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학생이 인지하는 성(Sexuality)건강 간호 장애 요인 : 성 태도와 신념에 관한 연구
Nursing Student's Perceptions of Barriers on Sexuality : Sexuality Attitudes and Beliefs Surve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2 no.6, 2014년, pp.355 - 363  

장미영 (광주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성 건강은 인간 삶의 핵심적인 영역으로 최근 간호 실무에서 성 건강 사정과 상담은 간호사의 중요한 역할이 되었다. 본 연구는 성 건강 간호 수행과 연관되어 간호학생이 느끼는 성 건강 간호의 중요성과 어려움, 성 건강 간호에 대한 자신감의 정도를 나타내는 간호학생의 성 태도와 신념을 조사하고 연령, 성별, 교육과 같은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성 태도와 신념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4년제 간호학과 3학년 이상 학생으로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21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을 이용하여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성 태도와 신념은 평균 44.9점으로 성 건강 관련 간호 수행에 상당히 어려움을 있으며, 성 건강 간호에 필요한 시간을 만들지 않으며(86.9%), 환자의 성 문제를 다루는 자신의 능력을 확신하지 못한다고 인지하는 것(76.2%)이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나타났다. 간호학생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성별(p=0.03)과 종교(p=0.02)에 따라 성 태도와 신념에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간호학생들에게 성 건강 간호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계기를 마련하고 성 건강 간호 관련 교육과정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describe attitudes and beliefs that might act as barriers to addressing patient sexuality concerns and to determine the extent to which these attitudes and beliefs are influenced by personal factors such as age, gender, education. The Sexuality Attitud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 연령, 성별, 학년, 종교를, 성 관련 특성으로 병원실습 시 환자와 성에 관한 질문을 한 경험이 있는지와 성 관련 간호진단을 사용 여부에 대해 질문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학생들이 환자의 성 문제를 논의하는데 장애가 될 수 있는 태도와 신념을 확인하고 이러한 태도와 신념이 연령 성별, 교육 등 개인적 요인에 의해 어느 정도 영향을 받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외국 간호학생 연구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성과 성 건강에 대한 문화적 차이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성 태도와 신념을 조사하고, 성 태도와 신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간호학과 재학생 21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 여성 태도와 신념 및 성 건강 간호 중재 시 장애요인을 파악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성 태도와 신념을 파악하고 성 태도와 신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성 태도 및 신념 측정도구(SABS)를 사용하여 간호학생들을 대상으로 성 태도와 신념을 조사하기 위함이다.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 건강이란 무엇인가? 성(Sexuality)은 인간의 삶의 역동적이고 통합된 한 부분이며, 태도와 행동을 통해 표현되고, 문화, 생물학, 역사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성 건강(SexualHealth)은 단순히 질병이 없는 상태로 정의되지 않고 성과 관련하여 신체적, 정서적, 정신적, 사회적 안녕 상태로 고려되어야 하며 총체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즉 성-생식과 관련된 신체적 문제가 없고, 성에 대해 편안함을 느끼며, 성적 존재로서의 자부심과 성적 자율성을 행사할 수 있는 상태를 뜻한다[1]. 인간의 성장 발달에서 성 건강 증진은 필수적이며 성 건강 증진을 위해 성교육, 정보, 성 건강 관련 간호가 제공되어야 한다[2].
성은 인간의 삶의 어떤 부분인가? 성(Sexuality)은 인간의 삶의 역동적이고 통합된 한 부분이며, 태도와 행동을 통해 표현되고, 문화, 생물학, 역사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성 건강(SexualHealth)은 단순히 질병이 없는 상태로 정의되지 않고 성과 관련하여 신체적, 정서적, 정신적, 사회적 안녕 상태로 고려되어야 하며 총체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성 건강 간호 수행과 연관되어 간호학생이 느끼는 성 건강 간호의 중요성과 어려움, 성 건강 간호에 대한 자신감의 정도를 나타내는 간호학생의 성 태도와 신념을 조사 한 결과는? 0을 이용하여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성 태도와 신념은 평균 44.9점으로 성 건강 관련 간호 수행에 상당히 어려움을 있으며, 성 건강 간호에 필요한 시간을 만들지 않으며(86.9%), 환자의 성 문제를 다루는 자신의 능력을 확신하지 못한다고 인지하는 것(76.2%)이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나타났다. 간호학생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성별(p=0.03)과 종교(p=0.02)에 따라 성 태도와 신념에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간호학생들에게 성 건강 간호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계기를 마련하고 성 건강 간호 관련 교육과정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2). Sexual Health. Retrieved July 13, 2010. http://www.who.int/reproductive-health/gender/sexualhealth.html 

  2. World Association for Sexual Health. (2008). The sexual health for the Mil-lenniu M. A declaration and technical document. Retrieved October 20, 2011. 

  3. M. A. Magnan & D. M. Norris, Nursing Student's Perception Barriers to addressing patient sexuality Concern.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 47, No. 6, pp. 260-268, 2008. 

  4. K. S. Kim, Sexual Health Care. Seoul: Koonja, 2013. 

  5. C. Webb, A study of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s about sexuality in health car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Vol. 25, pp. 235-244, 1988. 

  6. S. Lewis & R. Bor, Nurses' knowledge of and attitude towards sexuality and the relationship of these with nursing practic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 20, pp. 251-259, 1994. 

  7. Y. Rana, A. Kanik, A. Ozcan & S. Yuzer, Nurses' approaches to-wards sexuality of adolescent patients in Turkey. Journal of Clinical Nursing, Vol. 16, pp. 638-645, 2007. 

  8. K. E. Reynolds & M. A. Magnan, M.A, Nursing attitudes and beliefs toward human sexuality: Collaborative research promoting evidence-based practice. Clinical Nurse Specialist, Vol. 19, pp. 255-259, 2005. 

  9. M. A. Magnan, K. E. Reyn Olds & E. A. Galvin, Barriers to addressing patients exuality in nursing practice. Dermatology Nursing, Vol. 14, pp. 282-289, 2006. 

  10. M. A. Magnan, M.A., K. Reynolds, Barriers to addressing patient sexuality concerns across five areas of specialization. Clinical Nurse Specialist, Vol. 20, pp. 285-292, 2006. 

  11. N. Saunamaki, M. Andersson & M. Engstrom, Discussing sexuality with patients: Nurses' attitudes and belief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 66, pp. 1308-1316, 2010. 

  12. J. O. Julien, B. Thom & N. C. Kline, Identification of Barriers to Sexual Health Assessment in Oncology Nursing Practice. Oncology Nursing Forum. Vol. 37, No. 3, pp. 186-190, 2010. 

  13. H. W. Kim, Y. Y. Jung & S. M. Park, Evaluation Application of Korean Version of the Sexuality Attitudes and Beliefs Survey for nurses. Korean Society of Nursing Science, Vol. 42, No. 6, pp. 889-897, 2012. 

  14. H.J. Wang, H. K. Kim & H. Y. Yoo, Experience of attending sexual health education, knowledge and healthcare attitudes of nurse clinicians. Korean Society of Adult Nursing, Vol. 25, No. 5, pp. 585-595, 2013. 

  15. J. M. Brown, E. M. Alverson & C. A. Pepa, The influence of abaccalaureate program on traditional, RN-BSN, and ac-celerated students; critical thinking abilities. Holistic Nursing practice, Vol. 15, No. 3, pp. 4-8, 2001. 

  16. D. M. Schnarch & K.Jones, K. Efficacy of sex education courses in medical School. Journal of Sex & Marital Therapy Vol. 7, pp. 307-317, 1981. 

  17. C. Guthrie, Nurses' perception s of sexuality relating to patient car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Vol. 8, pp. 313-321, 1999. 

  18. M. Dixon-Woods, J. Regan, N. Robertson, B. Young, C. Cordle & M. Tobin, Teaching and learning about human sexu-ality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Medical Education, Vol.. 36, pp. 432-440,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