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7대 광역시 산림 연결성 비교 분석
Comparing Connectivity in Forest Networks of Seven Metropolitan Cities of South Korea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16 no.2, 2014년, pp.93 - 102  

강완모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  김지원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  박찬열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  성주한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그래프 이론을 적용하여 7대 광역시의 산림 연결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다중공간규모의 전파 거리(100m~20km)에서 광역시별 산림 연결망의 전체 연결성을 평가하고, 소규모 산림(<10ha)이 연결성에 기여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대구와 대전, 울산은 연결성이 높은 상위지역으로, 광주와 부산, 서울, 인천은 연결성이 낮은 하위지역으로 크게 양분화 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소규모 산림들은 면적이 큰 산림들을 연결시키는 징검다리로서 특히 하위지역의 연결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생물 다양성에 중요한 연결성 보전을 위해서 상위지역에서는 잘 연결된 대규모 산림지역을 주요 거점으로 보전해야 한다. 하위지역에서는 우선적으로 연결성 유지에 중요한 소규모 산림들의 보전이 필요하다. 또한 연결성이 취약한 곳에 새로운 산림녹지를 조성해주는 전략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quantitative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connectivity of forest networks in seven metropolitan cities of South Korea using a graph-theoretical approach. We first estimated an overall network connectivity at multi-scales (i.e., dispersal distances), ranging from 100 m to 20 km, and quantified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소규모 산림들이 전체 연결망에서 차지하는 연결성 중요도를 다중규모(multi-scale)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광역도시별 산림 연결성 정도를 비교하면서 연결성이 크게 변화하는 중요 임계규모를 도출하고, 소규모 산림들을 통한 연결 경로의 중요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분석 대상 범위인 임계거리 20 km 내에서 연결성 지수들을 도출하고, 소규모 산림들의 연결성 기여도를 평가하였다. 임계거리 3km 내에서는 100m 단위로, 3km 이상에서는 1km 단위로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2). 산림조각 간 거리가 임계거리(또는 문턱거리; threshold distance)를 넘게 되면 두 조각 간에는 생물종의 이동이나 전파 등이 일어나지 않거나 드물게 일어나는 것으로 가정한다.
  • 연결성 확률 지수를 산정할 때는 음(−)의 지수 분포의 전파 거리 확률을 가정하고, 각 임계거리에서 산림조각 간 전파 확률(p)은 0.05를 적용하였다(Urban and Keitt, 2001).
  • 통합 연결성 지수(IIC)는 서식지 조각 간 거리가 임의의 임계거리 내에 있으면 연결이 된 것으로 가정하고, 산림조각 간 최단거리로 연결되는 경로에서 연결선의 수와 산림 면적, 전체 경관의 면적 크기에 의해 계산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결성이 낮은 하위 지역에서 소규모 산림의 중요도가 높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주목할 점은 연결성이 낮은 하위 지역에서 소규모 산림의 중요도가 높았다. 즉, 연결성 하위지역의 소규모 산림들이 연결망에서 차지하는 역할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결성이 가장 낮은 인천의 경우, 소규모 산림이 없어졌을 경우 400m 임계거리에서 본래 연결망이 가지는 연결성의 최대 40%, 1.
소규모 산림의 역할은? 연구결과, 대구와 대전, 울산은 연결성이 높은 상위지역으로, 광주와 부산, 서울, 인천은 연결성이 낮은 하위지역으로 크게 양분화 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소규모 산림들은 면적이 큰 산림들을 연결시키는 징검다리로서 특히 하위지역의 연결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생물 다양성에 중요한 연결성 보전을 위해서 상위지역에서는 잘 연결된 대규모 산림지역을 주요 거점으로 보전해야 한다.
도시 내부에서 잔존 서식지 훼손의 원인은? 인구집중으로 인한 도시팽창이 생물다양성 보전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McKinney, 2002; 2006). 도시 내부에서는 인간의 이용과 간섭의 증가로 잔존 서식지(remnant habitats)의 훼손이 빈번히 일어난다. 이와 함께 도시 근교에서의 지나친 택지개발과 도로건설 등의 무분별한 시가지 확산은 도시 주변에 분포하는 핵심 서식지들을 파편화하여 핵심 서식지들과 도시 내부 잔존 서식지와의 생태적 연결을 단절시킨다(Hilty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ndren, H., 1994: Effects of habitat fragmentation on birds and mammals in landscapes with different proportions of suitable habitat: A review. Oikos 71, 355-366. 

  2. Belisle, M., 2005: Measuring landscape connectivity: The challenge of behavioral landscape ecology. Ecology 86, 1988-1995. 

  3. Bennett, A. F., 2003: Linkages in the landscape: The role of corridors and connectivity in wildlife conservation. World Conservation Union, Gland, Switzerland, and Cambridge, United Kingdom, 254pp. 

  4. Bolund, P., and S. Hunhammar, 1999: Ecosystem services in urban areas. Ecological Economics 29(2), 293-301. 

  5. Cain, M. L., B. G. Milligan, and A. E. Strand, 2000: Longdistance seed dispersal in plant populations. American Journal of Botany 87(9), 1217-1227. 

  6. Chae, J. H., J. S. Kim, and T. H. Koo, 2004: The relation of species number of bird to the urban biotope area in Seoul.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cology 17(4), 375-382. 

  7. Cheplick, G. P., 1998: Seed dispersal and seedling establishment in grass populations. Population biology of grasses, G. P. Cheplick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84-105. 

  8. Clergeau, P., and F. Burel, 1997: The role of spatio-temporal patch connectivity at the landscape level: An example in a bird distribution.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38, 37-43. 

  9. Donnelly, R., and J. Marzluff, 2006: Relative importance of habitat quantity, structure, and spatial pattern to birds in urbanizing environments. Urban Ecosystems 9(2), 99-117. 

  10. Fahrig, L., 1998: When does fragmentation of breeding habitat affect population survival? Ecological Modelling 105, 273-292. 

  11. Hanski, I., 1999: Habitat connectivity, habitat continuity, and metapopulations in dynamic landscapes. Oikos 87(2), 209-219. 

  12. Hilty, J., W. Lidicker, A. Merenlender, and A. Dobson, 2006: Corridor ecology: The science and practice of linking landscapes for biodiversity conservation. Island Press, Washington, D.C., USA, 344pp. 

  13. Honnay, O., H. Jacquemyn, B. Bossuyt, and M. Hermy, 2005: Forest fragmentation effects on patch occupancy and population viability of herbaceous plant species. New Phytologist 166, 723-736. 

  14. Jeon, S. W., J. Y. Chun, H. C. Seong, W. K. Song, and J. H. Park, 2010: A study on the setting criteria and management area for the national ecological network.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3(5), 154-1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Jordano, P., C. Garcia, J. A. Godoy, and J. L. Garcia- Castano, 2007: Differential contribution of frugivores to complex seed dispersal pattern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104(9), 3278-3282. 

  16. Kang, W. M., and C. R. Park, 2011: Quantitative analysis of Seoul green space network with the application of graph theory.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cology 25(3), 412-4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Keitt, T. and D. Urban, 1997: Detecting critical scales in fragmented landscapes. Conservation Ecology 1(1), 4. 

  18. Kong, F., H. Yin, N. Nakagoshi, and Y. Zong, 2010: Urban green space network development for biodiversity conservation: Identification based on graph theory and gravity modeling.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95, 16-27. 

  19. Korea Forest Service, 2013: Alteration of master plan on urban forests for the realization of Forests of Urban, Urban of Forests. 81pp. (in Korean) 

  20. Laita, A., J. S. Kotiaho and M. Monkkonen, 2011: Graphtheoretic connectivity measures: What do they tell us about connectivity? Landscape Ecology 26(7), 951-967. 

  21. McKinney, M. L., 2002: Urbanization, biodiversity, and conservation. Bioscience 52(10), 883-890. 

  22. McKinney, M. L., 2006: Urbanization as a major cause of biotic homogenization. Biological Conservation 127(3), 247-260. 

  23. Miller, R.W., 1997: Urban forestry: Planning and managing urban greenspaces (2nd ed.). Prentice Hall, New York, 502pp. 

  24. Minor, E. and D. Urban, 2008: A graph-theory framework for evaluating landscape connectivity and conservation planning. Conservation Biology 22(2), 297-307. 

  25. Minor, E. and T. Lookingbill, 2010: A multiscale network analysis of protected-area connectivity for mammals in the United States. Conservation Biology 24(6), 1549-1558. 

  26. Nathan, R., 2001: Dispersal biogeography. Encyclopedia of biodiversity, S. A. Levin (Ed.), Academic Press, San Diego, 127-152. 

  27. Norberg, J. and G. S. Cumming, 2008: Complexity theory for a sustainable future. Columbia University Press, New York. 312pp. 

  28. Park C. R. and W. S. Lee, 2000: Relationship between species composition and area in breeding birds of urban woods in Seoul, Korea.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51(1), 29-36. 

  29. Pascual-Hortal, L. and S. Saura, 2006: Comparison and development of new graph-based landscape connectivity indices: Towards the prioritization of habitat patches and corridors for conservation. Landscape Ecology 21(7), 959-967. 

  30. Sauer, J. D., 1988: Plant migration: The dynamics of geographic patterning in seed plant speci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California, USA, 298pp. 

  31. Saura, S. and J. Torne, 2009: Short communication: Conefor Sensinode 2.2: A software package for quantifying the importance of habitat patches for landscape connectivity. Environmental Modelling and Software 24(1), 135-139. 

  32. Saura, S. and L. Pascual-Hortal, 2007: A new habitat availability index to integrate connectivity in landscape conservation planning: Comparison with existing indices and application to a case stud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83, 91-103. 

  33. Soule, M. E., 1986: Conservation biology: The science of scarcity and diversity. Sinauer Associates, Sunderland, Massachusetts, 584pp. 

  34. Sutherland, G., A. Harestad, K. Price and K. Lertzman, 2000: Scaling of natal dispersal distances in terrestrial birds and mammals. Conservation Ecology 4(1), 16. 

  35. Taylor, P. D., L. Fahrig, K. Henein and G. Merriam, 1993: Connectivity is a vital element of landscape structure. Oikos 68, 571-573. 

  36. Theobald, D. M., 2001: Topology revisited: Representing spatial rel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phical Information Science 15(8), 689-705. 

  37. Urban, D., E. Minor, E. Treml and R. Schick, 2009: Graph models of habitat mosaics. Ecological Letters 12(3), 260-273. 

  38. Urban, D., and T. Keitt, 2001: Landscape connectivity: A graph-theoretic perspective. Ecology 82, 1205-1218. 

  39. Yu, D., B. Xun. P. Shi, H. Shao and Y. Liu, 2012: Ecological restoration planning based on connectivity in an urban area. Ecological Engineering 46, 24-3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