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교사의 창의성 수업 어려움 분석
Early Childhood Teachers' Difficulties in Creativity Education 원문보기

水産海洋敎育硏究 =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v.26 no.3 = no.69, 2014년, pp.656 - 666  

황희숙 (부경대학교) ,  김빛내 (부경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arly childhood teachers' difficulties in creativity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 early childhood teachers. Data were collected from reflective journals and in depth interview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difficulties fall i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들의 창의성 교육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에 대해 심층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 먼저 유아교사에게 형성되어 있는 창의성의 개념은 실제로 창의성 교육 활동 실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아, 교사들이 창의성의 개념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유아 교사들이 창의성 수업 실천에서 겪는 내적·외적 요인들로 인한 어려움에 대하여 면담 및 반성적 저널을 분석을 통한 교사들의 인식과 경험을 탐색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에서 교사들은 유아들의 어린시기부터 경험한 기관에서의 통제 경험이 그들의 내적동기를 저해하게 됨으로써 유아의 자유롭고 개방적인 행동을 방해하고 자율적인 사고과정을 저해하며 이러한 반복되는 경험이 결국 창의성 교육을 방해하는 요소가 될 수 있음을 이야기하였다.
  •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유아 교사들이 창의성수업을 실천하는 과정에 있어서 겪게 되는 외적·내적 요인에 따른 어려움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유아교육현장에서 바람직한 유아 창의성 교육 실천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유아 교사들이 창의성수업을 실천하는 과정에 있어서 겪게 되는 외적·내적 요인에 따른 어려움을 살펴보았다.
  • 창의성 교육을 실시하기 위해 다양한 주제에 따른 재료들을 제공해 주는 것이 필요하지만 유아교육현장에서 교사가 가용할 수 있는 예산은 극히 적기 때문에 수업을 진행하기 어려움을 이야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창의성이란? 창의성이란 사회·문화적인 맥락과 상황 하에서 개인이 갖고 있는 창의적 사고 능력과 창의적 인성을 이용하여 새로움(originality)과 적절성(usefulness) 의 기준에 더한 결과물과 아이디어를 생성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Kim, 2012). 따라서 창의성은 개인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여 개인적인 삶의 질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국가발전에 중요한 원동력으로써 가장 높은 수준의 능력이며, 교육이 추구해야 할 가장 상위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유아기에서 창의성 교육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이 핋요한가? 반면 창의성에 대한 이해가 낮은 교사의 경우, 창의적인 학생들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창의적인 산출물을 증가시키기 위한 적절한 환경을 제공하지 못하였다(Dawson, 1997). 즉, 창의성 교육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창의성 교육을 담당하는 유아교사가 창의성 및 창의성 교육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교육과정과 목표를 설정하고, 그에 적합한 교수계획과 교수방법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유치원교육과정에서 부터 창의적 인간육성을 교육의 목적으로 하는 이유는? 특히 유아기는 창의성 교육에 매우 중요한 시기로서 창의성 발달은 유아기에 가장 민감하며 자율적이고 풍부한 환경에 의해 촉진될 수 있으므로 유아기는 창의성 개발의 최적의 시기라고 보고되고 있다(Gardner, 1993; Jeon, 2000; Moran, 1983; Park, 1998; Torrance, 196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mabile, T. M.(1983).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A consensual assessment techniqu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3(5), 997-1013 

  2. An Joung Souk(2008). A Study on the Realities of Creativit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he Reachers' Recognition of it, Kwangju University Master Thesis. 

  3. Byun Youn Hee & Hyun Eun Ja(2004). The Effects of an Arts Education Program Using Picture-Books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The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4(5), 311-335. 

  4. Cha Mi Jung(1990). The Effect of Creativity Training Programs and Teacher Training on Measures of Creative Behavior in Kindergarten Children, Sung Kyun Kwan University Master Thesis. 

  5. Cho Hee Yeon(2009). The Effects of Integrated Art Activities on Young Children'Creativity and Aesthetic Attitude, Dongkook University Master Thesis. 

  6. Choi Young A(1998). A Study on the Teacher's Role to Improve Children's Creativity, Seoul Women's University Master Thesis. 

  7. Cliatt, M. J. Shaw, J. M. & Sherwood, J. M.(1980). Effects of training on the divergent-thinking abilities of kindergarten children. Child Development, 51, 1061-1064. 

  8. Clopley, A. J.(2001). Creativity in education & learning: A guide for teacher and educators, London: Kogan Page. 

  9. Csilszentmihalyi, M.(1987). Society, culture, and person: a systems view of creativity. In R. J. Sternberg (ed.), The Nature of Creativity(pp. 125-148), Cambridge: M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Csilszentmihalyi, M.(1999). Implication if a systems perspective for the study of creative. In R. J. Sternberg(Ed.), The nature of creativity(pp.313-335),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Dawson, V.(1997). In search of the wild bohemian: Challenges in the identification of the creatively gifted, Roeper Review, 19(3), 148-152. 

  12. Denzin, Norman K., & Lincoln, Y. S.(1994).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Sage Publications, Inc. 

  13. Feist, G. J.(1999). The Influence of personality on artistic and scientific creativity, In R. J. Sternberg (Ed.), Handbook of creativity(pp. 273-296).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 Gardner, H.(1993). Creating minds. New York: Basic Books. 

  15. Guilford, J. P.(1959). Traits of creativity. In H. H. Anderson (Ed.), Creativity and its cultivation (pp.142-161). New York: Harper & Row. 

  16. Jeon Kyong Won(2000). Creology. Seoul: Hakmunsa. 

  17. Jun Il Woo. Kim Young Sook. Lee Hye Won & Hwang Yoon Se(2008). Effects of Integrated Science Activity with Picture Book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The Journal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7(1), 1-20. 

  18. Kim Ho & Noh Young Hee(2007). A Study of Investigating the Child and Teacher Variables That Promote the Creativity of Young Children,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2(4), 255-278. 

  19. Kim Ho(2007). A Multilevel Data Analysis of the Variables of Teacher and Young Children Related to the Young Children's Creativity.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Doctoral Dissertation. 

  20. Kim Ho(2012).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tion on Creativity Education and Reality of Creativit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Journal of Education 32(1), 109-129. 

  21. Kim Hyun Soo & Cho Soo Hyun(2012). The Effects of the Arts-Centered Integrated Arts and Cultural Education on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Sociability in Preschoolers, The Journal of Korean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7(6), 145-173. 

  22. Kim Min Sung(2009). The Effects of Creative Integrated Activities Using Fairy Tales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Kyungwon University Master Thesis. 

  23. Kim Young Chun(2006).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Seoul: Moonumsa. 

  24. Kwon Yun Kyoung(2004). An Analysis of the Teacher's Role in Improving Children's Creativity, Soongsil University Master Thesis. 

  25. Lee Hwa Do(2009). Cognitive Development for Young Children, Seoul: Changjisa. 

  26. Lee Ji Yeun(2012). A Longitudinal Study of the Effects of Creativity Educational Program for Preschooler,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21(2), 247-266. 

  27. Lee Kyoung Yeon(1999). A study on Teachers' Perception for Creativity Development Education of Kindergarten, Kwandong University Master Thesis. 

  28. Mark, A. R. & Robert, S. A(1990). Theories of creativity, Newburry Park, CA: Sage Pub. 

  29. Moon Mi Ok & Lee Yong Joo(2000). A Study of Teacher's Role in Facilitating Children's Creativity, The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0(2), 223-242. 

  30. Moran, J. D. , Milgram., Sawyers, J. K. & Fu, V. R. (1983). Original thinking in preschool children, Child Development, 54, 921-926. 

  31. Paik, Young Sook(2005). The Dynamic Assessment Based Research on the Creativity Variations of a Kindergarten Teacher in the Curriculum and Instruction, Chung-Ang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32. Park Soon Dug(1998). The Effects of Problem Solving Activities through the Fairy Tales of Legend on the Creativity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Soonchunhyang University Master Thesis. 

  33. Park Sun Mi & Yoo Soo Kyung(2008). An Analysis of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of Children's Creativity Employing Q-methodological Approach, The Journal of Child Studies, 29(4), 231-248. 

  34. Smith, D. E.(1989). The social and emotional functioning of creative preschoolers, Tennessee Univers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35. Song Mi Jung & Kim Ho(2010).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 and Actual Conditions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Education, The Journal of Children's Media, 9(2), 161-185. 

  36. Song Yun Ja & Lee Yun Oug(2004). The Effects of a Right Brain Creativity Program and a Whole Brain Creativity Program on the Creativity of Young Children, The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4(6), 5-26. 

  37. Sternberg, R. J. & Lubart, T. I.(1991). An investment theory of creativity and it's development, Human Development, 49(3), 607-627. 

  38. Torrance, E. P. (1968). A longitudinal examination of the fourth-grade slump in creativity, Gifted Child Quarterly, 12, 195-199. 

  39. Torrance, E. P.(1962). Guiding creative talent,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40. Woodman, R. W. & Schoenfeldt, L. F.(1990). Are children becoming more creativity?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20(1), 1-13. 

  41. Yang Yun Jeong(2003).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Teachers' Role in Improving Children's Creativity, Paichai University Master Thesi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