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추 당침액의 유산균 발효에 따른 항산화 및 ACE저해활성
Antioxidant and ACE Inhibiting Activities of Sugared-Buchu (Allium ampeloprasum L. var. porum J. Gay) Fermen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4 no.6 = no.170, 2014년, pp.671 - 676  

이중복 (안동대학교 생명자원과학과) ,  배정식 ((주)웰파인 연구소) ,  손일권 ((주)웰파인 연구소) ,  전춘표 (안동과학대학 의약품질분석과) ,  이은호 (안동대학교 생명자원과학과) ,  주우홍 (창원대학교 생물학과) ,  권기석 (안동대학교 생명자원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최근 국민들이 많은 관심을 갖는 식물발효 효소액 중 부추 당침액(부추:설탕 1:3)을 유산균(Lactobacillus acidophilus AML 0422, Lactobacillus brevis HLJ 59, Lactobacillus helveticus AML0410, Lactobacillus plantarum KCTC 13093) 발효를 통해 발효 부추액의 항균활성항산화활성과 항고혈압활성 등의 기능성을 발효 전 후의 유효특성을 조사하였다. 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한 발효 부추액은 S. aureus KCTC 1916에 대해 31.43 mm의 높은 항균력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총 폴리페놀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DPPH 활성 소거능이 160.8-178 mg/ml, 100-108 mg/ml, 82.8-93.5%로 각각 조사되었다. DPPH 활성 소거능에 있어서는 Vitamin C 50 ppm과 유사한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혈관질환뇌혈관질환 등 고혈압과 관련이 깊은 ACE 저해활성은 유산균의 종류에 따라 50.4-67%로 발효전인 32.6%보다 좋은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유용 유산균을 이용한 부추 당침액의 발효산물은 항균활성, 항산화활성과 ACE 저해활성 등 우수한 생리활성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recent years, the growing interest in the health care benefits of sugared-plant fermented enzymes has led to increased consump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ermentation of sugared-buchu (Leek:sugar, 1:3) by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acidophilus AML 0422, Lactobacillus brevis HLJ 59,...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국민들이 많은 관심을 갖는 식물발효 효소액 중 부추 당침액(부추:설탕 1:3)을 유산균 발효를 통해 발효 부추액의 기능성 분석 항산화활성과 항고혈압활성 등의 기능성을 발효 전 후의 유효 특성을 파악하고 향후 각종 식물발효에 대한 과학적 표준화에 대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추는 무엇인가? 부추는 백합과에 속하는 Allium속 식물로 500여종의 Allium속 식물에 대한 약리작용은 수 세기 동안 경험적으로 사용되고 있었으며, 우리나라 산야에서 자생하며, 독특한 맛과 향기가 있어서 식품으로 많이 이용해왔으며, 한방에서는 맛이 맵고 성질이 따듯하여 혈액순환에 좋으며, 강장제, 해독제 등으로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1, 21]. 부추의 주요 영양성분은 카로틴, 비타민 B2, 비타민 C, 칼슘, 철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주요 성분으로는 allyl sulfide, pentose 및 allylthiamine, 여러 가지 sulfide 유도체와 adenosine, alanin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valine 등 아미노산, dimethyl disulfide와 dimethyl trisulfide 같은 8가지 지방족 황 함유화합물 등이 함유되어 자양강장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4, 24].
부추의 주요 영양성분은 어떻게 알려져 있는가? 부추는 백합과에 속하는 Allium속 식물로 500여종의 Allium속 식물에 대한 약리작용은 수 세기 동안 경험적으로 사용되고 있었으며, 우리나라 산야에서 자생하며, 독특한 맛과 향기가 있어서 식품으로 많이 이용해왔으며, 한방에서는 맛이 맵고 성질이 따듯하여 혈액순환에 좋으며, 강장제, 해독제 등으로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1, 21]. 부추의 주요 영양성분은 카로틴, 비타민 B2, 비타민 C, 칼슘, 철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주요 성분으로는 allyl sulfide, pentose 및 allylthiamine, 여러 가지 sulfide 유도체와 adenosine, alanin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valine 등 아미노산, dimethyl disulfide와 dimethyl trisulfide 같은 8가지 지방족 황 함유화합물 등이 함유되어 자양강장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4, 24].
부추 발효액의 ACE 저해활성이 대조군보다 2배 이상 높게 나온 유산균은? 4-67%의 ACE 저해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L. helveticus AML 04101은 대조구인 부추 당침액 32.6% 보다 두 배 높은 ACE 저해활성을 보였으며, 현재 항고혈압제로 사용되는 captopril 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J. M., Lee, S. H. and Song, Y. S. 2001. Biological functions in leek. Food Industry and Nutrition 6, 68-73. 

  2. An, B. J., Bae, M. J., Choi, H. J., Zhang, Y. B., Sung, T. S. and Choi, C. 2002. Natural products, organic chemistry: Isolation of polyphenol compounds from the leaves of Korean persimmon (Diospyrus kaki L. Folium).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5, 212-217. 

  3.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4. Choi, J. S., Kim, J. Y., Lee, J. H., Young, H. S. and Lee, T. W. 1992. Isolation of adenosine and free amino acid composition from the leaves of Allium tuberosum. J Korean Soc Food Nutr 21, 286-290. 

  5. Choi, M. O., Kim, B. J., Jo, S. K., Jung, H. K., Lee, J. T., Kim, H. Y. and Kwon, D. J. 2013. Anti-allergic activities of Castanea crenata inner shell extracts fermented by Lactobacillus bifermentans. Korean J Food Preserv 20, 583-591. 

  6. Cushman, D. W. and Cheung, H. S. 1971. Spectrophotometric assay and properties of the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of rabbit lung. Biochem Pharmacol 20, 1637-1648. 

  7. Jia, Z., Tang, M. and Wu, J. 1999.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y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 555-559. 

  8. Jo, H. E., Chong, M. S. and Choi, Y. H. 2010. Evaluation of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from Zizyphus jujuba fruits and leaves extracts for development medicinal food. Korean J Ori Med Physiol Pathol 24, 859-865. 

  9. Jung, K. O., Park, S. Y. and Park, K. Y. 2006. Longer aging time increases the anticancer and antimetastatic properties of doenjang. Nutrition 22, 539-545. 

  10. Kim, M. J., Yang, S. A., Park, J. H., Kim, H. I. and Lee, S. P.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dropwort extracts fermented with fructooligosaccharides on HepG2 cells.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432-437. 

  11. Kim, K. H., Kim, H. J., Byun, M. W. and Yook, H. S. 2012.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from six vegetables containing different sulfur compoun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577-583. 

  12. Ko, Y. J., Seol, H. G., Lee, G. R., Jeonh, G. I. and Ryu, C. H. 2013. Anti-inflammatory effect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ingredients used in Bibimbab. J Life Sci 23, 213-221. 

  13. Lee, E. H., Jang, K. I., Bae, I. Y. and Lee, H. G. 2011. Antibacterial effects of leek and garlic juice and powder in a mixed strains system.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518-523. 

  14. Lee, M. K., Lee, J. A. and Park, I. S. 2001. Growth retardation of Escherichia coli and Staphylococcus aureus by Leek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96-198. 

  15. Lee, Y. J., Yoon, B. R., Kim, D. B., Kim, M. D. and Lee, D. W. 2012. Antioxidant activity of fermented wild grass extracts. Korean J Food Nutr 25, 407-412. 

  16. Magwamba, C., Matsheka, M. I., Mpuchane, S. and Gashe, B. A. 2010.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of biogenic amines in fermented food products sold in Botswana. J Food Prot 73, 1703-1708 

  17. Mok, C. K.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instant tea prepared from spray-dried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extract grape juice mixture. Food Engineer Progress 9, 226-230. 

  18. Nihal, A., Sanjay, G. and Hasan, M. 2000. Green tea polyphenol epigallo-catechin-3-gallate differentially modulates nuclear factor kB in cancer cells versus normal cell. Archives Biochem Biophy 376, 338-346. 

  19. Noh, H. and Song, K. B. 2001. Isolation of a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 from Oenanthe javanica. Agric Chem Biotechnol 44, 98-99. 

  20. Oh, S. J., Kim, S. H., Kim, S. K., Baek, Y. J. and Cho, K. H. 1997. 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the K-casein fragments hydrolysated by chymosin, pepsin and trypsin.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1316-1318. 

  21. Park, S. Y., Kim, J. Y., Park, K. W., Kang, K. S., Park, K. H. and Seo, K. I. 2009. Effects of thiosulfinates isolated from Allium tuberosum L. on the growth of human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003-1007. 

  22. Park, S. B., Kim, J. D., Lee, N. R, Jeong, J. H., Jeong, S. Y., Lee, H. S., Hwang, D. Y., Lee, J. S. and Son, H. J. 2011.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with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J Life Sci 21, 1428-1433. 

  23. Park, M. S., Rim, Y. S. and Shin, S. C. 2006. Comparison of the properties and extracting conditions of juice preparation from Schizandra nigar. J Korean Forestry Soc 95, 453- 485. 

  24. Bernhard, R. A. 1970. Chemotaxonomy: Distribution studies of sulfur compounds in Allium. Phytochemistry 9, 2019-2027. 

  25. Ryu, B. M., Ryu, S. H., Jeon, Y. S., Lee, Y. S. and Moon, G. S. 2004. Inhibitory effect of solvent fraction of various kinds of kimchi on ultraviolet B induced oxidation and erythema formation of hairless mice ski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785-790. 

  26. Shahidi, F., Janitha, P. K. and Wanasundara, P. D. 2009. Phenolic antioxidants. Crit Rev Food Sci Nutr 32, 67-103. 

  27. Shao, L. N. 2009. Studies on physicochemical changes and cancer preventive effects of fermented soy sauces during ripening period. M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28. Swain, T., Hillis, W. E. and Oritega, M. 1959. Phenolic constituents of Prunus domestica. 1. Quantitative analysis of phenolic constituents. J Sci Food Agric 10, 83-88. 

  29. Wang, H., Cui, L., Chen, W. and Zhang, H. 2011. An application in Gouda cheese manufacture for a strain of Lactobacillus helveticus ND01. Int J Dairy Technol 64, 386- 393. 

  30. Yang, C. Y., Cho, M. J. and Lee, C. H. 2011. Effects of fermented turmeric extracts on the obesity in rats fed a high-fat diet. J Animal Sci Technol 53, 75-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