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인 근로자의 치주질환 유병 관련 위험요인
Risk Factors for the Prevalence of Periodontal Diseases among Adult Worker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6, 2014년, pp.3706 - 3713  

홍민희 (백석대학교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 근로자의 치주질환 유병 여부와 관련하여 인구학적, 구강 행태적 위험 요인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은 제5기 3차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20-64세 한국 성인 근로자 1650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치주조직 유병자에 대해서 성별, 연령, 소득수준, 교육수준, 전신질환, 수면시간, 구강건강수준, 씹기 문제 및 저작 불편함이 위험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중 가장 많은 영향력은 씹기 문제와 저작불편에 문제가 있는 근로자에서 3.5배 이상 치주조직병에 이환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 한국 근로자에 있어서 치주질환 유병의 다양한 위험요인이 존재하고 있음 알 수 있었으며, 향후 치주질환의 유병율을 줄이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구강검진과 건강검진, 충분한 수면을 취하고 스트레스를 낮추어야 할 뿐만 아니라, 소득수준과 교육수준의 차이와 같은 사회경제적 불평등 해결을 위한 제도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demographic and oral behavioral risk factors for periodontal disease in adult workers. The research subjects and method were conducted targeting 1,650 Korean adult workers aged 20-64 utilizing the data from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제5기 3차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20-64세 한국 성인 근로자의 치주질환유병 여부와 관련하여 인구학적, 구강 행태적 위험 요인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가통계자료인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분석하여, 한국 성인 근로자에 있어서 치주질환의 위험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제5기 3차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20-64세 한국 성인 근로자 1650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치주질환 유병 여부와 관련하여 인구학적, 구강행태적 위험 요인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다음과 같다. 치주조직 유병자에 대해서 성별, 연령, 소득수준, 교육수준, 전신질환, 수면시간, 구강건강수준, 씹기문제 및 저작 불편함이 위험요인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통계청에 따르면 2011년 현재 우리나라 근로자의 고용률은? 근로자는 경제발전의 중요한 원천으로 근로자의 건강은 개인은 물론 기업체의 생산성에 있어서도 중요한 요소이다[2]. 통계청에 따르면 2011년 현재 우리나라 근로자의 고용률은 남자 70.5%, 여자 48.2%(National Statistical Office)[3]로써 전체 인구의 약 60%를 차지하였다. 근로자의 대부분을 성인이 차지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성인의 구강건강과 관련된 유병률은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치주질환은? 치주질환은 치아표면에 형성되는 치면세균막과 이에 대한 숙주의 반응에 의해 치주조직이 파괴되어 결과적으로는 치아 상실을 유발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이다. 치주질환은 미흡한 구강건강관리, 흡연, 고령화 등으로 꾸준히 그 유병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35세 이상의 성인에게 있어 치아상실의 주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6].
인체의 면역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치주질환의 위험요인들은? 치주질환을 야기하는 위험요인에는 세균 뿐만 아니라, 연령, 사회경제적 요인, 심리적 요인, 유전, 구강관리습관, 흡연, 전신질환 등이 관련이 있다고 밝혀져 있다[6]. 이러한 위험요인들은 인체의 면역반응에 영향을 미쳐, 결과적으로 치주질환을 야기한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R. Vandenberg, K. O. Park, D. DeJoy, M. G. Wilson, C. Griffin-Blake. "The healthy work organization model: Expanding the view of individual health and well being in the workplace". Research in Occupational Stress and Well Being 2, pp. 57-115, 2002. DOI: http://dx.doi.org/10.1016/S1479-3555(02)02002-4 

  2. J. B. Kim, K. W. Chang, Y. S. Hwang. "Oral health education". 4th ed. pp. 3-19, Komoonsa. 2010. 

  3. National Statistical Office(NSO). Death and the cause of death effect 2011[online] http://www.nso.go.kr. 

  4. Korean Health Statistics 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V-3). 

  5. Advanced analysis of Korean National Oral Health Survey. pp. 83, Ministry of health welfare, 2012. 

  6. B. Burt. "Position paper: epidemiology of periodontal diseases". J Periodontol 76, pp. 1406-19, 2005. DOI: http://dx.doi.org/10.1902/jop.2005.76.8.1406 

  7. D. H. Woo, H. Y. You, M. J. Kim, H. N. Kim, J. B. Kim, S. H. Jeong. "Risk indicators of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 adults". J Korean Acad Oral Health. 37(2), pp. 95-102, 2013. DOI: http://dx.doi.org/10.11149/jkaoh.2013.37.2.95 

  8. S. K. Ng, W. K. Leung.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periodontal status".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34, pp. 114-22, 2006. DOI: http://dx.doi.org/10.1111/j.1600-0528.2006.00267.x 

  9. M. V. Saintrain, E. H. De Souza. "Impact of tooth loss on the quality of life". Gerodontology 29, pp. 632-636, 2012. DOI: http://dx.doi.org/10.1111/j.1741-2358.2011.00535.x 

  10. A. Sheiham, B. Nicolau. "Evaluation of social and psychological factors in periodontal disease". Periodontol 39, pp. 118-31, 2005. DOI: http://dx.doi.org/10.1111/j.1600-0757.2005.00115.x 

  11. P. E. Petersen, H. Ogawa. "Strengthening the prevention of periodontal disease: the WHO approach". J Periodontol 76, pp. 2187-93, 2005. DOI: http://dx.doi.org/10.1902/jop.2005.76.12.2187 

  12. J. O. Jung, J. Y. Chun, K. H. Lee. "The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and periodontal diseases in Korean adults: based on the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 J Korean Soc Dent Hyg 13(3), pp. 481-9, 2013. DOI: http://dx.doi.org/10.13065/jksdh.2013.13.3.481 

  13. I. Y. Ku, H. G.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ers health behaviorals, oral health behaviorals and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periodontal disease status". J Korean Soc Dent Health 12(3), pp. 597-609, 2012. DOI: http://dx.doi.org/10.13065/jksdh.2012.12.3.597 

  14. K. D. Lee, H. K. Lee. "DMFT Index, Periodontal Index and Oral Hygiene Status in Diabetic Patients". Yeungnam Univ. J. of Med 22(1), pp. 62-71, 2005. 

  15.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Information, Disease statistics DB[internet]. [cited 2013 Jun 11]. avalilable from: http://www.hira.or.kr. 

  16. H. K. Kang, Y. S. Yoon, J. H. Park, M. K. Sung, G. H. Bae, J. B. Kim. "Awareness of patients with periodontal disease under treatments at initial and maintenance phase". J Korean Acad Oral Health 29(3), pp. 271-80, 2005. 

  17. S. Offenbache. "Periodontal diseases: pathogenesis". Ann Periodontol 1(1), pp. 821-878, 1996. DOI: http://dx.doi.org/10.1902/annals.1996.1.1.821 

  18. J. W. Back, M. H Park. "Ability for chewing a social activity and connection with the life function of a senior citizen". J Kor Aca Den Tech 29(2), pp. 87-103, 2007. 

  19. S. L. Moore, K. Wilson. "Parasites as a viability cost of sexual selection in natural populations of mammals". Science 297, pp. 2015-18, 2002. DOI: http://dx.doi.org/10.1126/science.1074196 

  20. D. H. Han, J. B. Kim. "The association between smoking and periodontitis: findings from the korean national oral health survey 2006". J Korean Acad Dent Health 33(4), pp. 634-43, 2009. 

  21. H. W. Cheon. "Analysis of factors for relationship between oral disease and chronic disease" Unpublished docto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2010. 

  22. B. H. Oliveira, P. Nadanovsky.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brazilian version of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short form".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33(4), pp. 307-14, 2005. DOI: http://dx.doi.org/10.1111/j.1600-0528.2005.00225.x 

  23. J. Y. Lee, G. P. Kim, B. C. Yu. "Relationship between periodontal diseases and quality of life". J Koreab Soc Dent Hyg. 13(5), pp. 835-43, 2013. DOI: http://dx.doi.org/10.13065/jksdh.2013.13.05.835 

  24. Y. S. Kim, B. H. Jun. "A study of comparative the mastication capability and Life quality of elderly people using dentures or implants". J Korean Soc Dent Hyg 11(5), pp. 629-36, 2011. 

  25. H. W. Chun. "The association of oral diseases and chronic diseases in Korean adult population". J Korean Soc Dent Hyg 12(2), pp. 235-49, 2012. DOI: http://dx.doi.org/10.13065/jksdh.2012.12.2.235 

  26. O. J. Ju. "Impact of oral health behaviors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periodontal diseases and missing tooth". J Korean Soc Dent Health 11(4), pp. 512-522, 2011. 

  27. G. S. Han, Y. S. Kim, J. K. Kang, Y. S. Hwang, D. H. Han, K. H. Bae. "Dental hygiene and dental education: relation of smoking and periodontal status among 30s-50s Adults in metropolitan area". J Korean Acad Dent Health 32(2), pp. 250-60, 2008. 

  28. J. I. Song, G. H. Lee, M. E. Kim, K. S. Kim. "Study on Short Term Smoking Cessation Treatment in Dental Hospitals in Korea". Korean Acad Orofacial Pain Oral Med 35(4), pp. 245-58. 2010. 

  29. P. B. Tayler, J. R. Ureda, J. W. Denham. Health prmotion principles and clinical applications. Appletion-Century-Croft, pp. 339-71, Norwalk, 1982. 

  30. H. G. Ryu, H. G. Kim.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stress coping method on the periodontal disease". J Dent Hyg Sci 12(5), pp. 469-76,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