: 260-272. 

  17. Lee HS, Lee JW, Chang NS, Kim JM. 2009.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and excercise program on body composition and dietary intakes, blood lipid and physical fitness in obese women. Korean J Nutr 42: 759-769. 

  18. Lee H, Lee KH, Kim E, Kim MJ, Hwang SM. 2012. The related factors influencing on self-rated health level of middle- aged women. Korean J Community Nutr 17: 290- 301. 

  19. Shin SY. 1998. A study on comparison between motivation and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medium and participation motivation in video conferencing system: Focused on adult education program. M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p 63-64. 

  20. Lim JY, Kim BH, Park JH, Lee SB, Paik NJ, Kim KW. 2007. The effect of age and gender in physical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in Korean elderly: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n health and aging. J Korean Acad Rehabil Med 31: 457-465. 

  21. Wray LA, Blaum CS. 2001. Explaining the role of sex on disability: a population-based study. Gerontologist 41:499-510. 

  22. Zamboni M, Turcato E, Santana H, Maggi S, Harris TB, Pietrobelli A, Heymsfield SB, Micciolo R, Bosello O. 1999.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performance in older women. J Am Geriatr Soc 47: 1403-1408. 

  23. Hoekstra T, Boreham CA, Murray LJ, Twisk JW. 2008. Associations between aerobic and muscular fitness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the northern Ireland young hearts study. J Phys Act Health 5: 815-829. 

  24. Chahar PS. 2013. Health related physical fitness as a predictor of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among healthy men. Euro J Sports Exerc Sci 2: 7-12. 

  25. Bovens AM, Van Baak MA, Vrenchen JG, Wijinen JA, Saris WH, Verstappen FT. 1993. Physical activity, fitness, and selected risk factors for CHD in active men and women. Med Sci Sports Exerc 25: 572-576. 

  26. Katzmarzyk PT, Gagnon J, Leon AS, Skinner JS, Wilmore JH, Rao DC, Bouchard C. 2001. Fitness, fatness, and estimated coronary heart disease risk: the heritage family study. Med Sci Sports Exerc 33: 585-590. 

  27. Ahn CS. 1993. A study on correlation among physical fitness, diet intakes and serum lipid in middle aged women. Korean J Food & Nutr 6: 255-267. 

  28. Lee SY, Sohn MS, Nam CM. 1995. Structural modeling of health concern, health practice and health status of Koreans. Korean J Prev Med 28: 187-205. 

  29. Ware Jr JE. 1976. Scales for measuring general health perceptions. Health Serv Res 11: 396-415. 

  30. Murray J, Dunn G, Tarnopolsky A. 1982. Self-assessment of health: an exploration of the effects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Psychol Med 12: 371-378. 

  31. Chang JY, Boo KC. 2007. Self-rated health status of Korean older people: An introduction for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ies. The Journal of Population Association of Korea 30:45-69. 

  32. Song YL, Nam EW. 2009. The influence of social capital and health behaviors on self-rated health in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6: 1-13. 

  33. Hampson SE, Goldberg LR, Vogt TM, Dubanoski JP. 2007. Mechanisms by which childhood personality traits influence adult health status: educational attainment and healthy behaviors. Health Psychol 26: 121-125. 

  34. Cheng YH, Chi I, Boey KW, Ko LS, Chou KL. 2002. Selfrated economic condition and the health of elderly persons in Hong Kong. Soc Sci Med 55: 1415-1424. 

  35. Lim BK. 2001.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and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in middle and high aged women.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16: 1139-1151. 

  36. Lee JC, Bae JJ. 2010. Effects of long-term exercise training intervention on health fitness, blood pressure and blood glucose in elderly people. Health & Sports Medicine 12: 55-65. 

  37. Kim YH, Jo JH. 2002.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pattern, dietary habit, body mass index and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Korean Journal of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Science 4: 63-81. 

  38. Rauramaa R, Tuomainen P, Vaisanen S, Rankinen T. 1995. Physical activity and health-related fitness in middle-aged men. Med Sci Sports Exerc 27: 707-712. 

  39. Ryan RM, Frederick C. 1997. On energy, personality, and health: subjective vitality as a dynamic reflection of wellbeing. J Pers 65: 529-565. 

  40. Sheldon KM, King L. 2001. Why positive psychology is necessary. Am Psychol 56: 216-217. 

  41. Ryan RM, Deci EL. 2000.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Am Psychol 55: 68-78. 

  42. Koo JO, Park S. 2012. Analysis of body composition, dietary behaviors and life style of 30-50 year old women living in Seoul. Korean J Community Nutr 17: 440-449. 

  43. Lee JE, Ahn Y, Lee J, Cha JH, Park C, Kim K. 2004. Evaluation of nutrient intake quality over 40 year-old people living in rural and suburban areas. Korean J Community Nutr 9: 491-500. 

  44. Park KM, Park JS. 2000. The relationships of blood pressure with dietary habit and level of physical fitness of middle aged male workers by age. The J of Korean Community Nursing 11: 105-116. 

  45. Lim HS, Lee JA, Jin HO. 2000. The evaluation of dietary diversity and nutrient intakes of Korean child-bearing women. Korean J of Human Ecology 3: 15-24. 

  46. Lee KM, Lee GG. 2003. The correlation between body composition and eating behaviors, activity behaviors, physical fitnes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th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9: 147-160. 

  47. Park JY. 2011. Influence of the life-habits on the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in middle school students. MS Thesis. Dankook University, Yongin, Korea. p 26-33. 

  48. Kim KH. 2010. Effects of the 12 weeks weight control program on improvement of BMI, nutrition knowledge, physical fitness and stress levels of adult obese women. Korean J Community Nutr 15: 73-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