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소기업 종사자들의 안전분위기 인지도와 안전참여의 관계 및 안전동기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afety climate and safety participa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afety motivation in small business employee 원문보기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v.16 no.2, 2014년, pp.91 - 99  

안관영 (상지대학교 경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reviewed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climate(management commitment, safety education, preventive activity) and safety participa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afety motivation(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in small business employee. Based on the responses from 270 employe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시된 안전분위기(경영층몰입, 안전교육, 안전예방활동), 안전동기, 안전참여를 측정하기 위한 각 변수에 대한 조작적 정의와 측정은 선행연구에서 검증된 문항을 우리 실정에 맞도록 보완하였다. 변수구성을 문항의 추출은 요인분석과 신뢰도검사를 거침으로서 판별타당성과 신뢰성을 유지하고자 하였다.
  • 이들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안전분위기는 안전성과의 선행변수로서 안전동기를 경유하여 안전순응(safety compliance)이나 안전참여(safety participation)에 영향을 미치며, 부분적으로는 직접적으로 안전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안전참여만을 최종 안전성과로 제시하고 안전순응은 연구에서 제외하고자 하였다. 왜냐하면 안전참여가 비교적 자발적인 활동인데 반하여 순응은 지시적인 활동이기 때문이다(안관영,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안전분위기와 안전동기의 관계(가설 1), 안전분위기와 안전참여의 관계(가설 2), 그리고 안전동기와 안전참여의 관계(가설 3)를 검증하고, 또한 안전동기가 안전분위기와 안전참여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라는 가설 4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가설들의 검증을 위해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 그리고 많은 사고가 작업자들의 교육이나 안전관련 조직관리가 적절하게 이루어질 때 사고 예방의 효과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중소기업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안전분위기, 작업자의 안전동기, 안전참여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실시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 : 안전분위기와 안전동기는 정(+)의 관계를 가질 것이다.
  • 가설 2 : 안전분위기는 안전참여와 정(+)의 관계를 가질 것이다.
  • 가설 3 : 안전동기는 안전참여와 정(+)의 관계가 있을 것이다.
  • 가설 4 : 안전동기는 안전분위기와 안전참여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 내재적 동기의 매개효과 검증방식을 외재적 동기에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경영층 몰입은 위의 매개효과 판정기준을 모두 충족하여 외재적 동기는 경영층몰입과 안전참여를 매개하며 가설 4를 채택하였다. 그러나 안전교육과 안전예방활동은 첫 번째 판정기준(독립변수는 매개변수에 유의적 영향을 미쳐야 한다)을 충족하지 못하여 가설을 기각하였다.
  • 경영층 몰입은 위의 매개효과 판정기준을 모두 충족하여 외재적 동기는 경영층몰입과 안전참여를 매개하며 가설 4를 채택하였다. 그러나 안전교육과 안전예방활동은 첫 번째 판정기준(독립변수는 매개변수에 유의적 영향을 미쳐야 한다)을 충족하지 못하여 가설을 기각하였다. 그리고 Alwin & Hauser(1975)의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경영층몰입이 안전참여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
  • Griffin과 Neal(2000)은 안전 분위기와 안전행동의 정적인 관계에 대해 두 가지 설명을 제시하였는데, 첫째로 사회교환이론에 따르면 작업자들이 조직이 그들의 복지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느끼면 조직에 이익이 되는 행동을 수행함으로써 그에 보답하려 한다는 것이다. 둘째로 기대 이론에 따르면 안전절차를 따르고 안전 활동에 참여하는 것이 가치 있는 결과를 이끈다고 작업자들이 믿는다면 그들은 그러한 행동을 하도록 동기부여 될 것이라고 설명하였다. Payne 등(2009)도 안전 분위기는 안전지식과 안전 동기에 영향을 미치고, 다시 이것들은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업재해를 산업화과정에서 불가피하게 초래되는 부산물로 단정하기 어려운 이유는? 산업재해는 산업화과정에서 초래되는 부산물이라고 말할 수도 있다. 그러나 재해발생의 요인 중 불안전한 행동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재해가 대다수를 차지하는 반면에 불안전한 환경이나 상태로 발생되는 재해는 오히려 소수에 불과하다. 이러한 사실에 비추어 산업재해를 산업화과정에서 불가피하게 초래되는 부산물로 단정하기는 어렵다.
동기란? 동기란 행동을 강요하는 개인 내면의 추진력으로서 개인이 어떤 목적을 위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행동을 이끌려는 내적인 심리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동기가 부여된 사람은 그렇지 못한 사람보다 더 열심히 일하며 더 좋은 낼 것이라는 것이다(백기복, 2011).
안전순응이란? Neal & Griffin(2006)은 안전행동을 안전순응과 안전참여로 구분하였다. 안전순응은 과업수행과 마찬가지로 직접적인 안전관련 활동으로 작업장의 안전을 유지하기 위한 행동으로써 표준 작업 절차의 준수, 개인 안전 장비의 착용 등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근로자들이 자발적으로 제반 비행 절차와 규정을 준수하여 정해진 규칙과 절차대로 작업하는 것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김완일.안관영(2013), "The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and psychological stress response on accident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stress response", J. of Korea Safety Management Science, 15(1), pp. 41-49. 

  2. 백기복(2011), Organizational Behavior, Chang-min Pub. Corporation. 

  3. Korea Safety and Health Agency(2013), Industrial Accidents Analysis of the year 2012. 

  4. 안관영(2003), "The relationship among safety motivation, antecedents and employee safety participation in SME", Asia Pacific Journal of Small Business. 25(4), 155-179. 

  5. 안관영(2012), "Applying psychosocial approach in industrial safety research", J. of Korea Safety Management Science, 14(4), pp. 13-21. 

  6. 안관영.박노국(2005), "Applying Neal, Griffin, and Hart's Safety Climate Model to the field", J. of Korea Safety Management Science, 7(5), pp. 107-117. 

  7. 오순애(2000), New motivational types between extrinsic and intrinsic motivations, Ehwa University Master dissertation. 

  8. Alwin, D. F., and Hauser, R. M.(1975), "The decomposition of effects in path analysi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0. 37-47. 

  9. Baron, R. M. & D. A. Kenny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y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pp. 1173-1182. 

  10. Chen, C. F., & Chen, S. C.(2014), "Measuring the effects of Safety Management System practices, morality leadership and self-efficacy on pilots′safety behaviors: Safety motivation as a mediator", Safety Science, vol. 62, 376-385. 

  11. Flin, R., Mearns, K., O'Connor, P., and Bryden, R.(2000), "Measuring safety climate: identifying common features", Safety Science, vol. 34, pp. 177-192. 

  12. Gillen, M., Baltz, D., Gassel, M., Kirsch, L., and Vaccaro, D.(2002), "Perceived safety climate, job demands, and coworker support among union and nonunion injured construction workers", Journal of Safety Research, vol. 33, pp. 33-51. 

  13. Griffin, M. A., and Neal, A.(2000), "Perceptions of safety at work: A framework for linking safety climate to safety performance, knowledge, and motiv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5(3), pp. 347-358. 

  14. Hackman, J.R.,& G.R. Oldham(1980), Work redesign, MASS: Addison-Wesley Pub. Co.. 

  15. Neal, A., Griffin, M. A., and Hart, P. M.(2000),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climate on safety climate and individual behavior", Safety Science, vol. 34, pp. 99-109. 

  16. Neal, A., and Griffin, M. A.(2006), "A study of the lagged relationships among safety climate, safety motivation, safety behavior, and accidents at the individual and group level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1(4), 946-953. 

  17. Payne, S. C., M. Bergman, J. M. Beus, J. M. Rodriguez, and J. B. Henning(2009), "Safety climate: Leading or lagging indicator of safety outcomes?", Journal of Loss Prevention in the Process Industries 22(2009), 735-739. 

  18. Price, J. L., and C. W. Mueller(1986), "Absenteeism and turnover of hospital employees," Monographs in Organizational Behavior and Industrial Relations, 5, JAI Press Inc. 

  19. Steers, R. M., Mowday, R. T., and Shapiro, D. L.(2004), "The future of work motivation theory",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29, 379-387. 

  20. Van Dyne, L., Graham, J. W., & Dienesch, R. M.(1994),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Construct redefinition, measurement, and valid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7, pp. 765-802. 

  21. Varonen, U, and Mattila, M.(2000), "The safety climate and its relationship to safety practice, safety of the work environment and occupational accidents in eight wood-processing companie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 32, pp. 761-769. 

  22. Zohar, D.(1980), "Safety Climate in Industrial Organizations: Theoretical and Applied Implicati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65, no. 1, pp. 96-1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