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탄소 배출 시나리오를 통한 고등학생들의 탄소 순환에 대한 질량 보존의 개념 분석
An Analysis of High School Students' Conceptions of Conservation of Mass on Carbon Cycle through Carbon Emission Scenario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5 no.3, 2014년, pp.192 - 202  

서정욱 (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김형범 (퀘백대학교 몬트리올 캠퍼스 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탄소 순환 관련 탄소 배출 시나리오를 통해 고등학교 학생들의 질량 보존의 개념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총 76명의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이 참여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에게 2013년의 대기 중 이산화탄소 값이 2110년까지 ${\pm}15%$의 변화로 450 ppm와 340 ppm으로 점진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되는 두 개의 시나리오를 제시하였다. 시나리오에 따라 연구 참여자들에게 이산화탄소의 배출량 궤적을 그리게 한 후, 이를 설명하게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부분의 연구 참여자들은 탄소 배출 시나리오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량과 자연적 순수 제거량에 대한 질량 보존의 추론보다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앞으로도 계속해서 증가할 것이라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연구 참여자들이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서의 탄소 배출과 관련된 그래프들 즉, 산업혁명 이후 최근까지의 인위적 이산화탄소 배출량 그래프,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그래프, 평균 지구의 온도에 대한 그래프를 통해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계속해서 증가할 것이라는 패턴 매칭(pattern matching)을 생각하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igh school students' conception of conservation of mass through the scenario of carbon emission in terms of carbon cycle. Seventy six high school students of 11th grade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provided with two scenarios that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이 연구의 목적은 아직 연구되지 않았던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탄소의 질량 보존에 대한 정성적·정량적 연구 방법에 의한 개념연구를 통해, 올바른 기후변화 교육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 따라서 수업은 탄소 순환에 대한 개념과 질량 보존에 대한 관련 개념들을 포함하여 총 9차시 450분에 걸쳐 기후변화 단원을 학습하였다. 또한 고등학교 지구과학Ⅰ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탄소 순환에 대한 개념을 이산화탄소 배출 시나리오 검사지를 통해 탄소의 질량 보존 관점에서 학생들의 개념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와 관련된 탄소 배출 시나리오를 통해 고등학생의 지구시스템 관점에서의 탄소 순환 관련 질량 보존의 개념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부분의 연구 참여자는 단순히 화석연료 사용의 증가로 앞으로도 계속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증가할 것이며, 탄소 배출 시나리오에 맞는 이산화탄소 배출량과 자연적 순수 제거량에 대한 질량 보존의 추론보다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지금까지도 증가해 왔고 앞으로도 계속해서 증가할 것이라는 패턴 매칭을 주로 사용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먼저 연구 참여자들에게 1880년부터 2010년 사이의 탄소 배출에 따른 지구의 온도변화 그래프를 보여주고 이에 대해 설명을 하였다(Appendix 1). 본 연구에서 사용된 Appendix 1에 관한 읽기 자료는 Sterman (2008)이 이전 연구에서 고학력 졸업자들을 대상으로 탄소 배출 시나리오 검사지를 연구 참여자들에게 제시하기 전 사용하였던 IPCC 세번째 보고서(Houghton et al.
  • 이 연구에서는 이산화탄소 농도가 2010년부터 약 100년 후인 2110년에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450 ppm 과 340 ppm에서 안정화될 것이라는 시나리오를 통해 학생들의 탄소의 질량 보존에 대한 개념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450 ppm의 경우, 2010년 이후 자연에 의한 순수 제거량이 적어도 두 배가 될 것이라고 연구 참여자들이 생각하지 않는 한, 2110년 450 ppm에서 안정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이산화탄소의 배출량 값과 자연에 의한 순수 제거량의 값은 서로 일치하여야 한다.

가설 설정

  • 이 연구에서 사용된 검사지는 Sterman (2008)이 고학력 졸업자들을 대상으로 질량 균형(mass balance)에 대한 정신모형(mental model)을 알아보기 위해 사용한 검사지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즉 2100년에 지구의 탄소농도가 400 ppm에서 안정화된다는 가정 하에 탄소 배출량의 값과 자연적 순수 제거량의 값은 어떻게 변화될 것인지에 대한 Sterman (2008)의 탄소 배출 시나리오를 2110년 지구의 탄소 농도가 450 ppm과 340 ppm 두 개의 값에서 안정화된다는 시나리오로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이는 학생들이 탄소의 질량 보존과 관련하여 최근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기준으로 100년 후 450 ppm (최댓값)과 340 ppm (최솟값)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상호맥락을 전체적이면서도 함축적으로 이해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 학생 K: 대기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하다가 100년 후 450 ppm에서 안정화되려면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계속 증가하다가 일정하게 그래프 곡선을 그려야 안정화되지 않을까요? 그리고 자연적 순수 제거량도 어느 정도 감소해야 안정화될 것 같은데요.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스템 사고란? 특히 지구에서 복잡한 시스템의 특성을 갖는 탄소 순환은 시·공간적 측면에서 서로 관련 되는 요인들과 그 연계과정이 매우 복잡하며, Sterman and Sweeney (2002)는 지구의 탄소 순환을 복잡한 시스템으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시스템 사고는 다양한 개념들의 상호작용과 이들의 피드백 효과를 고려하여 전체의 시스템을 단일 개체로 인식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는 사고이며(McNamara, 1998), 이를 통해 탄소의 질량 보존과 관련하여 탄소 배출량 및 자연적 순수 제거량에 따른 구성요소들 간 상호맥락의 인과관계를 파악해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Ossimitz(2002)는 시스템 사고에 대한 핵심모델 중 하나로 저장과 흐름 다이어그램(stock-flow diagram)을 강조하였는데 이는 탄소 순환과 관련하여 탄소의 질량 보존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사고임을 제안한 바 있다(Moxnes and Saysel, 2009).
Ossimitz(2002)가 제안한 시스템 사고에 대한 핵심모델 중 탄소 순환과 관련하여 탄소의 질량 보존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사고로 강조한 것은 무엇인가? 이러한 시스템 사고는 다양한 개념들의 상호작용과 이들의 피드백 효과를 고려하여 전체의 시스템을 단일 개체로 인식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는 사고이며(McNamara, 1998), 이를 통해 탄소의 질량 보존과 관련하여 탄소 배출량 및 자연적 순수 제거량에 따른 구성요소들 간 상호맥락의 인과관계를 파악해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Ossimitz(2002)는 시스템 사고에 대한 핵심모델 중 하나로 저장과 흐름 다이어그램(stock-flow diagram)을 강조하였는데 이는 탄소 순환과 관련하여 탄소의 질량 보존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사고임을 제안한 바 있다(Moxnes and Saysel, 2009). 따라서 학생들의 탄소에 대한 질량 보존의 개념은 학생들의 탄소 순환에 대한 시스템 사고를 알아보는 데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학생들에게 탄소 순환을 가르치는 것이 가지는 의미는? 지질, 해양, 대기, 생물권에서의 물질과 에너지의 순환은 매우 복잡한 시스템과 피드백을 가진다(Houghton, 2004). 지구시스템의 관점에서 탄소가 어떻게 순환을 하는지와 탄소 배출에 관한 과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학습 주제는 학생들에게 학습될 필요가 있으며, 이는 최근의 기후변화 교육에 매우큰 의미를 가진다(Clark et al.,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oon, H.J., 2010, Climate change? who knows? a comparison of secondary students and pre-service teachers. Australi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5, 104-120. 

  2. Choi, B.G., Lee, H.S., Chu, B.S., Moon, B.K., So, Y.M., Lee, J.E., Lee, J.E., and Jo, M.A., 2011, Earth Science I. Chunjae Education, Seoul, Korea, 320 p. (in Korean) 

  3. Choi, S., Niyogi, D., Shepardson, D.P., and Charusombat, U., 2010, Do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 textbooks promot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conceptual development about climate change?: Textbooks' consideration of students? misconceptions. Bulletin of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91, 889-898. 

  4. Clark, J., Marks, J., Haden C., Bell, M., and Hungate B., 2012, The Carbon cycle game: A regionally relevant activity to introduce climate change. Journal of National Earth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28, 9-13. 

  5. Cohen, J., 1960, A coefficient of agreement for nominal scales.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20, 37-46. 

  6. Driver, R., Squires, A., Rushworth, P., and Wood-Robinson, V., 1994, Making sense of secondary science: Research into children's ideas. Routledge, London, UK, 224 p. 

  7. Fortner, R., 2001, Climate change in school: Where does it fit and how ready are we? Canadia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9, 82-98. 

  8. Houghton, J., 2004, Global warming: The complete brief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382 p. 

  9. Houghton, J., Ding, Y., Griggs, D., Noguer, M., van der Linden, P.J., Dai, X., Maskell, K., and Johnson, C.A., 2001, Climate change 2001: The scientific ba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83 p. 

  10. Landis, J.R. and Koch, G.G., 1977, The measurement of observer agreement for categorical data. Biometrics, 33, 159-174. 

  11. Lee, D.Y., Oh, E.S., Kim, H.B., and Jeong, J.W., 2013, Analysis of Carbon cycle concepts based on earth systems perspective of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Science Education, 37, 157-169. (in Korean) 

  12. Lee, T.W., Park, S.I., Gwon, S.M., Kim. W.S., Lee. Y.J., Lee, H.K., Jang, H.Y., and Kim, B.N., 2011, Earth Science I. Kyohak, Seoul, Korea, 304 p. (in Korean) 

  13. Maes, B., 2010, Stop talking about "STEM" education! "TEAMS" is way cooler. http://bertmaes.wordpress.com/2010/10/21/teams/ (March 6th 2014) 

  14. McNamara, C., 1998, Applied systems thinking. Proceedings of the 42nd annual conference on systems sciences. In Allen, J.K. et al. (eds.), International Society for the Systems Sciences, Atlanta, Georgia, USA, 1-26. 

  15. Moon, B.C., Jeong, J.W., Kyung, J.B., Koh, Y.K., Youn, S.T., Kim, H.G., and Oh, K.H., 2004, Related conceptions to earth system and applying of systems thinking about Carbon cycle of the pre-service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5, 684-696. (in Korean) 

  16. Moxnes, E. and Saysel, A.K., 2009, Misperceptions of global climate change: Information policies. Climate Change, 93, 15-37. 

  17.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2,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Washington, DC, USA, 386 p. 

  18. Ossimitz, G. 2002, Stock-flow-thinking and reading stockflow-related graphs: An empirical investigation in dynamic thinking abilities. Proceedings of the 2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System Dynamics Society. System Dynamics Society, Albany, NY, USA, 1-26. 

  19. Sterman, J.D., 2008, Risk communication on climate: Mental models and mass balance. Science, 322, 532-533. 

  20. Sterman, J.D. and Sweeney, L.B., 2002, Cloudy skies: Assessing public understanding of global warming. System Dynamics Review, 18, 207-240. 

  21. Uttal, D.H. and Cohen, C.A., 2012, Spatial thinking and STEM education: When, why, and how? Psychology of Learning and Motivation, 57, 147-181. 

  22. Vongalis-Macrow, A., 2010, Developing pedagogies for teaching about climate change.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Learning, 17, 237-24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