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제활동자들의 만성질환과 구강건강행태가 구강질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ronic diseases and oral health behavior of economic workers on oral disease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4, 2018년, pp.245 - 253  

홍민희 (백석대학교 보건학부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2015년)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20~65세의 경제적인 능력을 갖고 있는 2,088명의 근로자를 최종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경제활동자의 만성질환과 구강건강행태의 연관성을 조사하고 구강질환의 위험인자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다. 치아우식증은 주관적인 구강건강상태, 치통경험, 교정치료경험, 씹기문제, 말하기문제, 구강검진 및 치과의료기관이용과 관련성이 나타냈다. 치주질환은 구강건강상태, 치통경험, 교정치료경험, 씹기 및 말하기문제와 관련성을 나타냈다. 만성질환과 구강건강행태가 구강질환에 미치는 위험도는 다음과 같다. 정상에 비해 고혈압은 1.37배, 비만은 1.48배, 당뇨군은 1.5배, 저HDL-콜레스테롤혈증, 1.31배, A형 간염항체는 1.53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상태는 좋은군에 비해 나쁜 상태가 치아우식증 1.70배, 치주질환 2.10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치통경험은 치아우식증 1.30배, 치주질환 1.3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씹기문제는 치아우식증 1.76배, 치주질환 1.78배, 스트레스는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 모두 1.4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흡연자는 치아우식증 1.61배, 치주질환 1.63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만성질환은 치주질환의 발생위험률을, 구강건강행태는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의 발생위험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치아우식증은 구강건강관리만 잘해준다면 만성질환으로 이활 될 위험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보이나, 치주질환은 만성질환과 구강건강관리 모두가 중요하다고 여겨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2,088 economically active workers aged 20 to 65 years selected from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ronic diseases and oral health behaviors among economic workers and examine the risk factors for oral 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조사의 목적은 국민의 건강수준, 건강행태에 대한 국가 및 시도 단위의 대표성과 신뢰성을 갖춘 통계를 산출하고, 이를 통해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의 목표 설정 및 평가,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등 보건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제활동자는 주로 직업적인 문제로 인해 자신들의 구강건강관리에 시간을 소비하기 힘들고, 국가보건기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다[18].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인들 중 경제활동자들의 만성질환의 유병률을 살펴보고, 구강건강행태와 구강질환에 미치는 위험요인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강질환을 발생시키는 주요 원인은? 게다가 만성질환의 부담이 증가하여 효과적인 만성질환 예방 및 관리를 위해서는 공중보건사업의 실행 가능한 근거 마련이 절실하다. 구강질환을 발생시키는 주요 원인은 치면세균막이며, 치면세균막 제거는 중요한 구강질환 예방법이다. 그렇기 때문에 치면세균막을 구강 내에서 제거하는 칫솔질과 치간칫솔, 치실사용은 만성 구강질환을 예방하는 구강건강관리 방법이다[14].
만성질환 중 높은 질병 관리비용을 수반하는 질환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따라서 이로 인한 질병부담도 높은 상황이다. 암, 뇌혈관질환, 심장질환, 당뇨병, 간질환, 만성 하기도 질환, 고혈압성 질환이 다른 사망원인 질환에 비해서 높은 질병 관리비용을 수반하고 있다[1]. 또한 통계청에서 제공한 질병소분류별 다빈도 상병 급여현황을 보면 중대구강병인 치주질환과 치아우식증이 각각 2위와 6위에 올라있다[2].
치주질환과 치아우식증은 어느 연령대에서 높게 나타나는가? 특히 치주질환과 치아우식증은 대표적인 구강질환으로 치아우식증은 30세 이하, 치주질환은 40세 이상 성인에서 높게 나타나며, 치아 발거의 원인이 되고 있다[3]. 보건복지부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인의 만30세 이상 성인 세 명 중에 한명은 치주질환이나 치아우식증을 앓고 있을 정도로 유병률이 높게 나타났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hronic disease status and issues 2015.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Seoul. 2015.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 fee for health consultation statistics 2015. Retrieved February 25, 2016, from http://www.mohw.go.kr/front_new/al/sal 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page3&CONT_SEQ330153 (2016,February 24). 

  3. H. W. Cheon, M. W. Yu, M. H. Choi, "The association of oral diseases and chronic diseases in Korean adult population," Korean Soc Dent Hyg, vol. 12, no. 2, pp. 235-249. 2012. DOI: https://doi.org/10.13065/jksdh.2012.12.2.235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1. 

  5. M. Kushiyama, Y. Shimazaki, Y. Yamashita, "Relationship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periodontal disease in Japanese adults," J Periodontol, vol. 80, no. 10, pp. 1610-5, 2009. DOI: http://doi.org/10.1902/jop.2009.090218 

  6. S. J. Lee, E. M. Hong, J. H. Baek, Y. S. Nam,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periodontal disease except patients with hypertension and type 2 diabetes mellitus in Korea," Korean Acad Oral Health, vol. 33, no. 3, pp. 451-460, 2009. 

  7. T. Morita, Y. Ogawa, K. Takada, N. Nishinoue, Y. Sasaki, M. Motohashi, M. Maeno, "Association between periodontal disease and metabolic syndrome," J public health dent, vol. 69, no. 4, pp. 248-53l, 2009. DOI: http://doi.org.10.1111/j.1752-7325.2009.00130.x 

  8. H. E. Shin, J. H. Kim, Y. S. Jung, E. K. Jung, E. K. Kim, Y. H. Choi, K. B. Song. "Relation between rheumatoid arthritis and periodontal diseases: Using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Acad Oral Health, vol. 38, no. 4, pp. 232-237, 2013. DOI: https://doi.org/10.11149/jkaoh.2014.38.4.232 

  9. J. Y. Han, S. Y. An, "A Study on Subjective Periodontal Health Condition and Tooth Brushing Frequency in Systemic Disease Patients with Hypertension, Diabetes or Hyperlipidemia," Korean Acad Dent Hyg, vol. 13, no. 2, pp. 139-151, 2011. 

  10. H. J. Lee. "The review and treatment regarding on association between periodontitis and 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s," Korean Dent Assoc, vol. 51, no. 9, pp. 501-510, 2013. 

  11. H. D. Kim, D. M. Paik, D. H. Kho, D. I. Paik, "Influence of cardiovascular related disease on periodontitis," Korean Acad Oral Health, vol .30, no. 1, pp. 46-55, 2006. 

  12. D. K. Seung. "The effect of oral diseases on the incid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s," Doctoral's thesis, Yonsei University, 2013. 

  13. Y. S. Kim, B. H. Jun, "A study of comparative the mastication capability and Life quality of elderly people using dentures or implants," Korean Acade Dent Hyg Edu, vol. 11, no. 5, pp. 629-636, 2011. 

  14. B. D. Jo, D. K. Kim, B. J. Lee, "Change in plaque control ability by the professional oral health care program," Korean Acad Oral Health, vol. 39, no. 1, pp. 25-36, 2015. DOI: http://doi.org/10.11149/jkaoh..2015.39.1.25 

  15. H. Y. Lee, "Study on relation factors of oral health behaviors : based on health promotion model,"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2001. 

  16. G. B. Songm Y. H. Choe, S. J, Hong, J. B, Kim, "Dental caries prevalence in relation to socioeconomic factors and dental health behaviors among Korean adults," Korean Acad Oral Health., vol. 27, no. 2, pp. 319-327, 2003. 

  17. J. B. Kim, Y. J. choi, H. S. Mun, J. B. Kim, D. K, Kim, H. S. Lee, D. Y. Park, Public oral hygiene, 4th. revision. Edit. Seoul:Gomunsa, pp. 144-152, 275-315, 2009. 

  18. K. S. Kim, Y. S. Hwang, Y. K. Kim, B. K. Choi, K. S. Han, J. S. Ryu, Y. N. Kim, K. M, Kim, Community Oral Health. 1 edit, Seoul:Gomunsa, pp. 217-245, 2010. 

  19. M. S. Lee, "Association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periodontal health status in Korean adults," Doctoral's thesis, Chosun University, 2014. 

  20. M. H. Jung, C. S. Kim, K. S. Lee. "Effect of oral health belief and metabolic syndrome on CPITN," J. Korean Soc Dent Hyg, vol. 16, no. 6, pp. 979-991, 2016. DOI: http://doi.org.10.13065/jksdh.2016.16.06.979. 

  21. H. J. Park, E. S. Cha, K. A. Gong, W. J. Lee, "Prevalence of Oral Diseases, Socioeconomic Factors and Health Behaviors in Korean Adults -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Korean Dent Technology., vol. 30, no. 2, pp. 121-13, 2008. 

  22. J. U. Back, E. M. Noh, "A Study on the Hospitalized Patients' Recognition and Practice of Dental Health," Korean public health Res, vol. 35, no. 1, pp. 45-54, 2009. 

  23. H. K. Jang, E. M. Choi, B. S. Son, "Oral health of the elderly people receiving nursing care and home care serivces in Chungnam," Korean Acad Denl Hyg Edu, vol. 15, no. 4, pp. 565-574, 2015. DOI: http://doi.org.10.13065/jksdh.2015.15.04.565 

  24. W. Sabbah, G. Tsakos, T. Chandola, A. Sheiham, R. G. Watt. "Social Gradients in oral and general health," J Dent Res, vol. 86, no. 10, pp. 992-99, 2007. DOI: https://doi.org/10.1177/154405910708601014 

  25. H. J. Kim, C. M. Park, K. H. Woo, E. S. Lee, J. R. Lee, E. K. Ha. "A Study on Oral Health Status and Factors related with Oral Health among Industrial Workers," Korean public health Res., vol. 28, no. 2, pp. 158-167, 2002. 

  26. I. Y. Ku, S. J. Moon, M. S. Lee, K. H. Ka. "Comparison of oral health status by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in workers," J. Korean Soc Dent Hyg, vol. 13, no. 4, pp. 581-588, 2013. DOI: https://doi.org/10.13065/iksdh.2013.13.4.581 

  27.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Health, United states, 2015. 

  28. Y. S. Won, C. H. Choi, H. N. Oh, "Risk factors of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 adults," Korean Acad Oral Health., vol. 38, no. 3, pp. 176-183, 2014. DOI: https://doi.org/10.11149/jkaoh.2014.38.3.176 

  29. S. K. Kim.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periodontal diseases in adults," Korean Acad Dent Hyg Edu, vol. 16, no. 6, pp. 815-824, 2016. DOI: https://doi.org/10.13065/jksdh.2016.16.06.8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