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참깨 유전자원 핵심집단과 주요 품종 및 우량계통의 세사민과 세사몰린, 지방 함량변이를 분석하여 리그난 함량이 높은 참깨 품종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 시험에 이용된 참깨 유전자원 143점의 리그난 함량 범위는 2.33 mg/g에서 12.17 mg/g으로 나타났다. 그 중 터키에서 수집된 IT184615은 리그난 함량이 12.17 mg/g으로 가장 높아 리그난 함량 개량을 위한 유전자원으로 활용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참깨 유전자원을 14개의 수집원산지별, 4개의 종피색(백, 황, 갈, 흑)별, 4개의 SSR마커그룹으로 분류하고 리그난 함량과의 유의성을 검정한 결과 세사민, 세사몰린 함량은 수집원산지, 종피색 간에 유의한 차가 인정되었다. 러시아(10.0 mg/g), 네팔(9.08 mg/g)에서 수집된 유전자원은 다른 국가에서 수집된 유전자원보다 평균 리그난 함량이 높았다. 세사민 함량은 세사몰린 함량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어 리그난 함량이 높은 참깨 품종 육성을 위해서는 두 성분을 동시에 높이는 방향으로 선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참깨 주요 품종과 우량계통의 리그난, 지방 함량의 지역간, 연차간 변이를 분석하여 품질특성에 미치는 환경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리그난과 지방 함량은 지역간, 연차간에 고도로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고 지역간 변이가 계통 간 변이보다 커서 유전변이보다 환경변이의 변이의 폭이 넓었다. 따라서 리그난, 지방 함량이 높은 참깨 품종 육성을 위해서는 함량이 높은 유전자원을 육종재료로 활용함과 동시에 리그난 축적에 관계되는 재배환경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same lignan, including sesamin and sesamolin has been reported to have various content according to accessions and environmental factor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lignan variation of 143 sesame accessions from core collection in Korea and to test the effects of growing year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ark(2012)이 작성한 참깨 유전자원 핵심집단의 세사민과 세사몰린 함량 변이를 분석하여 리그난 함량이 높은 참깨 품종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또한 다양한 환경에서 재배된 참깨 우량계통의 리그난, 지방 함량 변이를 측정하여 재배환경이 리그난, 지방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ark(2012)이 작성한 참깨 유전자원 핵심집단의 세사민과 세사몰린 함량 변이를 분석하여 리그난 함량이 높은 참깨 품종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또한 다양한 환경에서 재배된 참깨 우량계통의 리그난, 지방 함량 변이를 측정하여 재배환경이 리그난, 지방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참깨 유전자원 핵심집단과 주요 품종 및 우량 계통의 세사민과 세사몰린, 지방 함량변이를 분석하여 리그난 함량이 높은 참깨 품종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 시험에 이용된 참깨 유전자원 143점의 리그난 함량 범위는 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참깨 종자로부터 분리된 리그난의 주성분 중 세사민은 어떤 생리활성 효과가 있는가? , 1998). 세사민은 인체 내에서 뚜렷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낸 것으로 보고되었는데 γ-토코페롤과 협동적으로 작용하여 쥐에서 비타민 E 활성을 생성하고 α-토코페롤이 적은 식단을 먹인 쥐에서 뚜렷한 비타민 E 활성 강화효과가 보고되었다(Yamashita et al., 1992, 1995). 또한 비타민 E 뿐만 아니라 비타민 K 활성 강화효과도 보고되었다(Hanzawa et al., 2013). 또한 세사민은 쥐의 간에서 지방산 산화를 유도하고 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1을 억제하여 지방산 합성을 감소시킨다고 한다(Ide et al., 1999, 2001).
참깨의 주요 재배종은? 참깨(Sesamum indicum L.)는 참깨과(Pedalidaceae)에 속하는 1년생 초본식물로서 참깨과는 16속 60종으로 분류되며 Sesamum속은 37종이 있으며 주요 재배종은 Sesamum indicum L. 이다(Weiss, 1983).
참깨의 원산지는? 이다(Weiss, 1983). 참깨의 원산지는 고온 건조한 에티오피아와 인도로 추정되며, 아프리카에서 동쪽으로, 인도에서 서쪽으로 전파되었다(Ashri et al., 199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shri, A. 1998. Sesame breeding. Plant breeding reviews. 16 : 179-228. 

  2. El-Bramawy, M. A. E. S., S. E. S. El-Hendawy, and W. I. A. Shaban. 2008. Accessing the suitability of morphological and phenological traits to screen sesame genotypes for fusarium wilt and charcoal rot disease resistance. Journal of Plant Protection Research. 48(4) : 397-410. 

  3.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FAO). 2012. 

  4. Fukuda, Y., M. Nagata, T. Osawa, and M. Namiki. 1986. Contribution of lignan analogues to antioxidative activity of refined unroasted sesame seed oil. Journal of the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63(8) : 1027-1031. 

  5. Fukuda, Y., T. Osawa, M. Namiki, and T. Ozaki. 1985. Studies on antioxidative substances in sesame seed. Agricultural and Biological Chemistry. 49(2) : 301-306. 

  6. Hanzawa, F., S. Nomura, E. Sakuma, T. Uchida, and S. Ikeda. 2013. Dietary sesame seed and its lignan, sesamin, increase tocopherol and phylloquinone concentrations in male rats. The Journal of Nutrition. 143(7): 1067-1073. 

  7. Hata, N., Y. Hayashi, A. Okazawa, E. Ono, H. Satake, and A. Kobayashi. 2010. Comparison of sesamin contents and CYP81Q1 gene expressions in aboveground vegetative organs between two Japanese sesame (Sesamum indicum L.) varieties differing in seed sesamin contents. Plant Science. 178(6) : 510-516. 

  8. Hata, N., Y. Hayashi, A. Okazawa, E. Ono, H. Satake, and A. Kobayashi. 2012. Effect of photoperiod on growth of the plants, and sesamin content and CYP81Q1 gene expression in the leaves of sesame (Sesamum indicum L.). Environmental and Experimental Botany. 75 : 212-219. 

  9. Ide, T., L. Ashakumary, Y. Takahashi, M. Kushiro, N. Fukuda, and M. Sugano. 2001. Sesamin, a sesame lignan, decreases fatty acid synthesis in rat liver accompanying the downregulation of 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1.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BBA)-Molecular and Cell Biology of Lipids. 1534(1) : 1-13. 

  10. Ide, T., N. Fukuda, T. Aoyama, and T. Hashimoto. 1999. Sesamin, a sesame lignan, is a potent inducer of hepatic fatty acid oxidation in the rat. Metabolism. 48(10) : 1303-1313. 

  11. Kang, C. S., K. H. Kim, S. H. Shin, J. H. Son, J. N. Hyun, K. H. Kim, and C. S. Park. 2013. Influence of cultivar and environment on arabinoxylan content in Korean wheat. Korean Journal of Breeding Science. 45(2) : 81-95. 

  12. Kanu, P. J. 2011. Biochemical analysis of black and white sesame seeds from China. Am. J. Biochem. Mol. Biol. 1 : 145-157. 

  13. Kato, M. J, A. Chu, L. B. Davin, and N. G. Lewis. 1998. Biosynthesis of antioxidant lignans in Sesamum indicum L. seeds. Phytochemistry. 47(4) : 583-591. 

  14. Kim, H. S., K. D. Park, S. B. Bae, Y. K. Son, C. W. Lee, J. G. Kim, J. C. Kim, and J. H. Nam. 2003. Genotype and environment effects on barley grain $\beta$ -glucan content. Korean Journal of Breeding Science. 35(2) : 240-241. 

  15. Kim, J. K., J. K. Bang, C. B. Park, B. K. Lee, and Y. H. Lee. 2001. The variati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in sesame and perilla according to different area and year.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202-203. 

  16. Kim, J. S. 1997. Change in isoflavone contents during maturation of soybean seed. Journal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3) : 255-258. 

  17. Kim, K. S., C. G. Park, and J. K. Bang. 2003. Varietal and yearly differences of lignan contents in fruits of collected lines of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1(1) : 71-75. 

  18. Kim, S. L., M. A. Berhow, J. T. Kim, H. Y. Chi, S. J. Lee, and I. M Chung. 2006. Evaluation of soyasaponin, isoflavone, protein, lipid, and free sugar accumulation in developing soybean seeds.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19.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3. http://kosis.kr. Statistics Korea. 

  20. Lee, S. W., C. W. Kang, D. H. Kim, Y. Satoko, and K. Masumi. 1999. Varietal variation of sesamin, sesamolin, and oil contents according to seed coat colors in sesame. Korean Journal of Breeding Science. 31(3) : 286-292. 

  21. Osawa T, M. Nagata, M. Namiki, and Y. Fukuda. 1985. Sesamolinol, a novel antioxidant isolated from sesame seeds(Sesamum indicum L). Agricultural and Biological Chemistry. 49 : 3351-3352. 

  22. Park, J. H. Development of core collection and its genetic evaluation by SSR markers in germplasm of sesame (Sesamum indicum L.). 2012 Chunbuk National University. 

  23. Rangkadilok, N., N. Pholphana, C. Mahidol, W. Wongyai, K. Saensooksree, S. Nookabkaew, and J. Satayavivad. 2010. Variation of sesamin, sesamolin and tocopherols in sesame (Sesamum indicum L.) seeds and their hull fractions. Food Chemistry. 122(3) : 724-730. 

  24.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Genebank (2011) http://www.genebank.go.kr. Accessed 10 June 2011. 

  25. Ryu, S. N. 2000. Varietal difference of lignan glycoside content in sesame. Korean Journal of Breeding Science. 32(1) : 104-105.. 

  26. Ryu, S. N., C. W. Kang, J. I. Lee, S. T. Lee, K. S. Kim, and B. O. Ahn. 1996. Perspective of utilization and function of antioxidants in sesame.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41(S) : 94-109. 

  27. SAS. 2009. SAS 9.2 for windows.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28. Shahidi, F., C. M. Liyana-Pathirana, and D. S. Wall. 2006. Antioxidant activity of white and black sesame seeds and their hull fractions. Food Chemistry. 99(3) : 478-483. 

  29. Shim, K. B., C. D. Hwang, S. B. Pae, M. H. Lee, T. J. Ha, C. W. Park, and K. Y. Park. 2010. Comparison of physiochemical characters of sesame seeds according to the different producing origi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22(4) : 371-375. 

  30. Shyu, Y. S. and L. S. Hwang. 2002. Antioxidative activity of crude extract of lignan glycosides from unroasted Burma black sesame meal. Food Research International. 35(4): 357-365. 

  31. Tashiro, T., Y. Fukuda, T. Osawa, and M. Namiki. 1990. Oil and minor components of sesame (Sesamum indicum L.) strains. Journal of the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67(8) : 508-511. 

  32. Wang, L., Y. Zhang, P. LI, X. Wang, W. Zhang, W. Wei, and X. Zhang. 2012. HPLC analysis of seed sesamin and sesamolin variation in a sesame germplasm collection in China. Journal of the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89(6) : 1011-1020. 

  33. Weiss, E. A. 1983. Sesame. Weiss, EA oilseed crops. London, Longman. 31-99. 

  34. Yamashita, K., Y. Lizuka, T. Imai, and M. Namiki. 1995. Sesame seed and its lignans produce marked enhancement of vitamin E activity in rats fed a low $\alpha$ -Tocopherol diet. Lipids. 30(11) : 1019-1028. 

  35. Yamashita, K., Y. Nohara., K. Katayama, and M. Namiki. 1992. Sesame seed lignans and gamma-tocopherol act synergistically to produce vitamin E activity in rats. The Journal of Nutrition. 122(12) : 2440-2446. 

  36. Yasumoto, S. and M. Katsuta. 2006. Breeding a high-lignancontent sesame cultivar in the prospect of promoting metabolic functionality. Japan Agricultural Research Quarterly. 40(2) : 123-129. 

  37. Yasumoto, S. and M. Komeichi. 1993. Growth stage affects sesamolin contents in sesame seeds. Japan Journal of Crop Science. 62(S1) : 300-301. 

  38. Zhang, H. Y., H. M. Miao, C. Li, L. B. Wei, and Q. Ma. 2012. Analysis of sesame karyotype and resemblance-near coefficient. Chinese Plant Bullet 47 : 602-614. 

  39. Zhang, X. R., Y. Z. Zhao, Y. Cheng, X. Y. Feng, Q. Y. Guo, M. D. Zhou, and T. Hodgkin. 2000. Establishment of sesame germplasm core collection in China. Genetic Resources and Crop Evolution. 47(3) : 273-27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