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악과 실용음악 보컬 전공 대학생들의 주관적 음성평가 비교 예비연구
Preliminary Study for Comparison of Subjective Voice Evaluations among Vocal and Applied Music Major Students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6 no.2, 2014년, pp.37 - 45  

이다혜 (강남세브란스병원 음성언어의학연구소) ,  황영진 (루터대학교, 언어치료학과) ,  김재옥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언어치료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Korean Singing Voice Handicap Index (K-SVHI) was suitable for singers in other genres than vocal music to assess their vocal problems subjectively. Twenty six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vocal music and twenty six students majoring in applied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 성악과 실용음악 전공자를 대상으로 K-SVHI를 평가 비교하여 K-SVHI가 다른 장르의 가수들을 대상으로 음성 문제를 평가하기에 적합한지 파악하고자 한다.
  • 더불어 K-SVHI 를 하위영역으로 세분화하여 두 집단 간에 하위 영역별 차이를 비교하였다. 또한 노래를 전공으로 하는 대학생들은 노래 부르기 시에 자신의 음성문제에 더 민감할 수 있기 때문에 문단읽기와 함께 노래부를 때의 청지각적 평가를 실시하여 이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가수의 음성 문제를 평가하는 K-SVHI가 성악가에게 적합하다는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성악가 외에 다른 장르의 가수에게도 그들의 음성 문제를 주관적으로 평가하기에 적합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와 더불어 음성평가 시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문단읽기 외에 노래부르기 시의 청지각적 음성평가를 실시하여 이들 간의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으며, K-SVHI를 세 하위영역으로 분류하여 하위영역별로 다 른 장르의 가수들 간의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이러한 연구목적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성악 전공자 외에 다른 장르 특히 실용음악 보컬을 전공으로 하는 대상자, 그 중에서도 이 두 장르의 가수가 되기 위해 훈련받는 대학생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평가자가 청지각적으로 평가한 음질의 정도에 따라 이들이 주관적으로 느끼는 자신의 음성에 대한 평가가 어떻게 다른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K-SVHI가 다양한 장르의 가수들에게 적합한지 살펴보았다. 더불어 K-SVHI 를 하위영역으로 세분화하여 두 집단 간에 하위 영역별 차이를 비교하였다.
  • 본 연구는 가수의 음성 문제를 평가하는 K-SVHI가 성악가에게 적합하다는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성악가 외에 다른 장르의 가수에게도 그들의 음성 문제를 주관적으로 평가하기에 적합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와 더불어 음성평가 시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문단읽기 외에 노래부르기 시의 청지각적 음성평가를 실시하여 이들 간의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으며, K-SVHI를 세 하위영역으로 분류하여 하위영역별로 다 른 장르의 가수들 간의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성악 전공 대학생 26명, 실용음악 보컬 전공 대학생 26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실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관적 음성평가에는 무엇이 있는가? 주관적 음성평가에는 GRBAS(Hirano, 1981)[5]나 Consensus Auditory Perceptual Evaluation of Voice(CAPE-V; ASHA, 2004)[6]와 같이 평가자가 평가 대상자가 산출한 음성의 질적인 측면을 평가하는 청지각적 평가(auditory-perceptual evaluation)와 음성장애지수(Voice Handicap Index: VHI, Jacobson et al., 1997)[7], 음성과 관련 된 삶의 질 (Voice-Related Quality of Life: V-RQOL, Hogikyan & Sethuranman, 1999)[8], 아이오와 환자음성색인(Iowa Patient's Voice Index: IPVI, Karnell et al., 2006)[9] 등과 같이 음성장애 를 경험하는 대상자가 자신의 음성과 관련된 심리적인 측면을 평가하는 평가도구가 있다.
직업적 음성사용자란? 음성을 직업적으로 사용하는 사람을 직업적 음성사용자라고 한다(Irving, Epstein & Harries, 1997; Benninger et al., 1994)[3-4].
노래 부르는 것을 직업으로 삼고 있는 사람들이 일반인보다 자신의 목소리에 관심이 더 많은 이유는? 이들 중 특히 노래 부르는 것을 직업으로 삼고 있는 사람들은 일반인보다 자신의 목소리에 관심이 더 많다. 자신의 음성이 자기만족과 기쁨에서 그치지 않고 생계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들은 자신의 음성 상태에 예민하고, 이로 인해 음성 위생에 관한 지식이 풍부하며 음성 건강을 위해 여러 노력들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Lee, D. H. (2012). Comparison of subjective voice evaluations among vocal major students. Master Thesis, Kangnam University. (이다혜 (2012). 보컬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대상자 중심의 주관적 음성평가 비교. 강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 Lee, D. H., Hwang, Y. J., & Kim, J. O. (2012). Comparison of subjective voice evaluation among vocal major students. Proceedings of the 3rd Collaboration Conference on Korean Speech-Language and Hearing Association & Korean Academy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465-468. (이다혜.황영진.김재옥(2012). 보컬 전공 대학생들의 주관적 음성평가 비교. 제3회 한국언어치료학회.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465-468.) 

  3. Irving, R. M., Epstein R, & Harries M. L. L. (1997). Care of the professional voice. Clinical Otolaryngology, Vol. 22, No. 3, 202-205. 

  4. Benninger, M. S., Crumley, R. L., Ford, C. N., Gould, W. J., Hanson, D. G., Ossoff, R. H., & Sataloff, R. T. (1994). Evaluation and treatment of the unilateral paralyzed vocal fold,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Vol. 111, 497-508. 

  5. Hirano, M. (1981). Clinical examination of voice, New York: Springer-Verlag. 

  6. American Speech-Language-Hearing Association: consensus auditory-perceptual evaluation of voice (CAPE-V). Available at: www.asha.org/uploadedFiles/members/divs/D3CAPEVprocedures.pdf 

  7. Jacobson, B. H., Johnson, A., Grywalski, C., Silbergleit, A., Jacobson, G., Benninger, M. S., & Newman, C. W. (1997). The Voice Handicap Index (VHI): Development and Validation, American Journal of Speech Language Pathology, 6(3), 66-70. 

  8. Hogikyan, N. D., & Sethuraman, G. (1999). Validation of an instrument to measure voice-related quality of life(VRQOL), Jounal of Voice, 13(4), 557-567. 

  9. Karnell, M. P., Melton, S. D., Childes, J. M., Cileman, T. C., Dailey, S. A. & Hoffman, H. T. (2006). Reliability of Clinician-Based(GRBAS and CAPE-V) and Patient-Based (V-RQOL and IPVI) Documentation of Voice Disorders, Journal of Voice, 21, 576-590. 

  10. Cohen S. M., Jacobson B. H., Garrett C. G., Noordzij J. P., Stewart M. G., Attia A., Ossoff R. H., & Cleveland T. F. (2007). Creation and validation of the singing Voice Handicap Index, Ann Otol Rhinol Laryngol, Vol. 116, No. 6, 402-406. 

  11. Lee. A. R. (2008).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Korean Singing Voice Handicap Index (K-SVHI) for Vocalists. Ewha Womans University. (이아람(2008). 성악가를 위한 한국어 음성장애지수(K-SVHI)의 적용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언어병리학 협동과정 석사 학위논문.) 

  12. Nam, D. H., Kim, W. S., Yoo, H. G., & Choi, H. S. (2010). Comparison between Operatic Singing and Applied Music Sing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peech Sciences, Vol. 2, No. 4, 11-18. (남도현.김화숙.유현지.최홍식(2010). 성악발성과 실용음악 발성의 비교 연구, 말소리와 음성과학, 2(4), 11-18.) 

  13. Kim, H. H. (2005). Dysarthria Evaluation.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3-28. (김향희(2005). 마비말장애 평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언어장애 여름연수회. 23-28.) 

  14. Son. J. H. (2008). GRBAS and Voice Handicap Index,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ogopedics and Phoniatrics, No. 19(2), 89-95. (손진호(2008). GRBAS 음성평가와 음성장애지수,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19(2), 89-95.) 

  15. Park. H. S. (2007). An Acoustic Study of Phonation Types in Vowels Following Consonant Clusters in Korean. The Korean Society Of Phonetic Sciences And Speech Technology, No. 64, 53-76. (박한상(2007). 한국어 자음군의 후행모음에 나타난 발성유형의 음향음성학적 연구, 대한음성학회지: 말소리, 64, 53-76.) 

  16. Yun. Y. S., Kim, H. H., Son, Y. I., & Choi, H. S. (2008). Validation of the Korean Voice Handicap Index (K-VHI) and the Clinical Usefulness of Korean VHI-1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No. 13(2), 216-241. (윤영선, 김향희, 손영익, 최홍식 (2008). 한국어판 음성장애지수(Voice handicap index, VHI)의 타당도 및 VHI-10의 임상적 유용성, 언어청각장애연구, 13(2), 216-2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